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산(탕춘대능선 + 비봉능선 + 산성주능선 + 백운대) 종주 산행 길라잡이---2024.11.23
---들뫼날뫼(더불어 걷는 길, 더불어 함께, 다물)---2024.11.25
#####개요
*총 종주산행 거리 : 13.08킬로미터.
*총 연결구간 거리 : 0.58킬로미터.
*총 이동거리 및 총 소요시간 : 13.08킬로미터, 08시간27분(산행시간(06시간15분)+연결구간(00시간12분)+휴식(2시간).
1. 총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 12.50킬로미터, 06시간15분.
1). 탕춘대능선길 : 4150미터, 02시간05분.
2). 비봉능선길 : 2700미터, 01시간21분.
3). 산성주능선길 : 4000미터, 02시간00분.
4). 용암봉-만경대 허리길 : 1300미터, 00시간39분.
5). 백운봉길 : 350미터, 00시간11분.
2. 총 연결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0.8킬로미터, 12분.
세검정사거리~~~580~~~탕춘대능선입구.
*총 휴식시간 : 2시간.
==============
==============
#보기
* 산행 속도 : 산행구간 속도(전체구간 평속) 2.0킬로미터, 연결구간 속도-시속3.0킬로미터 속도로 계산함, 분이하 소요시간:반올림.
* 구간거리 표기(단위 : 미터, 이정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삼각점봉---250---향로봉---.
* 해발고도 표기(단위 : 미터,실고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향로봉(535)---
* 산행거리는 이정표거리가 아닌 실거리로 표기함.
* 식수공급: 산에 있는 샘이나 사찰의 샘은 대부분 수질이 나쁘거나 말라 있어 이용이 어려움.
산행중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곳이 없으므로 들뫼전에 미리 넉넉하게 준비해야 함.
* 작성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
######연결구간길 : 석파랑 버스정류장~~~250~~~홍지문.
---세검정 사거리 석파랑 버스정류장---세검정사거리(상명대입구)---횡단보도---횡단보도---<남서쪽으로>---250---홍지문(오간수문)---
######연결구간길 : 홍지문~~~330~~~탕춘대능선입구.
---한북수문(오간수문) + 한북문(홍지문, 65)---징검다리---남쪽으로---홍제천(60, 모래내-사천, 달마사 앞)---천변을 따라---230---
---달마사 옆 주차장(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5-23)---(달마사와 주차장 사이의 좁고 비탈진) 골목길---100---
---민가(75, 서울 서대문구 홍지문길 23-2)---
#####서성능선(탕춘대능선) 구간길 : 탕춘대능선입구~~~4150~~~향로봉.
-----들뫼-----
---민가(75, 서울 서대문구 홍지문길 23-2)골목길---<치배기길(깔딱배기길), 나무 숲길>--->낮게 무너진 성벽(140)을 넘어>---100---
---낮은 봉우리(155)를 지나서---조망점(망족두리봉+향로봉+비봉)---가꾼 정원---250---
---옥천암500M-북한산자락길(실락어린이공원)3.65KM 이정표를 지나고---250---
---북한산 자락길(옥천암 방향)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고...---<성벽 안쪽길로...>---300---
---상명대학교 후문 갈림길 사거리(150, 북한산자락길(옥천암 방향)1.39KM-상명대학교 후문0.18KM 이정표, 끊긴 성벽, 토사유출방지목벽)---<성벽바깥길로...>---옛성벽 여장---일부 복원된 성벽---상명대학교 바깥 성벽---옛성벽 여장---일부 복원된 성벽---비법정탐방로 출입금지 경고판---무너지 성벽---성벽 안길 + 성벽 바깥길---<성벽안길로...>---성벽보호 출입금지 경고판 + 대나무 장애물---750---
---서성암문 갈림길 사거리(탕춘대성암문,195, 상명대학교0.8KM-북한산둘레길(평창동 방향)KM-이북5도청0.8KM-서울둘레길(형제봉입구)5.3KM-북한산둘레길(불광동 방향)KM-장미공원1.9KM-서울둘레길(북한산생태공원)2.1KM 이정표, 북한산둘레길(옛성길구간 안내도, 탕춘대성 유래 안내도)---
