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금한약이야기을 읽었다. 약물은 그 사용 목적이나 성분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존재한다. 약물의 이름은 크게 화학명, 제품명, 일반명(국제일반명, INN)으로 나뉜다. 여기서 일반명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이름으로, 각 약물이 가진 주요 성분을 나타낸다. 아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들 이다. 화학명이나 일반명을 기준으로 세계에는 약 천종의 약물이 있다. 각 일반명에 대해 하나의 오리지널이 14년의 특허동안 사용되나 이후에는 100-200개의 제너릭 제품이 유통되니 총 제품명은 약15만종에 달한다. 약품원료는 대부분 중국이나 인도에서 제조되고 각 제약사에서는 이를 구매하여 포장하고 상품명을 붙여 마케팅을 하니 같은 일반명을 가지고 있다면 가장 저렴한 것을 사는 것이 합리적이다.
1. 진통제(통증 완화 약물); -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 타이레놀(Tylenol) 등; - 이부프로펜 (Ibuprofen) — 애드빌(Advil), 모트린(Motrin); - 아스피린 (Aspirin) — 베이비 아스피린(Baby Aspirin)
2. 항생제; - 페니실린 (Penicillin); - 아목시실린 (Amoxicillin) — 모록신(Amoxil); -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s) —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등; - 독시사이클린 (Doxycycline) — 비브라마이신(Vibramycin)
3. 항우울제;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 플루옥세틴 (Fluoxetine) — 프로작(Prozac); - 세트랄린 (Sertraline) — 졸로프트(Zoloft); - 항우울제 (TCA, Tricyclic Antidepressants); - (Amitriptyline); - (Imipramine)
4. 항고혈압제; -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inhibitors); - 카프토프릴 (Captopril); - 리시노프릴 (Lisinopril); -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s); - 아테놀롤 (Atenolol); - 메토프롤롤 (Metoprolol)
5. 당뇨병 약물; - 메트포르민 (Metformin) — 글루코파지(Glucophage); - 인슐린 (Insulin); - 설폰요소계 약물 (Sulfonylureas); - 글리벤클라미드 (Glibenclamide)
6. 소화기 약물; - 제산제 (Antacids); - 라니티딘 (Ranitidine) — 잔탁(Zantac); - 오메프라졸 (Omeprazole) — 프리날(Prilosec); - 변비약 (Laxatives); - 시나민 (Senna); -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7. 항알러지 약물; -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제 (Antihistamines); - 로라타딘 (Loratadine) — 클라리틴(Claritin); - 세티리진 (Cetirizine) — 지르텍(Zyrtec);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Steroids); - 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 - (Hydrocortisone)
8. 진정제 및 수면제; -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s); - 디아제팜 (Diazepam) — 발륨(Valium); - 로라azepam (Lorazepam) — 아티반(Ativan); - 멜라토닌 (Melatonin) — 멜라토닌(Melatonin)
9. 항바이러스제; - 아시클로버 (Acyclovir) — 지로바(Aciclovir); - 오셀타미비르 (Oseltamivir) — 타미플루(Tamiflu)
10. 항암제; - 시스플라틴 (Cisplatin); - 독소루비신 (Doxorubicin); -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11. 호르몬 약물; - 에스트로겐 (Estrogen); -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12.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 HPV 백신 (HPV Vaccine) — 가다실(Gardasil) 30
약은 치료효과도 있지만 그 부작용도 존재하므로 효과와 비교하여 리스크를 가지던가 아니면 가급적 복용없이 이겨내는 방법중 선택한다. 감기약과 같이 간단하고 자주 복용하는 약도 부작용이 있다. 예를 들어 콘텍 600은 일반적으로 감기약으로 사용되는 약물로, 항히스타민제, 해열제, 진통제 등이 결합된 복합 제제다. 이 약물은 콧물, 인후염, 기침 등 감기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된다. 콘텍 600은 주로 해열제인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과 항히스타민제, 진해제가 결합된 형태로 판매된다. 콘텍 600의 주요 성분은;
1.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 - 해열, 진통 효과
2.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 -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증상 완화
3. 덱스트로메토르판 - 진해제, 기침 억제
콘텍 600의 일반적인 부작용은;
1.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 관련 부작용; 파라세타몰은 일반적인 해열제로 널리 사용되지만, 과다 복용 시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 간 손상: 과량 복용 시 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알콜과 함께 복용하거나, 이미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더욱 위험.
