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IT 김록호]
Industry Research
링크: https://bit.ly/3WaCW3U
전기전자/휴대폰(Overweight): Apple 신고가 경신. 패키지기판 업황 회복도 체크
■ 리뷰 및 업데이트: Apple을 필두로 글로벌 업체들 양호
코스피는 외국인의 5주 연속 순매수에도 기관의 한 주만의 순매도 전환 및 개인의 순매도 지속으로 0.5% 하락. 전기전자 대형주 중에서는 LG이노텍 주가만 7.2% 상승하며 유일하게 지수를 상회. 하나증권은 아이폰 16 공개 및 사전 주문 확인 전까지 관련 기대감과 호실적이 동반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최선호주로 추천중. 삼성전기 주가는 3.3% 하락하며 지난 2주간의 주가 상승분이 일부 반납되었음. 2분기 실적에 대한 우려가 일부 해소되긴 했지만, 다른 업체들의 호실적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은 부인할 수 없음. LG전자는 양호한 잠정실적 발표 이후에도 부진한 주가가 지속되었다. 상고하저 실적 패턴 속에서 주가 상승 모멘텀 부재가 아쉬운 상황
코스닥은 개인의 4주 연속, 외국인의 3주 연속 순매수 속에 0.3% 상승. 하나증권 커버리지 중소형주 중에서는 대덕전자와 비에이치의 주가가 9% 이상 상승하며, 지수를 상회. 대덕전자는 2주 연속 주가가 양호했는데, 일본 및 대만 FCBGA 업체들의 수요 회복 언급과 AI향 MLB 공급 가능성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추정. 비에이치는 Apple 및 LG이노텍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주가가 약세였는데, 오랜만에 주가가 반등. 기존에도 양호하게 제시되었던 2분기 실적이 재차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언급된 것이 주가에 유효
글로벌 테크 업체들의 주가는 2주 연속 대체로 양호한 주가 상승을 시현. Apple 주가는 1.9% 상승해 역대 최고가를 다시 한번 경신. 개발자 컨퍼런스 이후에 AI 관련 기대감으로 시가총액 레벨업이 지속되고 있음. 이는 Apple 서플라이체인들에 대한 투자전략에도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 일본 및 대만 MLCC 업체들은 혼조세로 마감. 지난 2주간 조정을 겪은 패키지기판 업체들의 주가가 이번 주에는 양호. 특히 Kinsus 주가는 28.9% 상승했는데, ABF 기판이 TSMC의 AI칩 인증을 받았다는 보도 때문으로 추정. Whirlpool 주가도 정말 오랜만에 9.4%라는 양호한 주가 수익률을 시현. 6월 미국 C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금리인하 기대감 때문으로 추정
■ 전망 및 전략: Apple 투자전략 지속 추천. 패키지기판 전략 점검
Apple 실적 발표 및 개발자 컨퍼런스 이후로 관련 서플라이 체인들을 지속 추천하고 있음. 실제로 Apple의 주가는 양호한 흐름이 지속되며 신고가 경신중. 아이폰 16 시리즈의 초도 생산 물량이 양호하고, 신모델 공개 및 사전 주문이 확인되는 9월 초중순까지 향후 2개월 정도는 호실적과 기대감이 동반되는 구간. 실적 시즌에 진입하게 되는데, LG이노텍과 비에이치 모두 2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 실적이 중요해지는 구간에서도 Apple 서플라이 체인에 대한 투자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
중국 5월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월 및 전년동월대비 증가했고, 2천만대를 상회. 4월 판매량이 워낙에 부진했던 만큼 반등이 필요했는데, 투자심리 측면에서 안도감을 줄 수 있는 데이터가 확인되었음. 이는 테크 전반적인 분위기도 있지만, 삼성전기 입장에서 반가운 데이터. 삼성전기는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소멸된 바 있는데, 컨센서스 부합 가능성이 제기되며 안도감을 주었음. 2분기 실적 발표 이후에는 3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에 집중한 투자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
LG이노텍은 상반기 호실적과 Apple 투자심리 개선으로 양호한 주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음. Apple의 AI 관련 기대감과 3분기 호실적이 유효한 구간이기 때문에 LG이노텍의 비중확대를 추천. 향후 실적 상향 감안하면 밸류에이션도 여전히 부담 없기 때문에 비에이치와 LG이노텍 모두 동일한 투자전략이 가능
삼성전기의 24년 2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할 가능성이 낮아 보임. 그럼에도 대만 및 일본 동종 업체들의 주가가 AI PC 및 일반 서버 회복 기대감으로 양호했던 모습을 뒤따라가고 있음. 하반기 패키지기판 중심의 양호한 실적 및 온디바이스 AI 관련 수혜는 기대해 볼만함
LG전자의 24년 2분기 실적은 견조한 가전 및 TV 그리고 우려대비 양호한 VS로 인해 컨센서스를 상회. 상고하저 실적 흐름으로 인해 상대적 매력은 열위에 있지만, PBR 0.89배로 밸류에이션 부담은 적음. 올 하반기에는 주가 상승 이벤트도 상존해 중립 이상의 투자전략이 유효해 보임
패키지기판 업체들의 2분기 실적은 메모리 업체들의 출하량 증가에 연동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비메모리 패키지기판에 대한 회복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음. 메모리 업황에 대한 비중이 높은 심텍이 가장 무난한 선택지임에는 변함이 없음. 아울러 비메모리 회복세가 감지되기 시작한 만큼 대덕전자에 대한 투자 시기도 고민이 필요해졌음. 중장기적으로는 자동차용 리드프레임 매출이 증가세로 전환된 해성디에스도 추천 가능
■ 일정 및 예정: 중국 스마트폰 6월 출하량
일시를 특정할 수 없는 중국의 6월 스마트폰 출하량이 발표될 수 있음. 618 구간인 만큼 양호한 출하량이 나올 수 있지만, 채널 재고 소진이 아직은 필요한 만큼 출하량 둔화 가능성도 열려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