---멧돼지방지 철망문---북한67-01말뚝이정표(220, 국가지점번호 다사5161 5722)---나무난간---1150---
---구기동 갈림길 삼거리(252, 상명대학교1.5KM-구기동0.9KM-향로봉1.3KM-비봉1.6KM-대남문4.1KM 이정표, 산불진화 장비함, 북한67-02말뚝이정표(252, 국가지점번호 다사5149 5769)---200---
---탕춘대공원지킴터(, 구기지구 안내도, 노송, 탐방로 안내도, 탐방객수 조사 계수기)---종로구 경계점 표석---무너진 탕춘대성---조망점(망족두리봉,망향로봉)---
---
***<치배기길>***---철봉안전난간---조망점---너덜길+밧줄안전난간---족두리봉 조망점---600---
---향로봉 남단-산불감시초소(420, 탕춘대성 갈림길 삼거리)------*****향로봉 우회길*****---나무안전난간---바위굴---밧줄안전난간---이정표(족두리봉1.3KM-향로봉0.4KM-사모바위1.5KM)---마모석계단길---데크계단---조망점---철봉안전난간---비봉 조망점---두갈래 철봉안전난간 합류점---<철봉안전난간>---이정표(족두리봉1.4KM-향로봉0.3KM-비봉0.9KM)---탕춘대성 갈림길---<(지리한)마모석 계단길>---치배기길(비알길)---데크계단---550---
---향로봉입구 갈림길 사거리(520, 족두리봉1.7KM-기자공원지킴터2.0KM-대남문2.9KM-사모바위1.1KM-비봉0.5KM 이정표, 탐방로 안내도, 향로봉일원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경고판, <기자능선-탕춘대능선-불광능선-비봉능선 갈림길 사거리>)---50---
---<나무안전난간 사이로(서쪽 방향)>---
---향로봉(535(527.4), 암봉, 추락주의, 사방팔방 조망점)---
###(비봉 능선길 : 향로봉---2700---문수봉).
---향로봉(535(527.4), 암봉, 추락주의, 사방팔방 조망점)---
---<나무안전난간 사이로(동쪽 방향)>---
---향로봉입구 갈림길 사거리(520, 족두리봉1.7KM-기자공원지킴터2.0KM-대남문2.9KM-사모바위1.1KM-비봉0.5KM 이정표, 탐방로 안내도, 향로봉일원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경고판, <기자능선-탕춘대능선-불광능선-비봉능선 갈림길 사거리>)---
---관봉(535,관음봉,부처바위,식당바위,조망점)---(진관사 - 탕춘대성 갈림길 사거리,500)---(진관사 방향 갈림길 삼거리)---비봉(560,사통팔달 조망점,진흥왕순수비,코뿔소바위,나무난간을 지나 암릉을 올라야 하는 위험구간(비탐구역은 아님))---
---(비봉능선 전망대,승가사 갈림길,525)---사모바위(560,응봉능선갈림길,김신조암굴,쉼터)---
---(삼천사 계곡길 갈림길,530)---승가봉(567,조망점)---(통천문,565,조망점)---문수봉 하단 합류길 삼거리(560,삼천사 계곡 갈림길)---***청수동 암문((694,우회로,청수동암문방향 우회길(계곡 너덜길)도 만만찮음,상원봉(715봉)과 문수봉(727) 사이 안부))방향 길 또는 연화봉(695)암릉길(어려움,문수봉(북쪽)으로 직진)중에서 선택---*****문수봉-연화봉 암릉길---<계단>---철봉안전난간---연화봉(695)*****---<철봉안전난간>---잉어바위---<철봉안전난간>---<데크계단>---<북한산성 성벽>---문수봉(727, 암봉, 비탐구역, 사방팔방 조망점)---
---문수대(문수봉 전망대(715,<북한01-07말뚝,715M><종로구 경계점 표석>)---
###(북한산성 능선길 : 문수봉---4000---용암문).
*****북한산성 성벽길*****
---문수봉(727, 암봉, 비탐구역, 사방팔방 조망점)---성벽---
---문수대(문수봉 전망대(715,<북한01-07말뚝,715M><종로구 경계점 표석>)---
---*****북한산성 성벽길*****---대남문(683,문수사-구기계곡방향(남서쪽),잠룡계곡-북한동방향(북동쪽),북한산성우회길(동북쪽,대동문까지)갈림길,대성문-대동문-용암문까지 우회길 있음)---잠룡봉(701,통천문,보현봉-사자능선-형제봉능선방향(동쪽,탐방금지구역)갈림길)---
---대성문(620,형제봉능선-북악산방향(남쪽)갈림길,대동문 방향 우회길 있음)---화룡봉(644)---성덕봉(631,전망대)---보국문(567,정릉매표소방향(남동쪽),북한동방향(북쪽)갈림길)---복덕봉(594,칼바위능선방향(동쪽)갈림길)---대동문(550,화장실,쇠귀천계곡-진달래능선방향(동북쪽),북한동방향(서쪽)갈림길,용암문까지 우회길 있음)---덕장봉(585)---동장대,시단봉(601)---
