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등산코스의 개념》
■ 북한산 등산코스의 개요
북한산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 및 양주군에 걸쳐있는 산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이 서울시에 속해있는 서울의 진산으로 예로부터 서울시민의 삶과 늘 함께 해온 산이다.
북한산은 서울시와 인접하고 있어 접근이 편리하고, 주택가가 북한산 기슭에 일찍부터 자리를 잡아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등산로가 만들어졌다.
특히 예전부터 동네가 형성된 북한산의 동북 지역인 우이동, 수유리와 남쪽인 정릉, 남서쪽의 불광동 일대는 정규등산로 이외에도 거미줄처럼 산길이 발달되어 있다.
반면 북한산의 북쪽과 북서쪽 일대는 한동안 군사지역으로 묶여있다 최근에 개방되었고, 민가가 거의 없어 아직도 호젓한 코스가 많이 남아있다.
북한산의 산행기점은 현재 군부대가 있는 북쪽을 제외하고 우이동, 수유리, 정릉, 국민대, 평창동, 구기동, 불광동, 구파발 등 다양하지만, 주요 기점(4대 기점)은 우이동, 정릉, 구기동, 구파발(북한산성입구)이라 할 수 있다.
즉, 북한산에 대해 잘 모르거나 지방에서 서울로 원정 산행을 할 경우에는 4대 기점을 연결한 산행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북한산의 산행들머리는 약 40 군데.
최근까지도 매표소가 없는 들머리가 많았으나, 2004년 북한산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 들머리를 정리하면서 대부분 매표소가 설치되어 있다.
북한산은 다른 국립공원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능선이 잘 발달되어 있어, 정상을 목적으로 하는 산행뿐만 아니라 정상을 가지 않으면서도 능선과 능선, 능선과 계곡을 연결하는 산행코스가 상당히 일반화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능선은 산성주능선, 비봉능선, 진달래능선, 칼바위능선, 의상능선이며, 대표적인 계곡은 산성계곡, 소귀천계곡, 구기계곡, 정릉계곡, 밤골계곡 등이다.
대표적인 코스로는 우이동(백운매표소)에서 백운대로 올라 산성주능선을 거쳐 하산하는 길, 불광동에서 시작하여 비봉능선을 거쳐 대남문에서 하산하는 길, 의상능선(산성매표소, 백화사매표소)을 거쳐 대남문에서 하산하는 길, 정릉에서 올라 칼바위능선을 거쳐 하산하는 길, 산성계곡을 거쳐 대남문에서 하산하는 길 등이 있다. 가장 긴 코스로는 북한산 종주코스, 12성문 종주코스 등이 있다.
북한산은 또한 화강암 바위가 잘 발달하여 암벽, 암릉코스 또한 매우 유명한 산이다. 대표적인 암벽코스는 인수봉으로 약90개의 코스가 개척되어 있고, 암릉(릿찌)코스는 원효릿찌(염초릿찌 포함). 만경대릿찌, 숨은벽릿찌, 문수봉릿찌(족두리봉, 향로봉 릿찌 포함)가 대표적이다.
■ 테마가 있는 탐방로
■ 자연휴식년제 입산통제 현황
※ 통행제한구역안내는 현지 여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탐방객 안전과 산불방지 등 공원보호를 위하여 '91.11.15'부터 야간산행을 제한합니다. 야간산행은 일몰 후부터 일출 2시간 전까지의 산행을 말하며, 관리사무소 허가 후 산행가능합니다.
산불방지기간
춘계 산불방지기간 : |
매년 3월 1일 ~ 5월 31일 |
추계 산불방지기간 : |
매년 11월 15일 ~ 12월 15일 |
※ 산불방지기간은 기상 여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개방구간안내
원도봉 ~ 망월사 ~ 포대능선, 원도봉 ~ 심원사능선, 원도봉 ~ 덕재샘 ~ 민초샘 ~
포대능선 |
원도봉 ~ 원효사 ~ 포대능선, 회룡골 ~ 포대능선, 대서문 ~ 위문 ~ 대남문 |
시구문 ~ 원효봉~북문, 시구문 ~ 덕암사 ~ 등운각, 불광계곡 ~ 각황사, 송추 ~
사패능선 |
서원터 ~ 만월암, 도봉매표소 ~ 도봉대피소 ~ 포대능선, 서원터 ~ 주봉 ~ 신선대 |
서원터 ~ 우이암, 서원터 ~ 거북암 ~ 도봉주능선, 능원사 ~ 보문대피소 ~ 무수골 |
제1휴식처 ~ 포대능선, 고향산천 ~ 소귀천약수터 ~ 대동문, 법당매표소 ~
용암문입구 |
도선사광장 ~ 하루재 ~ 인수대피소 ~ 백운대, 성불사 ~ 포대능선, 우이동 ~ 원통사 |
우이대피소 ~ 하루재, 아카데미하우스 ~ 구천폭포 ~ 대동문, 구기분소 ~ 대남문 |
운가사 ~ 진달래능선 ~ 대동문, 화계사 ~ 삼성암 ~ 빨래골매표소, 정릉분소 ~
보국문, |
정릉분소 ~ 영추사 ~ 대성문, 정릉분소 ~ 일선사 ~ 대성문, 북악매표소 ~ 형제봉 ~
대성문 |
평창동 ~ 일선사 ~ 대성문, 연화사 ~ 제3휴식처 ~ 승가봉 ~ 대남문 |
아래 구간은 2003년 1월 1일부터 2005년12월31일까지 3년간 출입을 제한합니다.