- 알레르기 반응: 드물게 발진, 가려움증,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다.
2.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항히스타민제) 관련 부작용; 클로르페니라민은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부작용도 동반할 수 있다.
- 졸림, 피로감: 항히스타민제는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졸림이나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운전이나 기계 조작 시 주의가 필요.
- 구강 건조: 입이 마르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 변비, 배뇨 문제: 일부 환자에서는 변비나 배뇨 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 시야 흐림: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 심장 관련 문제: 드물게 빈맥(심장 박동이 빨라짐)이나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3. 덱스트로메토르판(진해제) 관련 부작용; 덱스트로메토르판은 기침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안전한 약물이지만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구역질, 구토: 진해제의 부작용으로 구역질이나 구토가 발생할 수 있다.
- 어지러움, 졸음: 덱스트로메토르판은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어지러움이나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
- 호흡 억제: 고용량으로 복용 시 호흡 억제나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60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는 히스타민이라는 화학 물질의 작용을 차단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이다. 히스타민은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체내에서 면역 반응에 의해 분비되며 콧물, 눈물, 가려움증 등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킨다.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이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러한 증상을 줄여준다. 히스타민은 H1 수용체와 결합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한다. 이를 막기위해 항히스타민제는 H1 수용체에 대신 결합하여 히스타민의 작용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알레르기 반응이 약화된다. 항히스타민제는 크게 1세대와 2세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주로 알레르기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1. 항히스타민제의 분류
1) 1세대 항히스타민제 (First-Generation Antihistamines);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하지만,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졸림이나 피로감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대표 약물: - 디펜히드라민 (Diphenhydramine) — 벤드릴(Benadryl); - 클로르페니라민 (Chlorpheniramine) — 클로리틴(Chlor-Trimeton); - 히드록시진 (Hydroxyzine) — 벤조카인(Benadryl); - 프로메타진 (Promethazine) — (Promethegan)
- 특징: 주로 졸음을 유발하며,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침. 구강 건조, 변비, 배뇨 문제와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과량 복용 시 심각한 부작용(어지러움, 기억 상실 등)이 발생할 수 있음.
2) 2세대 항히스타민제 (Second-Generation Antihistamines); 1세대에 비해 졸음이나 중추 신경계 부작용이 적고, 효능은 유사. 히스타민의 작용을 차단하면서도 졸음이나 피로감을 유발하지 않거나 적게 유발.
- 대표 약물: - 세티리진 (Cetirizine) — 지르텍(Zyrtec); - 로라타딘 (Loratadine) — 클라리틴(Claritin); - 페리진 (Fexofenadine) — 알레그라(Allegra); - 데스로라타딘 (Desloratadine) — 클라리틴-D(Clarinex)
- 특징: 졸음을 덜 유발하여 일상적인 활동을 방해하지 않음. 구강 건조, 두통, 소화불량 등의 가벼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심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은 사용에 주의.
2. 항히스타민제의 주요 용도; 알레르기 관련 증상 완화에 사용되며, 아래와 같은 상태에서 유용:
1) 알레르기 비염 (Hay Fever); 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완화.
2) 알레르기 결막염; 눈의 가려움증, 붉어짐, 물과 같은 눈물이 나는 증상을 완화.
3) 두드러기 (Urticaria); 피부에 가려움증과 발진이 생기는 두드러기 치료.
4) 기타 알레르기 반응; 벌레에 물린 후 나타나는 가려움증, 약물 알레르기 등에 효과.
5) 기침 완화; 진해제와 함께 사용하여 기침을 억제하는 데 도움.
6) 차단제 역할; 구토, 메스꺼움, 멀미 예방에도 사용.
