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마천의 사기
권44. 위세가(魏世家) 위(魏)나라의 선조와 필만(畢萬)
魏之先, 畢公高之後也. 畢公高與周同姓.1) 武王之伐紂, 而高封於畢,2) 於是為畢姓. 其後絶封, 為庶人, 或在中国, 或在夷狄. 其苗裔曰畢萬, 事晉献公.
위(魏)나라의 선조는 필공(畢公) 희고(姬高)의 후손이다. 필공 희고와 주(周)나라의 왕족은 성이 같았다. 주 무왕(周武王)이 상(商)나라의 주(紂)를 정벌하고, 희고를 필(畢)에 봉한 까닭에 성을 필로 썼다. 그의 후손은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평민이 되어 어떤 이는 중원에 살았고, 어떤 이는 변방 오랑캐 땅에 살았다. 그의 후손 중에 필만(畢萬)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그는 진 헌공(晉獻公)을 섬겨 벼슬을 했다.
献公之十六年, 趙夙為御, 畢萬為右, 以伐霍、耿、魏, 滅之. 以耿封趙夙, 以魏封畢萬,3) 為大夫. 卜偃曰:4)「畢萬之後必大矣, 萬, 満數也;魏, 大名也. 以是始賞, 天開之矣, 天子曰兆民, 諸侯曰萬民. 今命之大, 以従満數, 其必有衆.」初, 畢萬卜事晉, 遇屯之比. 辛廖占之, 曰:「吉. 屯固比入, 吉孰大焉, 其必蕃昌.」
헌공 16년에 조숙(趙夙)이 어자(御者)가 되고 필만은 우위(右衛)가 되어 곽(霍), 경(耿), 위(魏)를 공격해 멸망시켰다. 경 땅에는 조숙을 대부로 봉했고, 위 땅에는 필만을 대부로 봉했다.
복언(卜偃)이 말하기를 “필만의 후손은 반드시 크게 번창할 것이다. ‘만(萬)’자는 만수(滿數)이고, ‘위(魏)’자는 높고 큰 것을 의미한다. 이로 볼 때 이는 개천(開天)의 뜻이 담겨 있는 것이다. 천자는 억만 명의 백성을 거느린다고 하고, 제후는 만 명의 백성을 거느린다고 한다. 지금 이름의 크기가 만수(滿數)이니 반드시 많은 백성이 모일 것이다.”
처음에 필만이 진(晉)나라를 섬길 때 얻은 점괘는 “둔(屯)” 괘에서 “비(比)” 괘로 변했다. 신료(辛廖)가 이를 풀어 말하기를 “길하다. ‘둔괘’는 견고함을 뜻하고, ‘비괘’는 진입을 뜻하는데, 이보다 더 좋은 점괘가 또 어디에 있으리오? 그의 후손이 반드시 번창하리라!”라 했다.
각주
1 索隠左傳富辰説文王之子十六国有畢、原、豊、郇, 言畢公是文王之子. 此云與周同姓, 似不用左氏之説. 馬融亦云畢、毛, 文王庶子.
2 集解杜預曰:「畢在長安県西北.」 正義括地志云:「畢原在雍州萬年県西南二十八里.」
3 正義魏城在陝州芮城県北五里. 鄭玄詩譜云:「魏, 姫姓之国, 武王伐紂而封焉.」
4 索隠晉掌卜大夫郭偃也.
권44. 위세가(魏世家) 무자(武子)
畢萬封十一年, 晉献公卒, 四子争更立, 晉亂. 而畢萬之世弥大, 従其国名為魏氏. 生武子.1) 魏武子以魏諸子事晉公子重耳. 晉献公之二十一年, 武子従重耳出亡. 十九年反, 重耳立為晉文公, 而令魏武子襲魏氏之後封, 列為大夫, 治於魏. 生悼子.
필만이 녹봉(錄封)을 받은 지 11년 되던 해에 진 헌공이 죽었고, 그의 네 아들이 왕위를 쟁탈하느라 나라가 어지러웠다. 필만의 자손들은 날로 번창해 자신들이 제후로 봉해진 곳의 지명을 따서 위씨(魏氏)로 했다.
필만의 후손이 무자(武子)를 낳았고, 위 무자는 위씨 집안의 자손 자격으로 진(晉)나라의 공자 중이(重耳)를 섬겼다. 진 헌공 21년에 무자가 중이를 따라서 도망했다. 19년 뒤에 돌아와서 중이가 즉위해 진 문공(晉文公)이 되어, 위 무자로 하여금 위씨 집안의 봉토를 세습하게 했다. 또 그를 대부(大夫)의 대열에 올려주고, 위 땅을 통치하게 했다. 위 무자는 위 도자(魏悼子)를 낳았다.
각주
1 索隠左傳武子名犨. 系本云「畢萬生芒季, 芒季生武仲州」. 州與犨声相近, 字異耳, 代亦不同
권44. 위세가(魏世家) 위강(魏降)
魏悼子徙治霍.1) 生魏絳.2)
위 도자는 위의 통치구역을 곽 땅으로 옮겼다. 그는 아들 위강(魏降)을 낳았다.
魏絳事晉悼公. 悼公三年, 会諸侯. 悼公弟楊干亂行, 魏絳僇辱楊干.3) 悼公怒曰:「合諸侯以為栄, 今辱吾弟!」将誅魏絳. 或説悼公, 悼公止. 卒任魏絳政, 使和戎、翟, 戎、翟親附. 悼公之十一年, 曰:「自吾用魏絳, 八年之中, 九合諸侯, 戎、翟和, 子之力也.」賜之樂, 三譲, 然後受之. 徙治安邑.4) 魏絳卒, 謚為昭子.5) 生魏嬴. 嬴生魏献子.6)
위강은 진 도공(晉悼公)을 섬겼다. 도공 3년에 제후들과 회맹했다. 도공의 동생 양간(楊干)의 군대 대열이 문란하자, 위강이 양간에게 모욕을 주었다.