---반룡봉(583)---기룡봉(588,치성)---월출봉(615)---일출봉(618)---용암문(587,도선사방향(동북)갈림길)---
### 만경대-용암봉 허리길 : 용암문---1300---백운봉암문(위문).
*****용암봉 허리길*****
---용암문(587,대동문1.5KM-북한산대피소0.2KM-백운대1.5KM-용암문공원지킴터(도선사방향)1.1KM-KM 이정표)---<바위지대, 용암봉 진입구(비탐구역)>---<나무안전난간>---<나무안전난간>---<북한산2-6병풍암 국가지점번호-다사54056166>---<바위지대, 만경대와 용암봉 진입구(비탐구역)>---<나무안전난간>---<박석계단>---<나무안전난간>---<박석계단>---680---
---노적봉입구(658,대동문2.1KM-북한산대피소0.8KM-백운대0.9KM 이정표, <북한22-1말뚝 이정표(658)>, 노적봉(716)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만경대 허리길(이 길은 조망 좋은 위험한 낭떠러지 벼랑길이다.)*****
---노적봉입구(658)---<마모석계단>---<나무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 + 타이어멍석계단>---<쇠줄안전난간>---<데크계단-오르막,망노적봉>---<조망점 : 망 의상능선-노적봉-북한산성지구-백운대-원효능선>---<쇠줄안전난간>---<조망점 : 망백운대>---<쇠줄안전난간>---<데크계단-내리막>---<조망점 : 망백운대>---<데크계단>---<조망점 : 망백운대>---
---<데크계단>---<데크다리>---550---
---용암문-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백운봉암문(위문) 갈림길 삼거리 데크, KM-KM-KM 이정표, 백운대 서벽밴드 진입구(비탐구역)------<(긴 치배기(깔딱배기)데크계단, 북한산1-4위문 국가지점번호-다사54076213>---70---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 백운대 암릉길 : 백운봉암문 ~~~350~~~백운봉.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북한산성 성벽>---<박석계단>---40---밤골방향 갈림길 삼거리(720)---<데크계단 + 밤골방향 갈림길 삼거리(720) + 데크계단>---<탐방객 계수기>---<쉼터,의자없음><북한산1-5백운대 국가지점번호-다사54056218>---<철봉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북한산성 성벽>---<얼굴바위>---<쇠줄안전난간 + 철봉안전난간>---<북한21-04말뚝 이정표(783)>---<오리바위>---<쇠줄안전난간계단>---<쇠줄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나무안전난간>---<삼각산 이름유래와 암석 생성역사 안내판>---<쇠줄안전난간>---<마당바위 + 뜀바위>---<쇠줄안전난간>---310---
---*****백운대(836.5,<통일서원비><3.1운동 암각문><북한산 백운대 836미터 암각문><국기봉><사방팔방 조망점>)*****---
---<철봉안전난간-신설됨-정상 북쪽면>---
=======================
=======================
=======================
#####종주 산행과 일주 산행의 다른 점
-들뫼날뫼(더불어걷는길,더불어함께,다물),2023.10.20
###종주 산행 : 산의 맥과 산의 능선으로 이어진 곳을 따라 걷는 장거리 산행을 말한다.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자연관중의 하나인-산자분수령(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에 의하여 산행길이 강이나 하천 등의 흐르는 물에 의하여 끊기지 않고 연속으로 이어진 산의 능선길을 걷는 산행을 말한다.
예). 1대간 9정맥 162지맥 종주, 화대종주, 설악대종주, 육구종주...
### 일주 산행 : 산의 맥이 중간에 끊기는 장거리 산행을 이르는 명칭이다.
예). 불수사도북 일주(중랑천),삼관우청광 일주(양재천),동두천6산 일주(신천)...
***이에 따라서, 불수사도북 산행을 종주 산행이라 말하는 것은 맞다.
불수사도북 산행은 수락산과 사패산 사이를 중랑천이라는 하천이 흘러 산의 맥이 이어지지 못하고 끊기므로, 종주 산행이 아니라 달리 일주 산행이라 부르는 것이 맞다.
### 사전에서의 정의
1). 종주
종주1 [縱走]단어장 저장
형태분석 [縱走]
명사
(1)
(기본의미) 능선(稜線)을 따라 산을 걸어, 많은 산봉우리를 넘어가는 일.
(2)
산맥 따위가 지형이 긴 쪽으로 또는 남북으로 길게 이어짐.
*출처-다음 국어사전
2). 일주
일주1 [一周]단어장 저장
형태분석 [一周]
명사
넓은 일정한 지역을 한 바퀴 돎.
*출처-다음 국어사전
3).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 : “산은 스스로 물을 가른다”는 말로써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으니 물줄기를 보고 산줄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산줄기를 보아 물줄기도 가늠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산자분수령은 우리 선조들의 전통의 자연관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