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덕궁 후원은 왕이 생활의 여가를 자연과 더불어 휴식하고 즐기는 곳으로 꾸몄다고 할 수 있겠다.
이 후원은 단순한 휴식공간만은 아니였다.이곳에서 임금과 왕자들은 책을 읽으면서 학문을 연마했다.
문신과 무신의 과거시험이 이곳에서 치러졌고 임금이 농사를 직접 체험하고 왕비가 양잠을 체험하는
공간으로도 이용되었다. 역대 임금들은 이곳의 아름다움을 시나 산문으로 남겨 궁중문학의 산실이 되기도 했다.
부용정(芙蓉亭)은 1707년(숙종 33년)에 지은 택수재(澤水齋)이다.
1792년(정조 16)에 고쳐 지으면서 부용정이라 했다. 부용정은 후원의 꽃이다.
동쪽을 제외하고는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곳에 300여평 넓이로 연못을 파 '태액지(太液池)라 하고
이를 중심으로 집을 지었다. 부용(芙蓉)이란 연꽃을 일컫는 말이다.

부용정은 바로 그 이름에 걸맞게 연꽃이 펼쳐진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다.
'十'자형을 기본으로 한 독특한 형태의 건물이다.
평면구조는 앞면 3칸, 옆면 4칸의 아(亞)자형을 기본으로 하면서 그 남쪽 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장대석 기단 위에 다듬은 8각형의 초석을 놓고 원주를 세우고 기둥 위에는 주두와 익공 2개를 놓아
굴도리를 받치고 있는 이익공집이다. 처마는 부연을 단 겹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정자의 기단 남면과 양측면에 계단을 두어 툇마루로 오르게 되어 있다.
정자 북측에 파놓은 넓은 연못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북쪽 연못에는 정자의 두리기둥 초석들이 물 속에 있어 운치를 더하고 있다.
바닥은 우물마루이고 툇마루에는 아름다운 평난간을 돌렸다.

부용지는 네모난 모양이고 연못의 가운데에 둥근 섬이 있다.
이는 신선들이 논다는 삼신선산의 하나인 방장(方丈)이나 봉래(蓬萊) 또는 영주(瀛州)를 상징한 것으로 보인다.
연못에는 서북쪽 계곡의 물이 용두로 된 석루조를 채우고 넘치는 물은 연못의 동쪽 돌벽에 있는 출수구로
흘러나가도록 되어 있다.정조 임금이 화성행궁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마치고 돌아 온 후
이곳 부용지에서 낚시를 하며 만족해 했다고 한다.
정조는 자주 부용정을 찾아 풍류를 즐긴 것으로 전해진다.
정약용의 <부용정시연기>에 나오는 일화이다.
"부용정에 이르러 상(임금)께서는 물가의 난간에 임하여 낚싯대를 드리웠다.
여러 신하들도 연못 주위에 앉아 낚싯대를 드리우고 고기를 낚아서 통 안에 넣었다가는
모두 다시 놓아 주었다.상께서는 또 여러 신하들에게 배를 띄우라고 명하고 배 안에서
시를 지었는 데,정해진 시간 안에 시를 지어 올리지 못하는 자가 있으면
연못 가운데에 있는 조그만 섬에 안치시키기로 하였다.몇 사람이 과연 섬가운데로
귀양갔는 데 곧 풀어주었다.또 음식을 올리게 하여 취하고 배가 부르도록 먹었다."
정조는 왕실가족과 신하들을 초청해 내원(內苑)잔치를 자주 베풀었다고 한다.
"내가 규장각을 설치한 이래 이 직책에 있는 모든 자를 집안사람처럼 보았으니
오늘의 모임에도 마땅히 집안사람의 준례를 적용하겠다.각신 자제들의 참석도 허락한다."
정조가 원래 왕실 가족들만의 연회에 신하들에게도 개방하면서 규장각 각신들을
왕실 집안으로 여기겠다는 파격적인 선언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덕일의 책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에서 정조가 베플던 내원잔치의 모습을 옮겨본다.
이날 후원 연못에서 낚시를 하는데 한 마리를 잡힐 때마다 기(旗)를 들고 음악을 울렸다.
기분이 좋아진 정조는 자신이 기구(起句)와 결구(結句)를 지을테니
다른 신하들은 중간 두 구를 지어서 시를 완상하라고 말했다.
정조의 시구는 "내원에선 어조(魚藻)시를 노래하고/앞 연못엔 뛰어난 인재들 모여있네"라는 것이었다.
술이 몇 순배 돈 후 정조는 부용정의 작은 누각으로 거동해 태액지(太液池)에서 낚싯대를 드리웠고
여러 신하들도 못가에 둘러서서 낚시를 하게 했다. 붉은 색 옷을 입은 신하들은 남쪽에서,
초록 색 옷을 입은 신하들은 동쪽에서 낚싯대를 드리웠고 성균관 유생들은 북쪽에서 낚시했다.
정조는 물고기 네 마리를 낚았는데 낚아 올릴 때마다 음악이 한 곡씩 연주되었고
끝나면 다시 못 속에 놓아주었다.정조는 배를 띄우고 신하들에게 시를 짓게 하면서
정해진 시간에 짓지 못하자 귀양 보내겠다고 농(弄)했다.
실제 몇 신하가 짓지 못하자 연못 한 가운데 있는 조그만 섬에 귀양 보냈다가 곧 풀어주었다.
이날의 연회는 밤이 되어서야 끝났는데 정조는 어전(御前)에서 사용하는 홍사촉(紅紗燭)을
내려 주어 밤길을 밝히게 하였다.

이덕일의 책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에서>는 영화당 일대에서 정조가 신하들과 즐기는 장면을 이렇게 그렸다.
"영화당(映花堂) 아래서 말을 타면서 신하들에게도 말을 타고 따라오라고 명했다.
채제공 이하 10여 인의 각신과 정약용을 비롯한 6,7인이 말을 타고 따랐다.
백화가 만발한 정원을 지나 어수당 앞에서 말을 내린 정조는 천향각(天香閣)에 설치된
어좌(御座)에 앉았다. 정조는 대신과 각신에게 술과 안주를 내리고 경치 좋은 곳을 선택해 쉬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