도공이 노하여 말하기를 “제후들을 회맹한 것이 명예 때문인데, 지금 과인의 동생을 욕되게 했도다!”라고 하며, 위강을 죽이려고 했다. 어떤 이가 도공을 설득해 도공이 멈추었다. 마침내 위강을 행정관에 임명해 그로 하여금 융족(戎族), 적족(狄族)과 화약을 맺도록 해, 융족과 적족을 속국으로 삼았다. 진 도공 11년, 도공이 말하기를 “과인이 위강을 임용한 이래 8년 동안에 수없이 제후들을 규합하고 융족, 적족과 화약을 맺었으니, 이는 그대의 공이로다.”라고 하며 악기를 하사하니, 그가 재삼 사양한 연후에 악기를 받았다.
그 후 안읍(安邑)으로 옮겨서 통치했다. 위강이 죽은 후 시호를 소자(昭子)라 했다. 그는 위영(魏嬴)을 낳았다. 위영은 위 헌자(魏獻子)를 낳았다.
각주
1 索隠系本云「武仲生荘子絳」, 無悼子. 又系本居篇曰「魏武子居魏, 悼子徙霍」. 宋忠曰「霍, 今河東彘県也」. 則是有悼子, 系本卿大夫代自脱耳. 然魏, 今河北魏県是也. 正義晉州霍邑県, 漢彘県也, 後漢改曰永安, 隋改曰霍邑, 本春秋時霍伯国也.
2 索隠謚昭子. 系本云「荘子」, 文錯也. 居篇又曰「昭子徙安邑」, 亦與此文同也.
3 索隠左傳曰僇楊干之僕.
4 正義安邑在絳州夏県安邑故城是.
5 集解徐広曰:「世本曰荘子.」
6 索隠系本云「献子名荼. 荼, 荘子之子」. 無魏嬴.
권44. 위세가(魏世家) 헌자(献子)
献子事晉昭公. 昭公卒而六卿彊, 公室卑.
헌자는 진 소공(晉昭公)을 섬겼다. 소공이 죽고 나서 육경(六卿)이 강해졌고, 공실은 약해졌다.
晉頃公之十二年, 韓宣子老, 魏献子為国政. 晉宗室祁氏、羊舌氏相悪, 六卿誅之, 尽取其邑為十県, 六卿各令其子為之大夫. 献子與趙簡子、1)中行文子、2)范献子3)並為晉卿.
진 경공(晉頃公) 12년에 한선자(韓宣子)가 퇴임했고, 위 헌자가 국정을 맡게 되었다. 진나라의 종족(宗族)인 기씨(祁氏)와 양설씨(羊舌氏)가 서로 증오하며 공격해, 육경들이 그들을 죽이고, 그들의 봉읍(封邑)을 모두 빼앗아 10현(十縣)으로 나누고, 육경들이 각기 자신들의 자식들로 하여금 현의 대부가 되게 했다. 헌자와 더불어서 조간자(趙簡子), 중항문자(中行文子), 범헌자(范獻子)가 함께 진경(晉卿)으로 있었다.
각주
1 索隠趙鞅.
2 索隠荀寅.
3 索隠范吉射.
[143] 권44. 위세가(魏世家) 위치(魏侈)
其後十四歳而孔子相魯. 後四歳, 趙簡子以晉陽之亂也, 而與韓、魏共攻范、中行氏. 魏献子生魏侈.1) 魏侈與趙鞅共攻范、中行氏.
그 후 14년이 지나서 공자(孔子)가 노(魯)나라에서 국정을 도왔다. 또 4년이 지나서는 조간자가 진양(晉陽)의 난으로 인해 한(韓), 위(魏)와 같이 범씨(范氏), 중항씨(中行氏)를 공격했다. 위 헌자는 위치(魏侈)를 낳았다. 위치는 조앙(趙鞅)과 함께 범씨와 중항씨를 공격했다.
魏侈之孫曰魏桓子,2) 與韓康子、3)趙襄子4)共伐滅知伯,5) 分其地.
위치의 손자가 위 환자(魏桓子)인데, 한강자(韓康子), 조양자(趙襄子)와 더불어서 지백(知伯)을 멸하고 그 땅을 나누어 가졌다.
각주
1 索隠侈, 他本亦作「哆」, 蓋「哆」字誤, 而代數錯也. 按系本「献子生簡子取, 取生襄子多」, 而左傳云「魏曼多」是也. 則侈是襄子, 中閒少簡子一代.
2 索隠系本云:「襄子生桓子駒.」
3 索隠名虔.
4 索隠名無恤.
5 索隠智伯, 智瑶也, 本姓荀, 亦曰荀瑶. 正義知音智. 括地志云:「故智城在蒲州虞郷県西北四十里. 古今地名云解県有智城, 蓋謂此也.」
권44. 위세가(魏世家) 문후(文侯)
桓子之孫曰文侯都.1) 魏文侯元年, 秦霊公之元年也. 與韓武子、2)趙桓子、周威王同時.
환자의 손자는 문후도(文侯都)이다. 위 문후(魏文侯) 원년은 진 영공(秦靈公) 원년이다. 이는 한무자(韓武子), 조환자(趙桓子), 주 위왕(周威王) 등과 같은 시대이다.
六年, 城少梁. 十三年, 使子撃囲繁、龐, 出其民. 十六年, 伐秦, 築臨晉元里.
위 문후 6년에는 소량(少梁)에 성을 축성했다. 13년에는 자격(子擊)으로 하여금 번(繁), 방(龐) 땅을 공격하게 해 그곳 주민들을 몰아냈다. 16년에는 진(秦)나라를 정벌해, 임진(臨晉), 원리(元里)에 성을 축조했다.
十七年, 伐中山, 使子撃守之, 趙倉唐傅之. 子撃逢文侯之師田子方於朝歌, 引車避, 下謁. 田子方不為礼. 子撃因問曰:「富貴者驕人乎? 且貧賎者驕人乎?」子方曰:「亦貧賎者驕人耳. 夫諸侯而驕人則失其国, 大夫而驕人則失其家. 貧賎者, 行不合, 言不用, 則去之楚、越, 若脱■然, 柰何其同之哉!」子撃不懌而去. 西攻秦, 至鄭而還, 築雒陰、合陽.3)
17년에는 중산(中山)을 토벌해 자격(子擊)으로 하여금 이를 지키게 했고, 조창당(趙倉唐)으로 하여금 보좌하게 했다. 자격이 조가(朝歌)에서 위 문후의 사부 전자방(田子方)을 만났다. 자격이 수레를 비키게 하고, 수레에서 내려서 그를 배알했다. 전자방이 답례를 하지 않았다.