항히스타민제와 알콜을 함께 복용하면 중추 신경 억제가 강화되어 졸림, 어지러움 등이 심해질 수 있다. 98
항생제(Antibiotics)는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 항생제는 특정 종류의 세균을 죽이거나 그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항생제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예: 감기, 독감)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적절한 용도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항생제는 세균의 성장이나 번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죽이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항생제의 작용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를 고려하여 개발된다.
1. 세균 세포벽 합성 억제제;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세균을 죽이는 방식이다. 진핵생물은 세포벽이 없고 세포막이 있다. 예를 들어,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가 이 방식으로 작용한다.
2. 단백질 합성 억제제; 세균이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을 억제하여 세균의 성장을 막는다. 예: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3. 핵산 합성 억제제; 세균의 DNA나 RNA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의 번식을 방해한다. 예: 플루오로퀴놀론 계열.
4. 대사 과정 억제제; 세균이 필요한 엽산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의 성장을 방지한다. 예: 설폰아미드 계열.
항생제는 작용 기전, 화학적 구조, 사용되는 감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베타-락탐 항생제 (Beta-lactams); 세균 세포벽 합성 억제를 통해 작용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생제.
- 페니실린 (Penicillin); 대표적인 베타-락탐 항생제로, 그람 양성균에 대해 효과. 예: 페니실린,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s); 그람 음성균과 그람 양성균 모두에 효과. 예: 세프트리악손, 세포탁심, 세푸록심
2. 마크로라이드 항생제 (Macrolides);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해 세균을 억제하며, 호흡기와 피부 감염에 자주 사용. 예: 에리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아지스로마이신. 다양한 세균에 대해 넓은 항균 범위.
3.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 (Aminoglycosides);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을 죽인다. 그람 음성균에 주로 사용되며, 주로 심각한 감염에 사용.
- 예: 겐타마이신, 아미카신, 스트렙토마이신
- 주의점: 신장 독성과 귀 독성이 있어 용량 조절이 필요.
4. 플루오로퀴놀론 항생제 (Fluoroquinolones); 핵산 합성 억제를 통해 세균을 억제. 호흡기, 배뇨기계 감염에 많이 사용.
- 예: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모키플록사신
- 장점: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모두에 효과.
5. 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 (Tetracyclines);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해 세균의 성장을 억제. 피부나 호흡기 감염에 효과.
- 예: 독시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 주의점: 임신 중 사용 금지 및 치아 변색 등의 부작용.
6. 클린다마이신 (Clindamycin);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해 작용하며, 호흡기 및 피부 감염에 사용. 그람 양성균에 효과. 예: 클린다마이신
7. 설폰아미드 항생제 (Sulfonamides); 세균의 엽산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의 성장을 차단.
- 예: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Cotrimoxazole)
- 용도: 주로 요로감염이나 기타 세균성 감염에 사용.
항생제 사용 시 주의사항
1. 남용 방지: 항생제의 남용은 내성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내성균은 항생제에 저항력을 가지게 되어 치료가 어려워진다. 이는 백신으로 정상 바이러스에 인체가 저항을 가지는 것과 같은 원리다.
2. 알레르기 반응: 일부 항생제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증상으로는 발진, 가려움증, 호흡 곤란 등이 있다.
3. 부작용: 항생제는 소화불량, 설사, 구역질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장내 유익균의 변화로 인한 장염이나 기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4. 임신 및 수유 중 사용: 일부 항생제는 임신 중에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임신이나 수유 중에는 의사와 상의 후 사용해야 한다.
5. 복용법 준수: 항생제를 처방받은 대로 복용해야 하며, 지정된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해야 효과적이다. 증상이 호전되어도 약물을 중단하지 말고, 반드시 처방된 대로 마무리 복용해야 한다.147
육식이 나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건강, 환경적 영향, 윤리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
1.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육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만성 질환과 관련이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과도한 육류 섭취가 다양한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1.1 심혈관 질환
- 포화지방: 대부분의 동물성 고기, 특히 붉은 고기나 가공육(예: 소시지, 베이컨, 햄)에는 포화지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포화지방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동맥 경화와 심장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트랜스 지방: 가공육에서는 트랜스 지방도 발견되며, 이는 혈관 건강을 해칠 수 있다.
