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광군은 불교 개신교 원불교 등 3대 종교성지로 알려져 있다. 원불교 영산성지와 불교의 도래지 그리고 개신교위 순교지를 보유하고 있는 종교의 메카로 알려져 있다. 전국 최대의 독특하고 유일무이한 종교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고장인 셈이다.
전남 영광은 6·25 당시 194명이 순교한 대표적인 개신교 순교지로 꼽히는 곳이다. 그 중에 전남 영광군 염산면 봉남리 염산교회(담임목사:김태균, 061-352-9005)는 당시 전체교인의 3분의 2인 77명이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미처 퇴각하지 못한 북한 공산군에 의해 순교 당했다. 이런 이유로 이곳은 한국 기독교 최대 순교지로 불리고 있다.
전쟁 당시 염산교회에는 독립군 출신의 김방호 목사가 담임하고 있었다. 영광일대가 공산군의 손에 넘어가고, 교회당이 공산군의 사무실로 징발된 후에도 김 목사는 교우들과 마을에 남아 초대교회 카타콤처럼 비밀리에 예배를 드리며 믿음을 지켜왔다.
사건은 9·28 수복 후 북진하는 국방군의 환영대회를 염산교회 청년회가 앞장서 주도하면서 비롯됐다. 아직 후퇴하지 않고 남아있던 공산군들과 좌익세력이 이에 대한 보복을 자행하면서 엄청난 살육이 이어졌다.
10월 7일 환영대회에 앞장섰던 기삼도, 노용길 등 청년들을 처형하고, 교회당을 불에 태운 것이 신호탄이었다. 이튿날부터는 염산교회 교인들을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몽둥이와 죽창으로 가족단위로 학살하기 시작했다. 마을 앞 설도포구의 수문통에는 무려 77명이나 되는 교인들이 목에 큰 돌이 매달린 채 수장되고 말았다.
순교자들이 죽음당했던 교회앞의 바다.
초대교역자였던 허상 장로, 2대 교역자였던 원창권 목사, 3대 교역자였던 김방호 목사 모두가 가족들과 함께 목숨을 잃었다. 전 교인의 2/3가 희생된 기막힌 사건이었다. 이들은 생명이 다하는 순간까지도 찬송하고 서로를 격려하며, 의연하게 죽음을 맞았다고 전해진다. 신앙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택한 그들의 신앙은 위대했다.
전쟁이 끝난 후 홀로 살아남은 김방호 목사의 차남 김익 전도사가 부임하여 염산교회의 명맥이 다시 이어지기 시작한다. 김 전도사는 학살의 주범이던 좌익인사들을 찾아다니며 용서와 사랑의 마음을 전했다는 감동적인 이야기도 남아있다.
순교자들의 찬송소리와 비명 소리가 귓전에 들리는것같아 마음이 아파오면서 두눈에 눈물이 흘러내렸답니다.
다시한번 나의 신앙을 점검 해보면서 순교자들의 삶을 본받아 살겠다고 마음을 다짐 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