자격이 그에게 물어 말하기를 “부귀한 사람이 남을 교만하게 대합니까? 아니면 빈천한 사람이 남을 교만하게 대합니까?”라고 물으니, 자방이 말하기를 “원래는 빈천한 사람만이 남을 교만하게 대할 뿐입니다. 대저 제후가 남을 교만하게 대한다면 그 나라를 잃을 것이며, 대부가 남을 교만하게 대한다면 제 집을 잃을 것입니다. 빈천한 사람은 행동함에 그 왕의 뜻에 합치하지 못하며, 진언을 함에 왕의 쓰임을 받지 못하니, 그를 떠나서 초(楚), 월(越) 나라로 가기를 마치 신을 벗듯이 할 것입니다. 그러니 어떻게 이들을 같게 볼 수 있겠습니까!”라 했다.
자격이 불쾌해 하며 그를 떠났다. 이해에 위나라는 서쪽으로 진(秦)나라를 공격해, 정(鄭) 땅에 이르러서 철군했다. 낙음(洛陰), 합양(合陽)에 성을 축조했다.
二十二年, 魏、趙、韓列為諸侯.
위 문후 22년에는 위(魏), 조(趙), 한(韓)이 제후의 대열에 들었다.
二十四年, 秦伐我, 至陽狐.4)
위 문후 24년에는 진(秦)나라가 위(魏)나라를 공격해 양호(陽狐)까지 진격했다.
二十五年, 子撃生子罃.5)
위 문후 25년에는 자격이 자앵(子罃)을 낳았다.
文侯受子夏経藝, 客段干木, 過其閭, 未嘗不軾也.6) 秦嘗欲伐魏, 或曰:「魏君賢人是礼, 国人称仁, 上下和合, 未可図也.」文侯由此得誉於諸侯.
위 문후가 자하(子夏)로부터 경서를 수학했고, 단간목(段干木)을 객(客)으로 대접하면서, 그의 고을을 지날 때면 목례를 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진(秦)나라가 위(魏)나라를 공격하려고 한 적이 있는데, 어떤 이가 말하기를 “위나라의 왕은 예로써 현인(賢人)을 환대해 나라 사람들이 모두 어질다고 하고,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잘 융화되어 침략할 만하지 않습니다.”라 했다. 문후는 이 때문에 제후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
任西門豹守鄴, 而河内7)称治.
위 문후는 서문표(西門豹)로 하여금 업(鄴) 땅을 통치하게 해 하내(河內)가 잘 다스려졌다.
魏文侯謂李克曰:「先生嘗教寡人曰『家貧則思良妻, 国亂則思良相』. 今所置非成則璜,8) 二子何如?」李克対曰:「臣聞之, 卑不謀尊, 疏不謀戚. 臣在闕門之外, 不敢當命.」文侯曰:「先生臨事勿譲.」李克曰:「君不察故也. 居視其所親, 富視其所與, 達視其所挙, 窮視其所不為, 貧視其所不取, 五者足以定之矣, 何待克哉!」文侯曰:「先生就舎, 寡人之相定矣.」李克趨而出, 過翟璜之家. 翟璜曰:「今者聞君召先生而卜相, 果誰為之?」李克曰:「魏成子為相矣.」翟璜忿然作色曰:「以耳目之所睹記, 臣何負於魏成子? 西河之守, 臣之所進也. 君内以鄴為憂, 臣進西門豹. 君謀欲伐中山, 臣進樂羊. 中山以抜, 無使守之, 臣進先生. 君之子無傅, 臣進屈侯鮒. 臣何以負於魏成子!」李克曰:「且子之言克於子之君者, 豈将比周以求大官哉? 君問而置相『非成則璜, 二子何如』?克対曰:『君不察故也. 居視其所親, 富視其所與, 達視其所挙, 窮視其所不為, 貧視其所不取, 五者足以定之矣, 何待克哉!』是以知魏成子之為相也. 且子安得與魏成子比乎? 魏成子以食祿千鍾, 什九在外, 什一在内, 是以東得卜子夏、田子方、段干木. 此三人者, 君皆師之. 子之所進五人者, 君皆臣之. 子悪得與魏成子比也?」翟璜逡巡再拝曰:「璜, 鄙人也, 失対, 願卒為弟子.」
위 문후가 이극(李克)에게 말하기를 “선생께서 일찍이 과인을 가르치시며 말씀하시기를 ‘집안이 가난하면 양처를 그리게 되고, 나라가 혼란하면 훌륭한 재상을 그리게 된다.’라고 하셨습니다. 지금 위나라의 재상을 임명함에 성자(成子) 아니면 적황(翟璜)인데, 두 사람이 어떠합니까?”
이극이 대답해 말하기를 “제가 듣기로는 비천한 자가 존귀한 사람을 평하지 않고, 소원한 사람이 가까운 사람을 평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저는 궐문 밖에 있는데, 감히 왕의 명을 받들 수 없습니다.”라고 하니, 문후가 말하기를 “선생께서는 일에 임해서 사양하지 마십시오.”라 했다.
이극이 말하기를 “왕께서 세밀히 관찰하지 않으신 까닭입니다. 평소에 지낼 때에는 그의 가까운 사람들을 살피고, 부귀할 때에는 그와 왕래가 있는 사람을 살피고, 관직에 있을 때에는 그가 천거한 사람을 살피고, 곤궁한 상황에서는 그가 하지 않는 일을 살피고, 어려울 때에는 그가 취하지 않는 것을 살피십시오. 이 다섯 가지만 살피면 족히 인선을 하실 수 있으신데, 어찌 저의 조언을 기다리십니까!”라고 하니, 문후가 말하기를 “선생께서는 관부로 돌아가십시오. 과인의 재상은 정해졌습니다.”라 했다.
이극이 급히 나와서, 적황의 집을 방문했다. 적황이 말하기를 “지금 듣자하니 왕께서 선생을 불러 재상선임 문제를 물었다고 하는데, 도대체 누구를 재상으로 정했습니까?”라고 하니, 이극이 말하기를 “위 성자(魏成子)가 재상이 되었습니다.”라 했다.
