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록(干祿)또는 정록(正祿)이란 일간(日干)또는 주중(柱中) 모든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건록지(建祿支) 를 말한다. 양간(陽干)과 음간(陰干)은 임관(臨官)을 록(祿)을 삼고, 제왕(帝旺)도 록(祿)으로 삼는다. 12지지중(十二地支中)에 辰,戌,丑,未 사고(四庫) 에는 록(祿)이 없다. 辰土,戌土는 괴강(魁彊)이라 변방(邊方)의 추악(醜惡)한 땅(土)과 같아서 록(祿)이 없고 丑土 未土는 천을귀인(天乙貴人)이 출입(出入)하는 문(門)이라 록(祿)이 없다. 또 한편 辰,戌,丑,未土는 사계절(四季節)의 모퉁이 잡기(雜氣)라 전일(專一)하지 못한고로 록(祿)이 없는 것이다. 일간(日干의 시지(時支)나 월지(月支)가 건록지(建祿支)이면 신왕(身旺)한 것으로 판정(判定)하며 또한 식원학(息元學)에서는 사용(使用)하지는 않지만 고서(古書)의 명리학(命理學)에서는 건록격(建祿格)으로 정(定)하는 경우(境遇)가 많다. 건록월생(建月生)은 대부분(大部分) 비견(比肩), 겁재(劫財), 편인(偏印),정인(正印)은 기신(忌神)이 되는 경우(境遇)가 많다고 하나 식원학(息元學)에서는 희신(喜神), 기신(忌神),이 없으며, 식신(食神), 상관(傷官), 편재(偏財), 정재(正財)를 희신(喜神)으로 정(定) 한다고 하나 이 또한 식원학(息元學)에서는 일체(一切) 사용(使用)하지 않는다. 주중(柱中)에서 건록지(建祿支)인 월지(月支)나 시지(時支)가 주중(柱中) 천간(天干)의 건록지(建祿支)가 공망(空亡)이거나 형,충,파,(刑,沖,破,害)를 당(當)하고 있으면 각종(各種) 흉액(凶厄)이 많이 발생(發生)하여 불길(不吉)하고 격(格) 또한 파격(破格)이된다, 하나 식원학(息元學)에서는 형,충,파,(刑,沖,破,害)를 일체(一切) 사용(使用)하지 않는다. 대운(大運), 세운(歲運)에서 형,충,파(刑,沖,破)를 당(當)하는 경우(境遇)에는 돌발적(突發的)인 재난(災難)이 발생(發生)하는 경우(境遇)가 많다, 하나 이 또한 식원학(息元學)에는 사용하지도 않고 오직 오행(五行)의 혼잡(混雜)과 태과(太過), 태약(太弱)과 세운명궁(歲運命宮)을 중요시(重要視) 할뿐이다. 고서(古書)의 명리학(命理學) 원리(原理) 그대로 흉액(凶厄)이 발생(發生)한다면 12歲를 넘기지 못하고 모두 필사(必死)를 하거나, 병신(病身)이 되어야 하지만, 80歲가 넘도록 건강(健康)한 것으로 보아서 명리학(命理學)을 모두 잘못된것이며, 특히 신살(神殺)은 미미(微微)한 참고(參考)는 할뿐 사용(使用)하여, 공갈(恐喝), 협박(脅迫),을 하는 경우(境遇)는 일체(一切)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