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보다 돈되는 음식산업, 우리는....
일본 식품회사 ‘아지노모토’는 2001년부터 ‘Cook do Korea’라는 브랜드로 비빔밥 등 한국 전통음식을 상품화했고, 일본의 최고급 레스토랑 ‘노부’는 갈비와 불고기 메뉴로 전 세계에 진출하고 있다. 타이완 맥도날드는 ‘김치버거’를 개발해 두 달 새 18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세계 각지에 한류(韓流) 열풍이 불고, 아시아 음식이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한국 음식산업의 세계 진출은 미미하기 짝이 없다. 우리 음식산업의 주도권까지 외국에 빼앗기고 있다.
◆외국에 선수(先手) 빼앗기는 한국의 음식산업=세계 각지에 산재하는 한국 식당은 현지 교민을 대상으로 한 영세 개별 점포가 대부분이다. 한국 음식 브랜드화는 엄두도 못 내고, 그나마 식당 수도 크게 부족하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영국에 있는 일본 음식점은 1만2000여개, 인도 음식점은 9000여개, 베트남 음식점은 7000여개에 이르지만 한국 음식점은 한인(韓人)타운인 뉴몰든을 중심으로 50여개에 불과하다. 해외의 한국식당 외국인 손님의 비율은 10%를 밑도는 곳이 대부분이다.
심지어 안방에서조차 푸대접 받고 있다. 서울의 17개 특 1급 호텔 중 한식당을 운영하는 곳은 5곳에 불과하다. 반면 외국계 프랜차이즈 점포는 2002년 3721개에서 2004년 4579개로 급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식품산업의 특허비용은 수출 9만달러에 수입이 6400만달러로, 수입이 수출의 711배에 달한다. 음식 산업이 처참한 ‘수입 초과 산업’으로 전락한 셈이다.
◆각국별 음식산업 육성 경쟁=음식산업은 어느 업종보다 고용창출 효과가 크다. 국내 고용 유발 인원이 52만8000명으로 자동차(7만9000명)와 반도체(8만9000명)보다 훨씬 많다. 생산 유발액도 음식업은 37조원으로 반도체 34조원·자동차 33조원보다 많다.
외국은 ‘최고의 문화상품’인 음식산업 수출에 발벗고 나섰다. 태국은 2001년부터 탁신 총리가 직접 주도해 전 세계 태국 음식점을 5500개에서 2007년까지 8500개로 증설하는 ‘Kitchen of the World’ 프로젝트를 국가전략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글로벌 타이 레스토랑(GTR)’이란 법인을 만들어 해외 태국식당 브랜드화에도 나섰다. 태국은 음식산업 수출로 연간 60억달러 이상을 벌어들이고 있다. 일본은 초밥 요리의 일인자를 꿈꾸는 소년을 다룬 만화 ‘미스터 초밥왕’을 보급시켜 일본문화를 세계에 퍼뜨리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한식 세계화를 위해 편성한 올해 예산은 ‘조리법 표준화’에 1억8000만원 등 총 23억원에 불과하다. 어느 외국인 주부는 “한국 책자를 보고서 갈비찜 조리법대로 조리를 했더니 갈비찜이 아닌 갈비탕이 됐다”고 말했다. 전통음식연구소 윤숙자 소장은 “그동안 도제식으로 전수돼 온 한국 음식의 조리법을 표준화·과학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희망의 씨앗 뿌리는 한국 기업들=두산이 1997년 중국 베이징에 개점한 한식당 ‘수복성(壽福城)’은 후진타오 주석이 찾을 만큼 최고위층의 입맛을 사로 잡았다. CJ그룹은 지난 6월 일본 나리타 공항에 자체 브랜드인 ‘웰리앤 돌솥비빔밥 전문점’을 오픈했고, 홍콩국제공항 등으로 점포망을 넓혀갈 계획이다. 해외 시장을 겨냥해 한식 뷔페 ‘한쿡’과 비빔밥 전문점 ‘소반’을 개발했다.
한국음식 프랜차이즈를 통째로 일본에 수출한 기업도 있다. ㈜놀부는 ‘항아리 갈비’ 브랜드를 매출액의 4%를 로열티로 받는 좋은 조건으로 일본에 수출했다. 최근 삿포로에 첫 점포를 열었고, 오는 15일에는 일본의 유력 외식업체 ‘페퍼런치’가 있던 자리에 도쿄 1호점을 낸다. 놀부 영업본부 유민종 이사는 “우리의 비법인 양념장을 일본 현지 재료로 만들기 위해 두 달 동안 일본에서 연구했다”며, “우수한 한국 음식을 표준화·현지화하면 해외시장에서 충분한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김덕한기자 [블로그 바로가기 ducky.chosun.com])
2006년 7월 13일 (목) 03:00 조선일보
<고찰>
우리나라 음식의 우수성은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식품이다. 예를 들어, 김치는 항암효과가 있는것으로도 유명한다. 이런 좋은 우리고유의 음식들을 다른 나라에게 빼앗기고 있다.
기사의 서두를 보면, 일본의 식품회사는 비빔밥 등 한국 전통음식을 상품화했다고 하고, 레스토랑 ‘노부’는 갈비와 불고기 메뉴로 전 세계에 진출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심지어 타이완 맥도날드에서는 ‘김치버거’를 개발해 두 달 새 18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고 한다. 이는 우리의 것에 자긍심을 가지지 못하고 무조건 외국의 것만 좋은것이라고 여기는 한국인들의 사고에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서울의 특1급호텔에서 한식당을 운영하는 곳은 겨우 5곳에 불과하여 외국의 프랜차이져 점포는 이미 수입초과상태라고 한다.
물론, 우리나라 프랜차이져 기업이 외국의 수출한 좋은 사례도 있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외국의 경우에 음식산업에 발벗고 나서서 투자도 많이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많은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 음식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임이 확실한 지금 국가에서 더 많은 투자를 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조리법을 준시시키고 우리나라 전통음식인 김치나, 간장, 청국장등을 외국사람들의 입맛에 맞게 제품화 한다면 한류열풍이 불고있는 지금 많은 수익을 안겨다 주는 좋은 산업이 될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