이에 적황이 분노한 기색을 하며 말하기를 “귀로 듣고 눈으로 볼 때, 제가 어찌 위 성자보다 못합니까? 서하(西河)의 군수는 제가 천거했습니다. 왕께서 내심 업 땅 때문에 근심하실 때, 제가 서문표를 추천했습니다. 왕께서 중산을 정벌하려고 하실 때, 제가 악양(樂羊)을 천거했습니다. 중산을 토벌한 후에는 이를 지킬 사람을 찾지 못해, 제가 선생을 추천했습니다. 태자가 사부(師傅)가 없어, 제가 굴후부(屈侯鮒)를 추천했습니다. 제가 어찌 위 성자만 못하겠습니까!”라고 하니, 이극이 말하기를 “그대가 그대의 왕에게 나를 진언한 것이 어찌 장차 큰 벼슬을 구하기 위함이었겠습니까? 왕께서 재상 정하는 문제에 대해서 물으시기를 ‘성자(成子) 아니면 적황인데, 두 사람이 어떠합니까?’라고 하셔서 제가 대답해 말하기를 ‘임금께서 세밀히 관찰하지 않으신 까닭입니다.
평소에 지낼 때에는 그의 가까운 사람들을 살피고, 부귀할 때에는 그와 왕래가 있는 사람을 살피고, 관직에 있을 때에는 그가 천거한 사람을 살피고, 곤궁한 상황에서는 그가 하지 않는 일을 살피고, 어려울 때에는 그가 취하지 않는 것을 살피십시오. 이 다섯 가지만 살피면 족히 인선을 하실 수 있으신데, 어찌 저의 조언을 기다리십니까!’라고 했습니다.
이 때문에 위 성자가 재상이 된 것을 알았습니다. 또한 그대가 어찌 위 성자와 견줄 만하다는 말입니까? 위 성자는 식록(食祿)이 천종(千鍾)인데, 그중 10분의 9는 밖에서 쓰고, 10분의 1만을 집에서 사용했기에 동쪽에서 복자하(卜子夏), 전자방(田子方), 단간목(段干木) 등 세 사람을 얻었습니다. 이 세 사람은 모두 왕께서 스승으로 삼았습니다. 그대가 올린 다섯 사람은 왕께서 모두 신하로 삼았습니다. 그대가 어찌 위 성자와 비교할 수 있다는 말입니까?”라 했다. 적황이 멈칫거리다 절을 두 번 올리며 말하기를 “제가 비천한 사람입니다. 선생에 대한 대답이 부당했습니다. 원컨대 평생토록 선생님의 제자가 되겠습니다.”라 했다.
二十六年, 虢山崩, 壅河.9)
26년에는 괵산(虢山)이 무너져서 황하를 막아버렸다.
三十二年, 伐鄭. 城酸棗. 敗秦于注.10) 三十五年, 斉伐取我襄陵.11) 三十六年, 秦侵我陰晉.12)
32년에는 정(鄭)나라를 공격했다. 산조(酸棗)에 성을 축조했다. 주(注) 읍에서는 진(秦)나라 군사를 물리쳤다. 35년에는 제나라 군이 위나라의 양릉(襄陵)을 점령했다. 36년에는 진나라 군사가 위나라의 음진(陰晉)을 침공했다.
각주
1 集解徐広曰:「世本曰斯也.」 索隠系本云「桓子生文侯斯」, 其傳云「孺子■是魏駒之子」, 與此系代亦不同也.
2 索隠系本「武子名啓章, 康子之子桓子名嘉襄子之子.」
3 正義雒, 漆沮水也, 城在水南. 郃陽, 郃水之北. 括地志云:「郃陽故城在同州河西県南三里. 雒陰在同州西也.」
4 正義括地志云:「陽狐郭在魏州元城県東北三十里也.」
5 索隠乙耕反. 撃, 武侯也. 罃, 恵王也.
6 正義過, 光臥反. 文侯軾干木閭也. 皇甫謐高士傳云:「木, 晉人也, 守道不仕. 魏文侯欲見, 造其門, 干木踰牆避之. 文侯以客礼待之, 出過其閭而軾. 其僕曰:『君何軾?』曰:『段干木賢者也, 不趣勢利, 懐君子之道, 隠処窮巷, 声馳千里, 吾安得勿軾! 干木先乎徳, 寡人先乎勢;干木富乎義, 寡人富乎財. 勢不若徳貴, 財不若義高.』又請為相, 不肯. 後卑己固請見, 與語, 文侯立倦不敢息.」淮南子云:「段干木, 晉之大駔, 而為文侯師.」呂氏春秋云:「魏文侯見段干木, 立倦而不敢息. 及見翟璜, 踞於堂而與之言. 翟璜不悦. 文侯曰:『段干木, 官之則不肯, 祿之則不受. 今汝欲官則相至, 欲祿則上卿至, 既受吾賞, 又責吾礼, 無乃難乎?』」
7 索隠按:大河在鄴東, 故名鄴為河内. 正義古帝王之都多在河東、河北, 故呼河北為河内, 河南為河外. 又云河従竜門南至華陰, 東至衛州, 折東北入海, 曲繞冀州, 故言河内云也.
8 集解徐広曰:「文侯弟名成.」
9 集解徐広曰在陝. 駰案:地理志曰弘農陝県故虢国. 北虢在大陽, 東虢在滎陽. 正義括地志云:「虢山在陝州陝県西二里, 臨黄河. 今臨河有岡阜, 似是穨山之余也.」
10 集解司馬彪曰:「河南梁県有注城也.」 正義括地志云:「注城在汝州梁県西十五里. 注, 或作『鋳』也.」
11 集解徐広曰:「今在南平陽県也.」
12 集解徐広曰:「今之華陰.」 索隠按:年表作「斉侵陰晉」. 秦本紀云「恵王六年, 魏納陰晉, 更名曰寧秦」. 徐氏云「今之華陰也」.
사기 권44. 위세가(魏世家) 무후(武侯)
三十八年, 伐秦, 敗我武下, 得其将識.1) 是歳, 文侯卒,2) 子撃立, 是為武侯.