1.2 암 위험
- 붉은 고기와 가공육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암 물질로 분류한 바 있다. 특히 가공육은 대장암과 직장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 헤미철분: 육류에는 헤미철분(heme iron)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산화 반응을 촉진하여 암 세포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1.3 비만; 육류는 고칼로리 식품으로, 과도하게 섭취하면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가공육이나 패스트푸드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에는 나쁜 칼로리와 나트륨 섭취가 많아 체중 증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1.4 장 건강; 과도한 육식은 장내 미생물 균형에 영향을 미쳐, 장염, 변비, 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육류 섭취가 많은 사람들의 장내 박테리아 구조가 과도한 단백질과 지방에 의해 불균형해질 수 있다.
1.5 염증; 과도한 육식은 필수 지방산인 아라키도닉 산을 필요이상으로 생성하는데 이 아미노산은 프로스타그란딘이라는 염증 물질을 많이 생성시킨다. 프로스타그란딘(Prostaglandins)은 지질화합물의 일종으로, 호르몬 유사 물질로 분류된다. 이들은 체내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프로스타그란딘은 지방산인 아라키도닉 산(arachidonic acid)에서 유래하며, 효소인 COX(cyclooxygenase) 또는 LOX(lipoxygenase)에 의해 생성된다. 이 물질들은 통증, 염증, 혈액 응고, 소화기계, 생식기계 등 여러 생리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프로스타그란딘의 과도한 생성은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예: 크론병), 통풍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질환에서는 COX-2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여 과도한 프로스타그란딘이 생성된다.
2. 환경적 영향; 육식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특히 온실가스 배출, 자원 소비, 삼림 파괴 등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2.1 온실가스 배출
-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 육류 생산은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가축은 메탄을 방출하는데,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약 25배 더 강력하다.
- 축산업은 농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의 약 1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교통과 산업을 합친 것보다 더 큰 배출량이다.
2.2 자원 낭비
- 육류 생산에는 엄청난 자원이 소모된다. 예를 들어, 소고기를 1kg 생산하기 위해서는 2,000~3,000리터의 물이 필요하다. 이는 식물성 식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이다.
- 또한, 곡물(예: 옥수수, 대두 등)을 가축 사료로 사용하기 위해 대규모로 농지가 필요하며, 이는 식량 자원의 낭비로 이어진다.
2.3 삼림 파괴; 대규모 농장과 가축 사육을 위한 땅을 확보하기 위해 삼림이 파괴된다. 예를 들어, 아마존 열대 우림의 일부 지역은 소고기 생산을 위한 초지로 변하고 있으며, 이는 생태계 파괴와 생물 다양성 감소를 초래.
3. 윤리적 문제; 육식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동물 권리와 관련이 깊다.
3.1 동물의 고통
- 산업화된 축산업에서의 동물 사육은 종종 비위생적이고, 비좁은 공간에서 비인도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가축은 비좁은 우리에 갇혀 자연스럽지 않은 환경에서 자라며, 이는 심리적, 신체적 고통을 초래한다.
- 도살 과정도 종종 잔인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일부는 동물들이 고통을 겪으며 죽어간다고 보고된다.
3.2 가축을 통한 식량 자원 낭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육류 생산을 위한 자원을 위해 고통받고 있는 동물들에게 자원을 공급하는 대신, 직접 식물성 식품을 소비할 수 있다. 이는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4. 육식 대체 방법: 채식은 육식을 대체하는 훌륭한 방법으로, 건강, 환경, 윤리적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4.1 건강적 이점
- 채식은 심혈관 질환, 암, 비만 등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식물성 단백질(예: 콩, 렌즈콩, 퀴노아 등)은 건강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으며, 식이섬유와 비타민, 미네랄을 풍부하게 제공한다.
4.2 환경적 장점
- 채식은 육식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이 훨씬 적고, 물과 자원 소비가 적다.
