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체
1]몰
1.몰(mol)
1) 몰 : 6.02 × 1023개 입자(원자, 분자, 이온)의 집단
① 1몰 : 6.02 × 1023개 원자, 분자, 이온
② 입자수 = 몰수 × 6.02 × 1023개
③ 몰수 = 입자수/6.02 × 1023개
2.몰 수 구하기
1) 1몰의 질량
① 원자 1몰의 질량 =
g
분자 1몰의 질량 =
g
이온성 물질 1몰의 질량 = 식량 g
② 질량 = 몰수 × 1몰의 질량
③ 몰수 = 질량/분자량
2) 1몰의 부피 : 0℃, 1기압에서 모든 기체 1몰이 차지하는 부피 = 22.4L
① 부피 = 몰수 × 22.4 (L)
② 몰수 = 부피/22.4
3) 기체의 분자량 측정
① 몰 부피를 이용하는 법
0℃, 1기압에서
기체 1몰의 질량 = 22.4L의 질량 = 분자량
= 1L의 질량 × 22.4 = 분자량
= 밀도 ×22.4 = 분자량
② 아보가드로의 법칙 이용
같은 수의 기체 분자들의 질량비 =
=
2]기체
1.보일의 법칙
1) 기체 분자는 분자간 거리가 멀어 분자간 인력이 무시될 정도로 작음
2) 운동에너지가 커 항상 빠른 속도로 직선 운동
1. 보일-샤를의 법칙
보일의 법칙
1) 압력 : 단위 면적에 충돌하는 기체 분자수에 의해 비례(압력=힘/면적)
① 표준 기압 : 0℃, 해면상에서의 수은 기둥의 높이 760mmHg - 1기압
1기압=
mmHg=
cmHg=
torr=
hPa
② 수은주의 높이 변화로 기체가 나타내는 압력 측정
2) 보일의 법칙
① 기체 들은 분자사이의 거리가 멀어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부피 감소
②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V)는 압력(P)에
한다
∴ PV = k V = k P1V1 = P2V2
k : 온도와 기체의 양에 의한 값
2.샤를의 법칙
1) 샤를의 법칙
①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의 부피(V)는 온도가 1℃ 상승함에 따라 0℃ 때 부피(V0)의
씩 증가한다
②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레한다
V = V0 + V0 × (t/273) = V0(1 + t/273) V = V/273(273 + t) ( t : 온도)
여기서 V/273 는 일정한 값이므로 k 라 하면
∴ V = k ( 273 + t) (절대온도 T= 섭씨온도 + 273)
∴ V = kT
2) 보일-샤를의 법칙
①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하고 절대온도에
한다
PV/T = k ∴ PV/T = P'V'/ T'
② 기체의 압력. 온도 및 부피 사이의 관계
3.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1) 보일 샤를의 법칙에 아보가드로의 법칙 적용
① 0℃ 1기압에서 기체 1mol : 22.4 L
k = 1기압×22.4(L/mol)/273K = 0.082 L. atm / mol . k → R : 기체 상수
∴ P V = R T
② 0℃ 1기압에서 기체 n mol : n × 22.4 L를 적용
PV = nRT PV = RT :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2) 이상 기체의 성질 :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에 잘 맞게 행동하는 기체
① 분자 자체의 부피가 없고 분자간 인력이나 반발력이 작용하지 않음
② 충돌시 에너지의 손실이 없는
③ -273℃(절대 0도)에서 부피가 0이며 운동에너지는 절대 온도에 비례
3) 기체의 분자량 측정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
① PV = nRT PV = (w/M) RT 에서 M = wRT / PV
② 밀도 (d) = w/V 이므로 ∴ M = dRT/P
4.기체의 분자 운동론
1) 기체 분자 운동론의 가설
① 기체 분자는 끊임 없이 운동하고 있으며 기체 자체의 부피는 무시
② 기체 분자사이의 인력이나 반발력은 무시
③ 기체 분자는
이다 (충돌시 에너지 교환은 있어도 충돌 전후 전체에너지에는 변화가 없다)
④ 같은 온도에서 모든 기체의 평균 운동에너지는 같고, 평균 운동에너지는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 ()
2) 분자운동론에 따른 기체 운동의 고찰
① 일정 온도에서 기체의 평균 운동에너지가 일정하므로 각 기체분자들의 속도는 서로 달라도 평균 속도는 일정하다
② 부피 증가 → 충돌거리 길어짐 → 용기 벽이 받는힘 감소 → 압력 감소 : 보일의 법칙