38년에는 진나라를 공격해 무하성(武下城)에서 패전했으나, 진나라 장수 식(識)을 생포했다. 이해에 위 문후가 죽고, 자격(子擊)이 즉위하니, 그가 무후(武侯)이다.
魏武侯元年, 趙敬侯初立,3) 公子朔為亂, 不勝, 奔魏, 與魏襲邯鄲, 魏敗而去.
위 무후 원년에는 조 경후(趙敬侯)가 새로 즉위했고, 공자 삭(朔)이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자, 위나라로 도망해 위나라 군과 더불어 한단(邯鄲)을 습격했으나 역시 실패하고 철수했다.
二年, 城安邑、王垣.4)
2년에는 안읍(安邑)과 왕원(王垣)에 성을 쌓았다.
七年, 伐斉, 至桑丘.5) 九年, 翟敗我于澮.6) 使呉起伐斉, 至霊丘.7) 斉威王初立.8)
7년에는 제나라를 공격해 상구읍(桑丘邑)에까지 이르렀다. 9년에는 적(狄)이 회(澮)에서 위나라 군을 패퇴시켰다. 오기(吳起)로 하여금 제(齊)나라를 공격하게 해 영구(靈丘)에까지 이르렀다. 제 위왕(齊威王)이 즉위했다.
十一年, 與韓、趙三分晉地, 滅其後.
11년에는 한, 조와 더불어서 진(晉)나라 땅을 삼분하고 진나라를 멸망시켰다.
十三年, 秦献公県櫟陽. 十五年, 敗趙北藺.9)
13년에는 진 헌공(秦獻公)이 역양(櫟陽)으로 천도했다. 15년에는 북린(北藺)에서 조나라 군사를 물리쳤다.
각주
1 索隠識, 将名也. 武下, 魏地. 正義括地志云:「故武城一名武平城, 在華州鄭県東十三里.」
2 索隠三十八年卒. 紀年云五十年卒.
3 索隠按:紀年魏武侯之元年當趙烈侯之十四年, 不同也. 又系本敬侯名章.
4 集解徐広曰:「垣県有王屋山也.」 索隠按:紀年十四年城洛陽及安邑、王垣. 徐広云「垣県有王屋山, 故曰王垣」. 正義括地志云:「故城漢垣県, 本魏王垣也, 在絳州垣県西北二十里也.」
5 正義年表云「斉伐燕, 取桑丘」, 故魏救燕伐斉, 至桑丘也. 括地志云:「桑丘故城俗名敬城, 在易州遂城県界也.」
6 索隠古外反. 于澮, 於澮水之側. 正義括地志云:「澮高山又云澮山, 在絳州翼城県東北二十五里, 澮水出此山也.」
7 正義霊丘, 蔚州県也. 時属斉, 故三晉伐之也.
8 索隠按紀年, 斉幽公之十八年而威王立.
9 正義在石州, 趙之西北. 属趙, 故云趙北藺也.
사기 권44. 위세가(魏世家) 혜왕(惠王)
十六年, 伐楚, 取魯陽.1) 武侯卒,2) 子罃立, 是為恵王.
16년에는 초(楚)나라를 공격해 노양(魯陽)을 취했다. 무후가 죽고 자앵(子罃)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혜왕(惠王)이다.
恵王元年, 初, 武侯卒也, 子罃與公中緩3)争為太子. 公孫頎4)自宋入趙, 自趙入韓, 謂韓懿侯5)曰:「魏罃與公中緩争為太子,6) 君亦聞之乎? 今魏罃得王錯,7) 挟上党, 固半国也. 因而除之,8) 破魏必矣, 不可失也.」懿侯説, 乃與趙成侯9)合軍并兵以伐魏, 戦于濁沢,10) 魏氏大敗, 魏君囲. 趙謂韓曰:「除魏君, 立公中緩, 割地而退, 我且利.」韓曰:「不可. 殺魏君, 人必曰暴;割地而退, 人必曰貪. 不如両分之. 魏分為両, 不彊於宋、衛, 則我終無魏之患矣.」趙不聴. 韓不説, 以其少卒夜去. 恵王之所以身不死, 国不分者, 二家謀不和也. 若従一家之謀, 則魏必分矣. 故曰「君終無適子, 其国可破也」.11)
혜왕 원년 초에 무후가 죽고, 자앵과 공중완(公中緩)이 태자(太子) 자리를 다투었다. 공손기(公孫頎)가 송(宋)나라로부터 조(趙)나라로, 다시 조나라에서 한(韓)나라로 들어와서 한 의후(韓懿侯)에게 이르기를 “위앵과 공중완이 태자 자리를 다투는데, 왕께서도 들으셨습니까? 지금 위앵은 왕착(王錯)을 얻어 상당(上黨)을 통제하고 있으니, 실로 이것은 위나라의 반을 차지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를 제거한다면 위나라를 무너뜨리는 것은 정해진 것입니다. 이 기회를 잃어서는 안 됩니다”라 했다.
의후가 기뻐하며 이에 조 성후(趙成侯)와 연합해 위나라를 공격하니, 탁택(濁澤)에서 전투가 벌어져 위씨가 대패했고, 위나라 군이 포위당했다. 조(趙)나라가 한(韓)나라에게 이르기를 “위나라 왕을 제거하고 공자 완을 즉위시킨 후에 위나라 땅을 떼어 가지고 철수하면 우리에게 이롭습니다.”라고 하니, 한(韓)나라가 말하기를 “안 됩니다. 위나라 왕을 살해하면 남들이 우리를 잔악하다고 말할 것이며, 땅을 떼어 가지면 남들이 우리를 탐욕스럽다고 할 것입니다.
이것은 위나라를 둘로 나누는 것만 못합니다. 위나라를 둘로 나누면 송, 위(衛) 나라보다도 강하지 못하니, 우리는 영원토록 위나라로부터의 우환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했으나, 조 성후가 듣지 않았다. 한 의후가 불쾌해해, 정예 부대를 이끌고 한밤에 철수했다. 혜왕(惠王)이 죽지 않고, 나라가 둘로 나뉘지 않은 까닭은 두 집의 모의가 불화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만약에 한집의 모의를 따랐다면 위나라는 반드시 나누어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왕이 적자가 없으면, 그 나라는 쳐부술 만하다.”라고 하는 것이다.
