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저금하는대 관심이 많아서 여쭤봅니다. 우리,농협 같은 일반 은행에만 저축해봐서 ㅎㅎ
인터넷을 좀 찾아보긴했는데 좀 헷갈리는부분이 있어서 정확하게 알고싶어서요~
1. ok저축은행,웰컴저축은행같은 저축은행에도 저금이 가능한가요?
전 이자는 안줘도 좋으니, 원금 100%보호 되고, 5천만원 예금자 보호 되나여?
2. DB손해보험, 현대해상같은 실손보험,암보험같은 이런 보험회사도 저축이 가능하다고 들었는대요 저축 가능한가요?
된다면 원금 100%보호 되고, 5천만원 예금자 보호 되나여?
3. 제가 알기론 cma 계좌가 증권사 통장으로 아는데 예를 들어 우리투자증권에 주식같은거 절대안하고
단순히 저금이 가능한가요? 원금 100%보호 되고, 5천만원 예금자 보호 되나여?
예를들어 우리은행하고, 우리투자증권이 달라서 둘다 망하면 각각 5천만원 예금자 보호가 되나여?
이게 궁금합니다.
첫댓글 제가 아는 선에선
1. 저축은행 원리금 5천만원까지 보호가능합니다.
2. 저축성 보장보험이야기하시는것같은데 보장이 기본인 상품입니다. 경우에 따라 10년납 20년만기 같은 상품경우 20년 지나면 보장대신 원리금 받으실수있어요.
3. cma도 결국 주식성 상품(위험가능성이 매우매우 적은 상품)이고 증권사 cma는 원금보장 안됩니다.
법인이 다르다면 예금자보호도 각각적용됩니다. 신협, 농협, 새금도 개별 독립법인인데 A신협에 5천 B신협에 5천 넣으시면 각각 5천까지 보장받아요.
개인적으로 보수적으로 예적금하시면 3천만원까진 신협, 새금 추천합니다(비과세 가능). 이후엔 이자 많이주는 저축은행에 원금 4500씩 넣어두시구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윗분 말씀드린거 처럼 CMA는 예금자 보호 안됩니다. 요새, 딱히 cma 이점은 모르겠습니다.
또, 안에가 rp냐 mmf냐 mmw이냐에 따라서 보장 주체가 다릅니다.
cma는 예금자보호 안되지만 수시로 입출금하는.용도로 쓰면 예금보다 금리가 더 높습니다. 예금자보호는 스킵하라고 말씀드리긴 뭣하지만 삼성증권, nh증권 등등 망할가능성이 매우매우 희박합니다. 수시입출금 통장으로 쓰기에 좋고, 자축목적이면 예금통장이 아니고 적금을 드셔야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