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千字文) 88 _ 貽厥嘉猷 勉其祗植
이궐가유 면기지식 貽厥嘉猷 勉其祗植
<貽 끼칠 이 / 厥 그 궐 / 嘉 아름다울 가 / 猷 꾀 유
勉 힘쓸 면 / 其 그 기 / 祗 공경할(다만) 지 / 植 심을 식>
자손에게 그(厥) 뛰어난(嘉) 삶의 방식(猷)을 남겨주니(貽)
자손들은 이를(其) 공경하고(祗) 함양하도록(植) 힘쓴다(勉).
▶ 한자공부
貽 : 조개 패貝와 별 태台(기뻐할 이)가 결합. 재물을 기쁘게 받는다는 데서 ‘끼치다.남기다’.
厥 : 기슭 엄厂과 상기 궐欮(양 양羊과 하품 사람 인人의 합자). 유목하는 모습으로 유목민족이었던 돌궐(突厥)족을 그것이라고 불렀다는 데서 ‘그’.
嘉 : 악기이름 주壴(음식을 그릇에 담은 모습)와 더할 가加. 음식을 베푸는 모습에서 ‘아름답다’.
猷 : 우두머리 추酋(추→유)와 개 견犬. 오히려 유(猶.원숭이 유.움직일 요)와 같은 글자이다. 원숭이는 의심이 많다는 데서 ‘꾀.계책’.
勉 : 면할 면免(투구를 쓴 모습)과 힘 력力이. 투구를 쓴 자가 노역을 강요한다는 데서 ‘힘쓰다.강요하다’.
其 : 삼태기(흙 등을 담아 나르는 바구니) 모양. 삼태기는 운반도구로서 지시대명사인 그것으로 불렸다는 데서 ‘그’.
祗 : 보일 시示(제단)와 근본 저氐(삼가다, 저→지). 제사를 지낼 때 삼간다는 데서 ‘공경하다’.
植 : 나무 목木과 곧을 직直(열 개의 눈으로 숨은 것을 곧이 보다, 직→식). 나무를 곧게 심는다는 데서 ‘심다.세우다'.
▶ 해설
훌륭한 삶의 방식을 세워 후손에게 물려주려면 먼저 자신이 훌륭한 방식으로 살아야 한다.
군자는 하늘의 이치를 깨닫고 마음 수양하는 것을 훌륭한 삶의 방식으로 삼는다.
그러면 자손들에게 좋은 가정과 올바른 문화를 물려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