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통합성
- 유아의 발달과 학습은 통합되어 이루어지므로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영역을 제공해야한다.
②상호 작용성- 유아가 능동적으로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 성인들이나 다른 또래 유아들 그리고 교재교구들과 적극적으로 상호 작용 함으로써 학습할 수 있는 풍부한 환경을 준비해야 한다.
③구체성- 학습 활동 내용과 제공되는 교재교구들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유아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④활동의 계열성- 유아의 이해 능력, 기술 발달을 위해서 활동 제공시에 도전성, 복잡성, 난이도를 증가시키면서 다양한 교재교구 및 학습 활동을 제공해야한다.
⑤일과의 균형성- 프로그램의 하루 일과는 활동들 간의 균형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⑥다양한 집단 구성- 각 프로그램은 유아의 생체 연령보다는 대상 유아의 발달 단계와 흥미에 맞는 다양한 집단 구성이 요구되어진다.
⑦실외 활동의 중요성- 학습 경험은 실내뿐 아니라 실외 활동을 통해서도 모든 연령이 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⑧능동적 선택 경험- 유아가 능동적으로 주변을 탐색하고 활동을 선택하도록 다양한 교재교구 및 활동을 마련하고 적절한 시설⦁설비 배치를 통해 주도적으로 학습 경험을 얻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⑨다양한 성 역할- 성 구별 없이 남⦁여 유아 모두에게 다양한 교재교구 및 활동을 제공해야한다.
⑩과학적 근거- 적절한 교육 과정 계획은 각 아동의 특별한 흥미와 발달 진보에 대한 교사의 관찰과 기록에 근거해야한다.
출처: 영아발달 책, 교수님께서 주신 유인물(발달에 적합한 유아 교육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