二年, 魏敗韓于馬陵, 敗趙于懐. 三年, 斉敗我観.12) 五年, 與韓会宅陽.13) 城武堵. 為秦所敗.14) 六年, 伐取宋儀台.15) 九年, 伐敗韓于澮. 與秦戦少梁, 虜我将公孫痤,16) 取龐. 秦献公卒, 子孝公立.
2년에는 위나라가 마릉(馬陵)에서 한(韓)나라를 패배시켰고, 회(懷)에서 조(趙)나라를 패배시켰다. 3년에는 제나라가 위나라의 관(觀) 땅에서 위나라 군을 물리쳤다. 5년에는 한 의후와 택양(宅陽)에서 회동했다. 무도(武堵)에 성을 축조했다. 한나라, 위나라 군대가 진(秦)나라에게 패배당했다. 6년에는 송(宋)나라의 의대(儀臺)를 공격해 취했다. 9년에는 회(澮) 땅에서 한나라를 패배시켰다. 진나라와 소량(少梁)에서 회전했는데, 진나라는 위장(魏將) 공손좌(公孫座)를 포로로 잡아갔고, 방(龐) 땅을 취했다. 진 헌공이 죽자 아들 효공(孝公)이 즉위했다.
十年, 伐取趙皮牢. 彗星見. 十二年, 星昼墜, 有声.
10년에는 조나라를 공격해 피뢰(皮牢)를 취했다. 혜성이 나타났다. 12년에는 유성이 낮에 떨어져 큰 소리가 났다.
十四年, 與趙会鄗. 十五年, 魯、衛、宋、鄭君來朝.17) 十六年, 與秦孝公会(社)[杜]平. 侵宋黄池, 宋复取之.
14년에는 조 성후와 호(鄗) 땅에서 회맹했다. 15년에는 노(魯), 위(衛), 송(宋), 정(鄭) 나라의 군주가 위 혜왕을 알현하러 왔다. 16년에는 진 효공(秦孝公)과 두평(杜平)에서 만났다. 송나라를 침공해 황지(黃池)를 빼앗았다가, 다시 송나라에 빼앗겼다.
十七年, 與秦戦元里, 秦取我少梁. 囲趙邯鄲. 十八年, 抜邯鄲. 趙請救于斉, 斉使田忌、孫臏救趙, 敗魏桂陵.
17년에는 진나라와 원리(元里)에서 전투해, 진나라가 위나라의 소량을 차지했다. 위나라가 조나라의 한단을 포위했다. I8년에는 한단을 함락했다. 조나라가 제나라에 구원을 요청해, 제나라는 전기(田忌), 손빈(孫臏)으로 하여금 조나라를 구원하게 해 계릉(桂陵)에서 위나라 군을 격퇴시켰다.
十九年, 諸侯囲我襄陵. 築長城, 塞固陽.18)
19년에는 제후들이 위나라의 양릉(襄陵)을 포위했다. 위나라는 장성을 축성하고, 고양(固陽)에 관새(關塞)를 만들었다.
二十年, 帰趙邯鄲, 與盟漳水上.19) 二十一年, 與秦会彤. 趙成侯卒.20) 二十八年, 斉威王卒. 中山君相魏.21)
20년에는 한단을 조나라에 되돌려주고, 장수(漳水) 위에서 맹약을 맺었다. 21년에는 동(彤)에서 진나라와 회동했다. 조 성후가 죽었다. 28년에는 제 위왕이 죽었다. 중산군(中山君)이 위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三十年, 魏伐趙,22) 趙告急斉. 斉宣王用孫子計, 救趙撃魏. 魏遂大興師, 使龐涓将, 而令太子申為上将軍. 過外黄, 外黄徐子23)謂太子曰:「臣有百戦百勝之術.」太子曰:「可得聞乎?」客曰:「固願效之.」曰:「太子自将攻斉, 大勝并莒,24) 則富不過有魏, 貴不益為王. 若戦不勝斉, 則萬世無魏矣. 此臣之百戦百勝之術也.」太子曰:「諾, 請必従公之言而還矣.」客曰:「太子雖欲還, 不得矣. 彼勧太子戦攻, 欲啜汁者衆.25) 太子雖欲還, 恐不得矣.」太子因欲還, 其御曰:「将出而還, 與北同.」太子果與斉人戦, 敗於馬陵.26) 斉虜魏太子申, 殺将軍涓, 軍遂大破.
30년에는 위나라가 조나라를 공격하자, 조나라가 제나라에 급히 고했다. 제 선왕(齊宣王)이 손자병법을 사용해 조나라를 구하고 위나라를 격퇴시켰다. 위나라는 이에 군대를 크게 동원해 방연(龐涓)을 장수로 삼고, 태자 신(申)을 상장군으로 삼았다. 위나라 군대가 외황(外黃)을 지날 때, 외황 사람인 서자(徐子)가 태자에게 이르기를 “신에게는 백전백승의 전략이 있습니다.”라고 하니, 태자가 말하기를 “들을 수 있겠습니까?”라 했다.
서자가 말하기를 “본디 태자께 들려드리고자 했습니다.”라고 하며 말하기를 “태자께서 친히 장군으로써 제나라를 공격해 대승을 거두고 거(莒) 땅을 병점한다면, 이는 위나라의 부를 차지하는 것에 불과하고, 귀함도 위나라 왕이 되는 것에 불과합니다. 만약에 제나라에 승리하지 못한다면, 차후로는 위나라가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 신이 말하는 백전백승의 전략입니다.”라고 하니, 태자가 말하기를 “좋소. 반드시 공의 말에 따라서 철군하게 하겠소.”라 했다.
서자가 말하기를 “태자께서 비록 철퇴하고자 해도 그럴 수가 없습니다. 태자로 하여금 전쟁을 하게 권한 이들 중에는 공을 세우고자 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태자께서 비록 철수하고자 해도, 아마 그리 되지는 않을 듯싶습니다.” 과연 태자가 철수하려고 하니, 그의 어자(御者)가 말하기를 “출정하려다가 귀환하는 것은 패배하는 것과 같습니다.”라 했다. 태자는 결국 제나라 군과 교전을 했고, 마릉(馬陵)에서 패했다. 제나라 군이 태자신을 포로로 삼고, 장수 방연을 죽임으로써 위나라 군은 이에 대패했다.