- 삼림 파괴를 줄이고, 생태계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4.3 윤리적 대안; 채식은 동물의 권리를 존중하며, 동물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식사를 선택하는 것이다. 169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PNS)은 자율신경계의 두 가지 주요 부분 중 하나로, 신경계를 통해 몸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누어진다. 부교감신경은 신체의 휴식, 회복, 소화와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휴식과 소화(rest and digest)"라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부교감신경은 심장에 있는 M2 수용체를 통해 심장 박동수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미주신경(vagus nerve)이 이 과정을 조절하는 주요 신경이다.
부교감신경은 소화 기관의 활동을 자극하여 음식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촉진한다. 예를 들어:
- 위장 운동을 촉진하여 음식을 잘게 분해하고 배출을 용이하게 만든다.
- 소화 효소의 분비를 증가시켜 소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 침샘에서 침의 분비를 자극하여 음식을 부드럽게 하고, 구강 내에서 소화가 시작되도록 돕는다.
부교감신경은 호흡을 느리게 하고 깊게 만들어 산소 공급을 최적화한다. 이로 인해 심호흡이나 이완 상태에서 호흡이 깊어지고, 이산화탄소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부교감신경은 배뇨를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배뇨근을 자극하여 소변을 배출할 수 있게 도와주며, 소변을 배출하는 과정을 원활하게 만든다. 또한 체온을 조절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교감신경이 발열을 유발하는 반면, 부교감신경은 체온이 지나치게 올라가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미주신경은 부교감신경의 가장 중요한 신경으로, 대부분의 내장 기관과 연결된다. 심장, 폐, 위장, 간, 비장 등 여러 장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
부교감신경은 동공을 수축시켜 빛의 양을 조절하고, 근육을 이완시켜 초점을 맞추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눈물샘을 자극해 눈물 분비를 촉진하여 눈의 건조함을 방지한다. 부교감신경의 활동은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며,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조절된다.
1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부교감신경의 주요 신경전달물질로 부교감신경의 신경 말단에서 방출되어, 해당 신경이 지배하는 장기나 조직에 작용한다. 예를 들어, 심장, 위장, 눈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그들의 활동을 조절한다.
2 부교감신경 자극의 증가
- 휴식과 이완 상태에서는 부교감신경의 활동이 증가하여 심박수가 낮아지고, 소화 및 배뇨와 같은 생리적 기능이 촉진된다.
- 심리적 안정, 명상, 심호흡과 같은 이완 활동은 부교감신경의 활성을 높여 신체의 회복을 돕는다.
3 부교감신경 억제; 스트레스나 위험 상황에서는 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 심박수가 증가하고, 혈압이 올라가며, 소화 등의 기능은 일시적으로 억제된다. 이는 "싸움 혹은 도망" 반응(fight-or-flight response)과 관련이 있다.
부교감신경의 균형은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부교감신경의 과도한 활성화 또는 억제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1 부교감신경 과다 활성화; 저혈압, 심장 박동수 감소, 소화계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긴장하거나 극단적인 휴식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
2 부교감신경 저하; 교감신경 우세 상태로, 과도한 스트레스 반응을 초래하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소화불량이나 배뇨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3 부교감신경과 자율신경계의 균형;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 균형이 깨지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고 교감신경의 과잉 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명상, 심호흡 운동, 규칙적인 운동 등이 부교감신경의 활동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27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41179002
PART 01 약물의 이름은 어떻게 불리우게 되었는가
PART 02 키즈 맘께서 쉽게 복용시키는 감기약의 진실
PART 03 내성이 우려되는 항생제와 항진균제
PART 04 약은 약사에게 비뇨기계 진료는 비뇨기과에서
PART 05 염증물질... 프로스타글란딘과 류코트리엔
PART 06 진통제 먹으면 속 다버린다는데...
PART 07 만성 질환 1위 고혈압 약물 알아보기
PART 08 부교감신경 알아보기
PART 09 당뇨와 고지혈증
PART 10 상식을 늘려주는 약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