|
자연휴식년제 적용 출입금지구간 |
거리 |
대상 |
|
|
백운매표소∼우이대피소위 갈림길 |
1.2 ㎞ |
탐방로 |
|
우이능선 하루재∼육모정매표소위 용덕사입구 |
3 ㎞ |
탐방로 |
|
도봉 제4휴식처∼도봉 주능선 삼거리 |
1 ㎞ |
탐방로 |
|
도봉서원∼도봉 제10휴식처 갈림길 |
1 ㎞ |
탐방로 |
|
우이대피소위 하루재·깔닥고개갈림길∼깔닥고개위 |
0.5 ㎞ |
탐방로 |
|
하루재∼깔닥고개 |
0.3 ㎞ |
탐방로 |
|
☆사기막골∼백운대 |
3.2 ㎞ |
탐방로 |
|
☆송추1철교∼송추3철교·오봉삼거리(송추계곡) |
1.9 ㎞ |
계곡 |
|
우이분소∼구 백운매표소 (우이계곡) |
0.6 ㎞ |
계곡 |
|
구기분소∼제4휴식처 (구기계곡) |
1 ㎞ |
계곡 |
|
평창2매표소∼동령폭포위 (평창계곡) |
0.4 ㎞ |
계곡 |
|
정릉계곡(청수폭포하단수중보∼넓적바위, 청수폭포∼청수천30m 상단, 청수폭포하단∼제1휴게소 100m상단) |
1.6 ㎞ |
계곡 |
|
우이지구 인수천 (한일교∼전경대경계구역) |
1.5 ㎞ |
계곡 |
|
보현봉 및 형제봉 일원 (형제봉매표소∼일선사, 평창1매표소∼일선사구간 탐방로 제외) |
1.8 k㎡ |
훼손지 |
|
■ 대중교통 안내
|
탐방안내 > 찾아오시는 길 |
|
|
※ 쾌적한 탐방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합니다. |
|
• 북한산 오시는 방법 |
|
구기지구 기점 |
02-379-7043 |
전철3호선 불광역 에서 7111번, 7022번, 7211번 버스이용, 전철3호선 경복궁역에서 0212번 버스 이용 |
|
북한산성지구 기점 |
02-357-9698 |
전철3호선 구파발역에서 704번 버스중 산성입구행이나 불광동터미널 의정부간 34번 시외버스 이용, 효자동은 구파발역에서 34번 버스이용 범골 및 사기막골 하차 |
|
불광지구 기점 |
02-357-9698
|
구기매표소 및 진흥로 방면은 전철3호선 불광역에서 7022번이나 7720번 버스이용 향림담 및 독바위 일원은 전철6호선 독바위역에서 하차 |
|
수유지구 기점 |
02-997-8366
|
전철4호선 수유역에서 하차. 아카데미하우스 방면은 1119번 버스이용 . 화계사 및 빨래골은 전철역4호선 미아삼거리역 또는 전철6호선 고려대역에서 104,144번 버스 이용 |
|
우이지구 기점 |
02-997-8365
|
전철4호선 수유역 하차 4번 출구 쪽에서 130,1217번 버스 또는 전철4호선 미아역에서 1219번버스 이용 |
|
정릉지구 기점 |
02-909-0497,8
|
전철4호선 길음역에서 하차, 3번 출구쪽에서 정릉행 162,1013,1020번 시내버스이용, 형제봉코스는 길음역에서 170,171,1711,7111,7211번 버스 이용 국민대에서 하차 |
|
진관동지구 기점 |
02-357-9698
|
구파발역에서 7724번 버스 이용, 전철3호선 구파발역에서 704번버스이용, 부대입구하차 도보로 접근 |
|
• 도봉산 오시는 방법 |
|
도봉지구 기점 |
02-954-2566 |
전철1호선 도봉산역에서 하차 도보로 접근 또는 도봉역에서 하차 141번 버스이용 |
|
범골지구 기점 |
031-873-2791,2 |
전철1호선 회룡역에서 도보로 접근, 혹은 회룡역 전역인 망월사역 202-1 버스타고 신도6차아파트 하차 |
|
송추지구 기점 |
031-826-4559 |
전철3호선 구파발역에서 34,36번 의정부행 시외버스이용. 또는 의정부터미널에서 송추경유 34,36번 버스이용 |
|
안골지구 기점 |
031-873-2791,2 |
전철1호선 의정부에서 하차, 1, 2, 3, 5, 5-2번 시내버스나 택시이용 |
|
원도봉지구 기점 |
031-873-2791,2 |
전철1호선 망월역에서 하차, 도보로 접근 |
|
회룡지구 기점 |
031-873-2791,2 |
전철1호선 회룡역에서 하차, 도보로 접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