③ 일정 부피의 기체에 온도가 상승 → 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 증가 →속력 중가 → 단위 면적 당 충돌횟수 증가 → 압력이 증가
실제 기체
1) 분자사이의 인력 효과
낮은온도 높은 압력 :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작고 분자간 거리가 가까워져 인력 작용 → 이상기체에서 보다 부피가 더 작다
2) 분자의 부피 효과
① 낮은 압력과 높은 온도 : 분자간 거리가 멀고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커 기체 자체의 부피는 무시할 수 있다 (이상기체 처럼 행동)
②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 : 분자간 거리가 가까워 기체 자체의 부피를 무시할 수 없음 → 이상기체에서보다 부피가 크다
3) PV/RT 의 값( 실제 기체와 이상 기체의 비교)
① 이상 기체에서는 1
② 압력과의 관계 :
* 압력이 증가하면 분자간 거리가 가까워져 분자간 인력 작용 →이상 기체에서보다 부피가 더 감소 : 1보다 작은 값
* 어느 정도 이상의 압력에서는 기체 자체의 부피효과에 의해 부피 감소가 덜 됨 : 1 보다 큰 값
* 분자량이 작을수록 이상기체에 가까운 행동을 하며, 수소의 경우
분자간 인력효과 보다 부피효과가 커 1보다 항상 큰 값을 가짐
③ 온도와의 관계
∞ 낮은 온도에서는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작아 분자간 인력 효과에 의해 부피가 더 감소
→ 1 보다 작은 값
∞ 높은 온도에서는 운동에너지가 커 이상 기체 처럼 행동
④ 샤를의 법칙에 의하면 절대 0도에서 기체의 부피는 0 이지만 실제 기체는 절대 0도에 도달하기 전에 액체와 고체로 변함
⑤ 기체 1몰의 부피도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짐
5.기체의 확산
1)
: 기체 분자가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퍼져 나가는 현상
2) 기체 분자의 확산 속도 : 모든 기체의 평균 운동에너지는 같은 온도에서 일정
따라서, 질량이 m1 속도가 v1 인 기체와, m2 v2인
기체의 운동에너지는
① 기체 분자의 확산 속도는 기체의
에 반비례
② 일정 부피의 기체의 질량 = 기체의 밀도
∴ 기체의 확산 속도는 기체의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
③ 기체의 분자량은 밀도에 비례
∴ 확산속도는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
3) 그레이엄의 법칙
온도와 압력이 같은 두 기체의 확산 속도비는 각 기체의 분자량 또는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 한다
6.기체의 부분압력
부분 압력의 법칙
1) 부분 압력 : 혼합 기체 속에서 각 성분 기체가 나타내는 압력
: 어떤 기체의 부분 압력은 같은 용기에서 단독으로 들어 있을 때의 압력과 같다
2) 돌턴의 부분 압력 법칙
① 같은 온도와 부피에서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혼합 기체가 나타내는 전체 압력은 각 기체의 부분 압력의 합과 같다
P = PA + PB ( P : 전체 압력 PA : A 기체의 압력 PB : B 기체의 압력)
② 기체의 부분압력과 기체의 몰 분율
부분압력이 PA이고 몰수가 nA 인 기체와 부분압력이 PB이고
몰수가 nB 인 기체가 압력이 P이고 부피가 V인 혼합 기체에서
PAV = nART PBV = nBRT ‥‥‥ ⓐ
∴ 혼합기체 (nA+nB)몰에 대한 상태 방정식은
PV = (nA+nB) RT ‥‥‥ ⓑ
식 ⓐ를 식 ⓑ로 나누면
PA = P × nA/(nA+nB) PB = P × nB/(nA+nB)
③ 부분 압력과 보일의 법칙 : 혼합하기 전 기체의 압력과 부피가 크면
혼합 기체에서의 부분 압력도 크다
P1 , V1의 기체 A와
P2 , V2의 기체 B를 부피 V인 용기에 혼합한 경우
전체 압력 P = PA + PB 이므로
∴ PV = P1 V1 + P2 V2
2. 화학식량
1. 원자량
1) 원자량
① 질량수가 12인
를 기준으로하고 그에 대한 다른 원자의 상대 적인 질량비의 값을 나타낸 것
상대적이 질량비 = 같은 수의 원자들의 질량비
∴ 같은 수의 원자들의 질량비 = 원자량의 비
②
가 없다
③ 평균 원자량 :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고려한 평균 값
평균 원자량 = ∑ 질량수 × 존재비
*
: 원자번호는 같으나 질량수가 다른 원소들
2. 분자량
