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 Wise, Mind42, ALMind 등 다양한 유·무료 디지털 마인드맵 프로그램들이 있다. 이 중 이스트소프트에서 개발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인 알마인드는 무료로 제공되면서 다른 프로그램들과 같이 프로젝트 계획수립, 핵심요약 및 정리, 보고서 및 기획안 작성, 아이디어 발상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복잡한 문제나 추상적인 생각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고 정리하는데 유용하다.
알마인드와 같은 마인드맵 프로그램은 전체를 구성하는 몇 개의 큰 구성 요소를 찾아내고 다시 각각의 구성 요소를 더욱 세분화된 구성 요소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우리집을 마인드맵으로 전개하면 거실, 큰 방, 작은 방, 화장실로 전개할 수 있고, 큰 방은 다시 침대, 책상, 의자, 옷장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이렇듯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구성 요소를 계층과 계열에 따라 분류해 나가는 방식이다.
Think Wise, Mind42, ALMind와 같은 디지털 마인드맵의 장점은 첫째 작성된 맵이 전자문서의 형태로 저장되므로 수정과 확장이 용이하고 내용의 공유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mindnode의 경우 맥스토어에서 PC용 버전을, 앱스토어에서 아이폰과 아이패드용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을 오가면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번째로는 다양한 IT 기술 및 제품과의 접목이 가능하며 가지의 모양, 배치, 이미지 작성 등을 쉽게 할 수 있다. 마인드맵 전개과정에서 첨부파일과 이미지를 넣을 수 있으며, 메모, 책갈피, 꼬리표, 작업정보 기능 등도 지원된다. 이렇게 작성된 마인드맵은 PPT(파워포인트), DOS(MS Word), html 등의 파일형태로 저장가능하여 손쉽게 업무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세번째로는 배치와 구조화의 문제를 디지털 마인드맵이 해결해 줌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 폭발적으로 떠오르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쉽고 빠르게 시각화할 수 있다. 大, 中, 小 형태로 전개한 내용중에 중복이나 누락이 있을 경우 상하위 전개과정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 번 만들어진 자료는 영구적으로 관리 발전시켜 나갈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노력을 현저하게 줄여줄 수 있다. 종이에서 전개한 마인드맵의 경우 내용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처음부터 다시 전개해야 하지만, 디지털 마인드맵으로 작성한 경우에는 손쉽게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
손으로 그린 마인드 맵 |
디지털 마인드 맵 |
준비물 |
종이, 색연필 |
컴퓨터 |
가지배치 |
어려움 |
쉬움(자동배치) |
가지 수정 / 확장 |
어려움 |
쉬움(마우스 이용) |
그림 넣기 |
어려움 |
쉬움(클립아트 등 사용) |
전달 / 공유 |
어려움 |
쉬움(인터넷 이용) |
맵 문서 보관 |
어려움 |
쉬움 |
기타 |
개인적, 예술적 가치, 자유로운 표현 |
시간절약, 자유로운 재가공 용이 |
▲ 손으로 그린 마인드 뱀과 디지털 마인드 맵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