삼강오륜(三綱五倫)
[석삼/벼리 강/다섯 오/인륜 륜]
[뜻]
삼강오륜(三綱五倫)은 중국 전한(前漢) 때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었다. 유교에서 기본이 되는 도덕지침이라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정통 유교의 근본은 오륜이고, 후에
정치적 목적으로 마련된 것이 삼강이다. 그래서 군위신강과 군신유의,
그리고 부위부강과 부부유별의 덕목이 서로 그 근본 뜻이 다르다. 삼강의
폐해로 인해 유교가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사회로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삼강(三綱)에는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군위신강(君爲臣綱) :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어야 한다.
부위자강(父爲子綱) : 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되어야 한다.
부위부강(夫爲婦綱) :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가 되어야 한다.
※ 벼리 :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여기서 '강'(綱)은 규제하여 총괄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각각 임금은
신하의, 아버지는 자식의, 지아비는 지어미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나, 후대에 다음과 같이 변질되기도 한다.
군위신강(君爲臣綱)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부위자강(父爲子綱) : 자식은 부모를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부위부강(夫爲婦綱)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오륜(五倫)에는 다음 다섯 가지가 있다.
父子有親(부자유친) :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君臣有義(군신유의) :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
夫婦有別(부부유별) : 부부 사이에는 구별(분별)이 있어야 한다.
長幼有序(장유유서) :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한다.
朋友有信(붕우유신) :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親(친)친함이란 단순히 친밀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仁/인)을
의미하는 것이며, 別(별) 구별이란 단순히 구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부부 간의 역할이 다르며 이를 존중한다는 禮(예)의 정신을 담고 있다.
삼강오륜의 親(친), 義(의), 別(별), 序(서), 信(신)은 유교의 다섯 가지
(仁(인), 義(의), 禮(예), 智(지), 信(신)이라는 기본적인 덕목을 반영한다.
조선왕조(朝鮮王朝)가 5백년을 지탱할 수 있었던 힘 가운데 중요한 것이
유학(儒學)이며, 그 유학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삼강오륜이다 .
그 삼강오륜의 뜻은 이상적인 유교국가를 이루기 위한 사회구성원 서로의
노력이지만, 방점(傍點)은 윗사람들의 솔선수범에 있었다.
즉 임금과 고위관료 등 사회 지도층에게는 더 높은 도덕성의 실천을 요구했던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있었기에 한 왕조가 5백년을 지속할 수 있었던,
세계적으로 유래 없는 업적을 이루어 내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첫댓글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라는 군위신강(君爲臣綱) 은 수명을 다 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