三十一年, 秦、趙、斉共伐我,27) 秦将商君詐我将軍公子卬而襲奪其軍, 破之. 秦用商君, 東地至河, 而斉、趙數破我, 安邑近秦, 於是徙治大梁.28) 以公子赫為太子.
31년에는 진(秦), 조(趙), 제(齊) 삼국이 합동으로 위나라를 공격했다. 진나라의 장수 상앙(商鞅)이 위나라의 장군 공자 인(印)을 속여 그의 군대를 빼앗고, 그를 격파했다. 진나라가 상앙을 임용해, 국토가 동으로는 황하에 이르렀다. 제와 조 두 나라가 위나라를 여러 차례 격파하니 안읍(安邑)이 진나라에 가까워서 대량(大梁)으로 천도했다. 공자 혁(赫)을 태자로 삼았다.
三十三年, 秦孝公卒, 商君亡秦帰魏, 魏怒, 不入. 三十五年, 與斉宣王会平阿南.29)
위 혜왕 33년에는 진 효공(秦孝公)이 죽고, 상앙이 진나라에서 도망해 위(魏)나라에 투항하려고 했다. 위 혜왕이 노하여 받아들이지 않았다. 35년에는 제 선왕과 평아(平阿)의 남쪽에서 회맹했다.
恵王數被於軍旅, 卑礼厚幣以招賢者. 鄒衍、淳于髡、孟軻皆至梁. 梁恵王曰:「寡人不佞, 兵三折於外, 太子虜, 上将死, 国以空虚, 以羞先君宗廟社稷, 寡人甚醜之, 叟不遠千里,30) 辱幸至獘邑之廷, 将何利吾国?」孟軻曰:「君不可以言利若是. 夫君欲利則大夫欲利, 大夫欲利則庶人欲利, 上下争利, 国則危矣. 為人君, 仁義而已矣, 何以利為!」
혜왕이 여러 차례 전쟁에서의 고배를 마신 뒤 공손한 예절과 후한 하사품으로 현자(賢者)들을 초빙했다. 추연(鄒衍), 순우곤(淳于髡), 맹가(孟軻) 등이 모두 대량(大梁)에 모였다.
양 혜왕(梁惠王)이 말하기를 “과인이 재주가 없어서 세 번에 걸쳐서 장병들을 잃고, 태자가 포로가 되었으며, 상장(上將)이 전사했으니, 나라가 공허하고, 선왕과 종묘사직에 치욕을 주어 과인이 심히 부끄럽소. 노인장께서 천리를 멀다 하지 않으시고 우리나라에 왕림해 주셨으니, 장차 이 나라에 이로움이 있겠소?”라고 하니, 맹가가 말하기를 “왕께서는 이와 같이 이로움(利)에 대해서 말씀하지 마십시오. 왕께서 이로움을 바라신다면, 대부들도 이로움을 바랄 것이며, 대부들이 이로움을 바란다면, 평민들도 이로움을 바랄 것이니, 상하가 서로 이로움만 다툰다면, 나라가 위태로울 것입니다. 왕이 되는 데에는 인(仁)과 의(義)가 있을 따름이지, 어찌 이(利)를 바라십니까?”라 했다.
三十六年, 复與斉王会甄. 是歳, 恵王卒,31) 子襄王立.32)
36년에는 제나라 왕과 견(甄)에서 다시 회맹했다. 이해에 혜왕이 죽고, 아들 양왕(襄王)이 즉위했다.
각주
1 正義今汝州魯山県也.
2 索隠按紀年, 武侯二十六年卒.
3 正義中音仲.
4 索隠音祈.
5 索隠哀侯之子.
6 索隠按:紀年「武侯元年封公子緩. 趙侯種、韓懿侯伐我, 取蔡, 而恵王伐趙, 囲濁陽. 七年, 公子緩如邯鄲以作難」, 是説此事矣.
7 集解徐広曰:「汲冢紀年恵王二年, 魏大夫王錯出奔韓也.」
8 集解徐広曰:「除, 一作『倍』.」 正義按:除, 除魏罃及王錯也.
9 索隠系本云:「成侯名種.」
10 集解徐広曰:「長社有濁沢.」
11 索隠此蓋古人之言及俗説, 故云「故曰」.
12 集解徐広曰:「斉世家云献観以和斉. 年表曰伐魏取観. 今之衛県也.」 索隠田完系家云:「敗魏於濁津而囲恵王, 恵王請献観以和解.」 正義観音館. 魏州観城県, 古之観国. 国語注:「観国, 夏啓子太康第五弟之所封也, 夏衰, 滅之矣.」
13 正義括地志云:「宅陽故城一名北宅, 在鄭州滎陽県東南十七里也.」
14 集解徐広曰:「秦年表曰敗韓、魏洛陰.」
15 集解徐広曰:「一作『義台』.」 索隠按:年表作「義台」, 然義台見荘子, 司馬彪亦曰台名, 郭象云義台, 霊台.
16 集解徐広曰:「年表云虜我太子也.」
17 索隠按:紀年魯恭侯、宋桓侯、衛成侯、鄭釐侯來朝, 皆在十四年, 是也. 鄭釐侯者, 韓昭侯也. 韓哀侯滅鄭而徙都之, 改号曰鄭.
18 正義塞, 先代反. 括地志云:「棝陽県, 漢旧県也, 在銀州銀城県界.」按:魏築長城, 自鄭浜洛, 北達銀州, 至勝州固陽県為塞也. 固陽有連山, 東至黄河, 西南至夏、会等州. 棝音固矣.
19 正義邯鄲, 洺州県也. 漳, 水名. 漳水源出洺州武安県三門山也.
20 集解徐広曰:「年表云二十七年, 丹封名会. 丹, 魏大臣也.」
21 索隠按:魏文侯滅中山, 其弟守之, 後尋复国, 至是始令相魏. 其中山後又為趙所滅.
22 正義孫臏傳云「魏與趙攻韓, 韓告急斉」, 此文誤耳. 魏伐趙, 趙請救斉, 斉使孫臏救趙, 敗魏桂陵, 乃在十八年也.
