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6.29 - 환경현장활동
갈촌리 화정마을 - 명지대 모때우기(모낸후 결주난 곳에 보식함)
소산리 소산마을 - 명지대 김매기(피사리)
김매기
농경지에 여러 가지 잡초가 돋아나 작물과 함께 자라면 작물이 이용해야 할 햇빛 ·양분 ·수분 ·공간 등을
빼앗으므로 작물을 심은 후 20∼30일 간격으로 잡초를 뽑거나 캐내어 없애야 한다.
이것은 농경작업 중에서 가장 많은 비용과 일손, 그리고 힘이 드는 작업이다. 벼농사에서는 모를 심은 후 20∼
30일 후에 호미로 김을 매고(초벌매기 또는 애벌매기), 그런 다음 20일경이 지나면 손 또는 제초기로 김을 매
며, 출수기 무렵 피사리(피를 뽑아냄)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밭농사에서는 작물을 심은 후 20∼30일에 한
번씩 3회 정도 김을 매어야 한다. 최근에는 제초제(除草劑)를 사용하여 김매는 노력과 비용을 크게 감소시키고
있다.
제초제(잡초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약제)
1970년대의 산업화로 인한 농촌 노동력감소에 의하여 잡초방제를 위해 제초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1940
년 초 이사디(2,4-D)와 MCPA가 제초제로 개발되면서 많은 제초제가 개발 ·사용되었다. 적용범위에 따라 살포
된 지역의 모든 식물을 죽이는 비선택성 제초제와 특정식물종만 살상시켜서 작물재배 중 잡초를 방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선택성 제초제로 나누어진다. 작용 메커니즘에 따라 제초제는, 약제가 직접 접촉한 부위만 죽
이는 접촉성 제초제와 식물체 내에 흡수되어 잎 ·줄기 또는 뿌리까지 이행되어 식물의 대사와 생장을 저해하
여 죽음에 이르게 하는 침투성 제초제로 구분한다. 제초제의 흡수위치에 따라 토양제초제와 경엽(莖葉)제초제
가 있다. 잡초가 발아하기 전에 토양에 살포하여 잡초종자를 살상시키는 발아 전 처리제와 이미 생육하고 있
는 잡초를 목표로 처리하는 발아 후 처리제로, 또한 사용시기에 따라 제초제를 분류하기도 한다. 사용되고 있는
제초제로는 ① 지방족 산제:2,4-D, 2,4,5-T, 2,4-DP, MCPA, MCPP, MCPB, 글리포세이트.
② 페놀제:PCP.
③ 아미드제:프로파닐, 부타클로르(마세트), 알라클로르(라소).
④ 카바메이트제:클로르프로팜, 펜메디팜(베타날), 티오벤카르브(사단).
⑤ 요소제:메타벤즈티아주론(트리븐닐).
⑥ 트리아진제:아트라진, 시마진.
⑦ 비피리딜리움제:파라콰트(그라목손).
⑧ 우라실제:브로마실(하이바엑스), 벤타존(밧사그란).
⑨ 기타 유기제초제:글리포세이트(근사미) 등이 있다.
작물재배 중 제초제를 잘못 사용하면 작물에 약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제초제의 선택성, 사용시기 등을 고
려하여 신중하게 살포해야 한다.
고엽제(=초목을 고사시키는 제초제)
농약의 용도상 분류에서 낙엽제(落葉劑)에 해당하는 것을 고엽제라고 속칭하지만, 흔히 미국군이 베트남전쟁
당시 밀림에 다량 살포한 2·4·5-T계 제초제를 가리킨다. 미국은 고엽제를 무기로 보지 않고 밀림을 없애
게릴라전을 막고 군량의 보급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미국군은 이 작전을 '오렌지작전'이라 불렀지만, 매스컴에서는 이를 '고엽작전'이라 보도하고 여기에 쓰인 약
제를 고엽제라 하였다. 1969년 미국은 동물실험에 의하여, 2·4·5-T계 제초제를 합성할 때 함유하는 초미량
의 불순물인 다이옥신이 인체에 들어간 뒤 5∼10년이 지나면 각종 암과 신경계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밝히
고 이 약제의 사용을 중지하였다.
1994년 6월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 군인 및 민간인 약 2백만 명이 고엽제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국의 베트남 참전용사들 중에서도 고엽제로 인하여 상당수가 두통·현기증·가슴앓이·피부에 혹
이 생기는 등 고엽제 질환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국제연합(UN)은 고엽제를 '제네바일반의정서'에서 사용금지한 화학무기로 보고 베트남전쟁 이후 고엽제의 사
용을 감시하고 있다. 그러나 농업국에서는 여전히 고엽제가 작물파괴용으로 사용되고 있어 기아전쟁의 가능성
을 내포하고 있다.
다이옥신 (dioxin) - 고엽제로 알려진 화학물질.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사용한 물질로, 기형아 출생의 원인이 되어 인류가 만든 최악의 물질이라고 불리기
도 한다. 두 개의 벤젠핵이 산소로 이어진 구조를 가진 유기화합물로서 염소의 수와 그 위치에 따라 75종의
이성체(異性體)가 있다. 그러나 보통 다이옥신이라는 말은 이 중 2, 3, 7, 8-사염화디벤조-p-다이옥신(TCDD)
을 가리키는데, 가장 독성이 강하며 최기형성(催畸型性), 발암성이 있다. 쓰레기 소각장이나 인체로부터도 검출
되고 있다.
환경보호청(EPA)의 한 보고서는 다이옥신이 대부분의 사람들 몸 속에 현재 들어 있는 배경농도에서도 암과
불임, 태아의 발달 저해 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