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골신경은 몸에서 가장 크고 긴 신경으로 제 4번 및 5번 요신경과 제 1, 2, 3 번 천골신경으로 이루어진 좌골신경총으로부터 좌골절흔을 통하여 골반을 나와 이상근과 골반벽 사이를 지나 하지로 내려가 경골신경과 총비골신경으로 나뉜다. 흔히 좌골신경통은 좌골신경의 주행 부위, 즉 엉덩이 및 하지의 뒤쪽으로 방산되는 통증을 말하는데 증상일 뿐 진단명은 아니다. 좌골신경통은 요부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 및 둔부의 관통상, 골반 골절, 고관절 탈구, 엉덩이 근육 주사에 의한 좌골신경손상 등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나 이상근 증후군에 의해서도 흔히 발생한다.
이상근은 엉덩이 부위에서 좌골신경의 바로 위에 가로로 걸쳐 접해있으며 압박 받기가 쉬운 구조로 되어있고 일부 사람(약 12%)에서는 선천적으로 이상근의 사이로 좌골신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지나가 좌골신경이 이상근에 의해 눌릴 수 있다. 이렇게 좌골신경의 주행 이상이나 이상근의 변이에 의해 좌골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되는 좌골신경통을 이상근 증후근이라 부른다.
### 임상 증상 및 진단
하지의 뒤쪽으로 방산되는 엉덩이 통증이 주 증상이다. 다리에 감각 이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심하면 운동 장애로 똑바로 걷기가 힘들다. 통증은 쑤시거나 화끈거리기도 하며 그 부위로 앉거나 다리를 들거나 하는 특정한 자세를 취할 때 특히 심해진다. 엉덩이 부위에 타박상을 입은 적이 있거나 특정한 운동을 할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도 있다.
엉덩이의 특정 부위(Valleix point)를 손으로 누르면 환자가 튀어 오를 듯이 통증이 심해지며 엉덩이 근육(대둔근)이 위축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고관절을 굴곡시킨 상태에서 내전시키거나(Freiberg test), 앉은 자세에서 고관절을 검사자의 손에 대항해 외전 및 외회전 시키면(Pace test) 통증이 증가된다. 하지직거상 검사는 추간판탈출증과 비교해볼 때 통증에 비해서 강양성이다.
#. 관련근육##
1) 요방형근(Quadratus lumbourm)
①기시 : 하위 3∼4개의 요추 횡돌기, 장골능, 장요인대
②정지 : 제 12늑골, 제 1∼3요추 횡돌기
③신경지배 : 요신경총의 가지 Th12 - L1
④작용 : a. 양측 - 제 12늑골을 아래로 당김.
b. 편측 - 동측으로 요추 굴곡.
2) 대퇴사두근(Quadriceps muscle)
①기시
a. 대퇴직근(Rectus femoris) : 하전장골극(Inferior anterior iliac spine)
첫댓글 자료 감사 합니다...근디 너무 어려워
진단 내용을 보시고 근육이름을 읽어두시고, 근육학 책을 병용하면 이해하기 조금 낳지 않을까 합니다.
근데 너무 배고프다.
맛있는 식사시간 보내세요
아직은 이해하기에 내공이 딸립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머리에 쏙쏙 들어 오도록 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