23 集解劉向別錄曰:「徐子, 外黄人也.」外黄時属宋. 正義括地志云:「故圉城有南北二城, 在汴州雍丘県界, 本属外黄, 即太子申見徐子之地也.」
24 正義莒, 密州県也, 在斉東南. 言従西破斉, 并至莒地, 則斉土尽矣.
25 正義啜, 穿悦反. 汁, 之入反. 冀功勳者衆也.
26 集解徐広曰:「在元城.」 索隠徐広曰:「在元城.」按:紀年二十八年, 與斉田■戦于馬陵;上二年, 魏敗韓馬陵;十八年, 趙又敗魏桂陵. 桂陵與馬陵異処. 正義虞喜志林云:「馬陵在濮州鄄城県東北六十里, 有陵, 澗谷深峻, 可以置伏.」按:龐涓敗即此也. 徐説馬陵在魏州元城県東南一里, 龐涓敗非此地也. 田完世家云「宣王二年, 魏伐趙, 趙與韓親, 共撃魏, 趙不利, 戦於南梁. 韓氏請於斉, 斉使田忌、田嬰将, 孫子為師, 救韓、趙, 以撃魏, 大破之馬陵」. 按:南梁在汝州. 又此傳云「太子為上将軍, 過外黄」. 又孫臏傳云「魏與趙攻韓, 韓告急斉, 斉使田忌将而往, 直走大梁. 魏将龐涓聞之, 去韓而帰斉, 軍已過而西矣」. 按:孫子減灶退軍, 三日行至馬陵, 遂殺龐涓, 虜魏太子申, 大破魏軍, 當如虞喜之説, 従汴州外黄退至濮州東北六十里是也. 然趙、韓共撃魏, 戦困於南梁, 韓急, 請救於斉, 斉師走大梁, 敗魏馬陵, 豈合更渡河北, 至魏州元城哉? 徐説定非也.
27 索隠按:紀年「二十九年五月, 斉田■伐我東鄙. 九月, 秦衛鞅伐我西鄙. 十月, 邯鄲伐我北鄙. 王攻衛鞅, 我師敗績」是也. 然言二十九年, 不同.
28 集解徐広曰:「今浚儀.」駰案:汲冢紀年曰「梁恵成王九年四月甲寅, 徙都大梁」也. 索隠紀年以為恵王九年, 蓋誤也. 正義陳留風俗傳云「魏之都也, 畢萬十葉徙大梁」. 按:今汴州浚儀也.
29 集解地理志沛郡有平阿県也.
30 集解劉煕曰:「叟, 長老之称, 依皓首之言.」
31 索隠按紀年, 恵成王三十六年改元称一年, 未卒也.
32 索隠系本襄王名嗣.
사기 권44. 위세가(魏世家) 양왕(襄王)
襄王元年, 與諸侯会徐州,1) 相王也. 追尊父恵王為王.2)
양왕 원년에는 제후들과 서주(徐州)에서 회맹해, 서로 ‘왕’으로 칭했다. 부친 혜왕을 왕으로 추존했다.
五年, 秦敗我竜賈軍四萬五千于雕陰,3) 囲我焦、曲沃.4) 予秦河西之地.5)
5년에는 진(秦)나라가 조음(雕陰)에서 위나라 장군 용고(龍賈)의 군대 4만 5,000명을 격퇴시켰고, 초(焦)와 곡옥(曲沃)을 포위했다. 진나라에 하서(河西) 땅을 넘겨주었다.
六年, 與秦会應.6) 秦取我汾陰、皮氏、焦.7) 魏伐楚, 敗之陘山.8) 七年, 魏尽入上郡于秦.9) 秦降我蒲陽.10) 八年, 秦帰我焦、曲沃.
6년에는 진나라와 응(應)에서 회동했다. 진나라가 위나라의 땅 분음(汾陰), 피지(皮氏), 초(焦)를 취했다. 위나라가 초 나라를 공격해 형산(陘山)에서 격퇴시켰다. 7년에는 위나라가 상군(上郡) 전체를 진나라에게 바쳤다. 진나라가 위나라의 포양(蒲陽)을 함락시켰다. 8년에는 진나라가 초와 곡옥을 돌려주었다.
十二年, 楚敗我襄陵. 諸侯執政與秦相張儀会齧桑.11) 十三年, 張儀相魏. 魏有女子化為丈夫. 秦取我曲沃、平周.12)
12년에는 초 나라가 위나라의 양릉(襄陵)을 격파했다. 제후들이 집권하면서 진나라의 재상 장의(張儀)와 설상(齧桑)에서 회맹했다. 13년에는 장의가 위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위나라에는 여자에서 남자로 변한 사람이 있었다. 진나라가 위나라의 곡옥과 평주(平周)를 차지했다.
각주
1 集解徐広曰:「今薛県.」
2 集解徐広曰:「二年, 伐趙.」
3 集解徐広曰:「在上郡.」 正義括地志云:「彫陰故県在鄜州洛交県北三十里, 彫陰故城是也.」
4 正義括地志云:「故焦城在陝県東北百歩古虢城中東北隅, 周同姓也. 曲沃有城, 在陝県西南三十二里. 按:今有曲沃店也.」
5 正義自華州北至同州, 並魏河北之地, 尽入秦也.
6 集解徐広曰:「潁川父城有應郷也.」 正義應, 乙陵反. 括地志云:「故應城, 故應郷也, 在汝州魯山県東三十里.」
7 正義括地志云:「汾陰故城在蒲州汾陰県北九里. 皮氏故城在絳州竜門県西一百八十歩也.」
8 集解徐広曰:「在密県.」 正義括地志云:「陘山在鄭州新鄭県西南三十里.」
9 正義括地志云:「上郡故城在綏州上県東南五十里, 秦魏之上郡地也.」按:丹、鄜、延、綏等州, 北至固陽, 並上郡地. 魏築長城界秦, 自華州鄭県已北, 浜洛至慶州洛源県白於山, 即東北至勝州固陽県, 東至河西上郡之地, 尽入於秦.
10 正義在隰州, 隰川県蒲邑故城是也.
11 集解徐広曰:「在梁與彭城之閒.」
12 正義絳州桐郷県, 晉曲沃邑. 十三州志云:「古平周県在汾州介休県西五十里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