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서로에게 부과한 관세 철회를 두고 무역협상 줄다리기를 이어가는 등 경제력 중심의 패권싸움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글로벌 영향력 확대를 위해 위안화의 국제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제전문가들은 중국이 시진핑식 사회주의 시장경제가 붕괴되지 않는 한 양적인 경제규모 면에서 중국이 미국을 앞지르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보고 있다.
즉 중국의 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 중국 위안화 위상이 커지게 된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위안화가 세계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전제조건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김광수경제연구소의 김광수 소장은 9일 “중국정부가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좀처럼 진전되지 않고 있다”며 위안화가 기축통화가 되기 위한 5가지 전제 조건을 제시했다.
조건은 ▲거대한 실물경제권 형성 ▲금융시장이 완전히 투명하게 개방된 국제금융센터 구축 ▲양질의 금융투자 상품의 충분한 공급 ▲외환시장 자유화 ▲최상위의 국가 신용도다.
위안화는 지난 2016년 5대 기축통화의 하나로 포함, 형식적으로는 이미 기축통화지만 실질적으로는 거리가 멀다.
국제 은행 간 통신 협회(SWIFT)의 자국 내‧국제간 거래를 포함한 대내외 거래의 금융결제 비중을 보면 2017년 기준 미국 달러화가 39.85%로 비중이 가장 높고, 유로화가 35.66%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이어 영국 파운드화는 7.07%, 엔화는 2.96%, 중국 위안화는 1.61%에 불과하다.
그러나 국제금융결제 청산시스템을 경유하지 않은 위안화의 통화별 거래를 보면, 위안화-달러 거래가 거래액 면에서는 97.06%, 거래량 면에서는 84.14%로 압도적이다. 위안화의 국제금융결제 비중은 낮지만 국제화가 진전될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이유다.
전제조건 중 하나인 거대한 실물경제권 형성은 압도적으로 실물경제를 장악하고 있는 미국 달러에 이어 중국 역시 실물경제 규모를 갖췄다는 점에서 조건을 충족했다는 평가다.
두 번째는 금융시장이 완전히 투명하게 개방된 국제금융센터(금융중개 기능)의 구축이다.
미국(뉴욕)과 영국(런던), 일본(동경)은 국제금융센터가 연계돼 세계 금융시장이 24시간 가동되고 있다. 중국도 홍콩이 있지만 상하이는 아직 완전히 개방되지 않았다.
김광수 소장은 “상하이가 국제금융센터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뉴욕이나 런던 수준의 투명한 개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금융투자 상품의 충분한 공급도 조건중 하나다. 중국은 금융시장을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완전히 개방한 상태가 아니라 중국의 국채나 주식, 대출 등 금융상품을 외국인 투자자들이 제대로 사기 힘들다.
김 소장은 “그렇다고 중국 정부가 위안화 기축통화 진전을 위해 국채 발행을 마음대로 늘릴 수도 없다”며 “국채 발행은 재정정책에 따라 발행할 수밖에 없고, 국채 발행이 증가할수록 중국 정부의 채무부담도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가 위안화의 국제화 추진에 있어 취약점인 것으로 해석된다.
기축통화로서 역할 수행을 위한 외환시장의 자유화도 전제 조건이다. 자국 정부가 자국의 수출 증대 등을 목적으로 인위적인 시장개입 등을 통해 환율을 조작하거나 유도하면 안된다는 의미다. 현재 미국은 중국을 환율감시국으로 지정한 상태다. 미중 무역협상에서도 중국 정부의 환율조작 가능성에 대해 강력히 견제하고 있다.
김 소장은 “화폐는 신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기축통화국이 되려면 최상위 국가 신용도를 유지해야 한다”며 “위안화가 실질적으로 세계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이같은 전제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19/04/09/2019040900120.html
첫댓글 김광수경제연구소 경제시평을 소개한 기사가 있네요.
ㅋㅋㅋㅋ
^^
불가능해 보임. 중국은 인구가 넘 많아요. 사회주의 를 개방할 수는 없지요. 중국은 이러자니 포기할 수가 없고. 저러자니 나라가 절단 나고. 외통수 걸린 것입니다.
이것의 근본 원인은 중국이 인구도 많은데다 땅이 너무 크고 하나로 통일이 되어 묶여 있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 입니다.
중국은 지들 스스로 해체 되고 쪼개져 각자 도생 않는 한 일어설 가능성이 전혀 제로 이거늘.
중국이 가능성이 많은 나라임은 분명하나. 그것을 가능하게 하기 까지 엄청난 난관들이 있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많은 도전과 난관이 있고. 현재 중국이 그걸 가능한 역량이 있다고는 보지 않아요.
중국인들이 타이완 독립에 대해 미국의 힘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발적 으로 지들 스스로 찬성한다믄 중국인 의 역량을 인정함. ㅋㅋ 근데 그럴 일은 없을 것임. 저것들은 철저히 힘에 복속하지만. 지들 좀만 커지믄 기어 오르려고 하는 족속들임.
내년에 대만. 중국. 양안이 바다에서 전쟁 붙으믄 대만이 이기죠. 대만의 뒤에는 천조국. 미국이 있음. 미국 성님이 지원하믄 게임 끝.
중국은 중국이라는 나라가 아닌.
유럽 대륙. 중동, 유럽. 아랍 같은 문명 단위로 이해해야 합니다.
중국은 한 나라가 아님. 하나의 중국 이라는 말이 얼마나 얼척 없는 말인지, 대만을 지들이 타렉시트 해놓고선, 뭐가 어쩌고 저째. 미친 종족 들임.
@우르슐라 중국은 하나의 나라가 아니라, 유럽 연합. EU 같은 여러 나라의 집합체 임. 실질적으론. 공식적으로 이렇게 가지 않는 한 중국의 국력 상승은 요원하고 중국은 퇴보만 있을 뿐이나,
중국은 그 기득권 내려놓을 정도로 용기 있는 종족. 나라가 아닙니다. 절대. 지들 땅 내놓아라고, 미쳤나요? 만주. 내몽골은 물론. 티베트. 위구르 독립 시키는 순간,
그게 미국. 서방의 편으로 넘어가든 중국 정부의 관할이 아니게 되는 순간. 완전 끝이 나는 게, 중국은 완벽한 물 부족 국가 되거든. 중국 대륙 본토를 관통하는 중원의 양대 강인. 장강. 황하의 발원지가 여기라서. 티베트. 칭해성 쪽 티벳 고원이 중국 정부 영역을 벗어나믄. 중국은 영원히
@우르슐라 눈치 봐야 함. 수틀리믄, 댐 만들고, 물 잠가 버린다고 협박하믄. 그만이라, 동남아도 메콩강 중국이 협박하니 난리인데. 중국이 아닌 곳으로 넘어가서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 받을 수 있음. 땡큐임. 중국 편 들어줄 나라는 없음. 이 모든 것은
욕심 많고 어리석은 중국이 자초한 일이다. 그러니 남의 것 뺏어서 착취해서 도둑질 하믄 정신 못 차리는 겨. 티베트. 위구르. 만주. 남몽골.은 중국 영역 아니자녀.
대만도 마찬가지 이고, 홍콩은 니들 꺼 맞긴 한데. 홍콩인들이 스스로 니들 중국 이랑 같은 나라 안 하겠다고 하고 있고, 진짜 곧 쪼개지겄어. 현대판 춘추 전국 시대 오는 겨? 시방. 안 바라고. 걍 송 나라. 북송 수준 으로만 가거라.
거짓말 밥먹듯이 하고 기술 빼가는 장xx는 기축 통화 될 자격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