1) 분자량 :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량의 총 합
2) 식량 : 이온성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량의 총 합
3) 분자량도 상대적인 질량비의 값
같은 수의 분자들의 질량비 = 분자량의 비
3. 화학식의 결정
1) 원소 분석 : 화합물 중의 원자의 종류 와 질량(%)를 조사하는 분석
2) 각 원소의 질량비/ 각원소의 원자량 = 각 원자의 몰수
3) 각 원자의 몰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하고 원소기호로 표시 ⇒ 실험식
4) 실험식을 보고 실험식량을 구한다
분자량을 측정한다
실험식량 × n(정수) = 분자량에서 정수 n을 구한다
5) 정수를 실험식에 원자 수에 표시 ⇒ 분자식
6) 화합물의 성질을 조사 ⇒ 시성식(작용기를 사용하여 표시함)
# 원소 분석
1)과정
① 염화칼슘관의 질량 변화로부터 화합물의 연소로 생긴 물의 질량을 구한다 (18g 이라면)
② 소다석회관의 질량 변화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의 질량을 구한다 (44g이라면)
③ 생성된 물질이 물과 이산화탄소이므로 화합물중에는 적어도 C 와 H를 포함 한다
④ 생성된 물로부터 화합물중의 수소 원자의 질량
H의 질량 = 2g
C의 질량 = 12g
화합물 전체의 질량이 40g 이라면
O의 질량 = 40 - (2 + 12)g = 16g
2) C : H : O 의 원자의 몰수
= 1 : 2 : 1
3) 각 원자의 몰수비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하고 원소기로를 써서 표시 → 실험식 : CH2O
4) 실험식을 보고 실험식량 = 30
분자량 측정 = 60
실험식량 × n = 60 n = 2
5) 정수 n을 실험식의 원자수에 곱해서 표시 → 분자식 C2H4O2
6) 물질의 성질을 조사 - 산으로서의 성질 → 시성식 CH3COOH
4. 화학식
1)
: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 식
2)
: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모두 나타낸 식
3)
: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작용기를 사용하여 나타낸 식
4)
: 분자에서 원자간의 배열 순서 및 결합 상태를 결합선으로 표시한 식
3. 화학반응식
1. 화학 반응식
* 화학 반응을 화학식과 기호를 써서 간단하게 나타낸식
1) 만드는 법
① 반응물질 → 생성물질의 화학식
(왼쪽) (오른쪽) 에 표시하고 물질종류가 많으면 (+) 로 연결한다
② 반응 물질과 생성물질의 모든 원자수가 같도록 계수를 정한다
③ 화학식뒤에 물질의 상태를 표시
(s) :
(l) :
(g) :
(aq) :
2) 화학 반응의 종류
①
: 두 물질이 반응하여 하나의 생성물을 만드는 반응
A + B → C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
질소와 수소가 반응하여 암모니아 생성
②
: 화합물이 두 가지 물질로 나뉘는 반응
C → A + B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와 수소로 나뉜다
암모니아를 분해하면 질소와 수소로 나뉜다
③
: 화합물의 성분 일부를 다른 원자, 원자단으로 바꾸는 반응
AB + C → AC + B
2 KI + Br2 → 2 KBr + I2
④
: 화합물의 성분 일부를 교환하는 반응
AB + CD → AD + CB 예) NaCl + AgNO3 → AgCl + NaNO3
3) 화학반응식이 나타내는 뜻
① 반응식의 계수비 = 몰수비
② 예를 들면 2 H2 + O2 → 2 H2O 계수비 = 몰수 비 = 입자수의 비 = 부피의 비
몰수비 2mol : 1mol : 2mol
입자수 2×6.02×1023 : 1×6.02×1023 : 2×6.02×1023
입자수비 2 : 1 : 2
(STP)부피 2×22.4L 1×22.4L 2×22.4L
부피비 2 : 1 : 2
질량 2×2g 1×32g 2×18g
( 4g ) ( 32g ) ( 36g )
질량비 1 : 8 : 9
4) 반응에서의 양적관계
① 화학반응식을 완결한다
②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몰수로 바꾼다
③ 계수의 비 = 몰수의 비 로부터 구하고자 하는 물질의 몰수를 구한다
④ 질량 = 몰수 × 1몰의 질량 (원자량g, 분자량g, 식량g)
부피 = 몰수 × 22.4L (0℃, 1기압에서)
입자수 = 몰수 × 6.02 × 1023
⑤ 부피 - 부피 관계에서는 계수의 비 = 부피 비를 이용하여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