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키 낮은 간판들
아직도 양복점이 있는 도시였다
어린 날, 집에 출입하던 삼촌은
눈썹 짙은 젊은 사내였다
지금은 일흔이 훨씬 넘었을 그
목포 어디가 고향이라고,
남동생 없는 엄마에게 누님이라 부르며
하, 다정도 했는데,
한 손에 흰 초크를 들고 엎드려
지금도 가위질을 하고 있을까,
옛날처럼 빨간 에나멜 구두 한 켤레 사다
내 머리맡에 두고 갈 수 있을까,
이 낯선 길모퉁이에서
어쩌다 부딪칠 수도 있을 것 같은,
향기 고운 산국 한 다발을 건네며
허리 숙이는 건 일도 아닐 텐데,
시외버스에 몸을 싣고 돌아오는
늦은 밤,
먼 그대, 담벼락에 서서 손을 흔든다
수줍고 색 바랜 웃음
뛰어 내려가 안아줄 수 있을 것 같은,
손 뻗으면 그 시절에 가닿을 듯,
돌아오는 내내 옆자리가 그득했다
가고 없는 어머니
가고 없을 그와 나,
이 도시가 풀어놓은 잔향이
어두운 차창 유리에 되비친다
남쪽바다 하룻밤
별빛처럼 흔들리는
시작노트
지난 늦가을 하루, 해남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목포로 갔다. 창밖에는 누런 햇살이 무릎이 빠질 만큼 출렁거렸다. 추수를 마친 남도의 들판, 참새나 허수아비 자리에 맑은 가을바람과 들꽃이 지천이었다. 시드니에서 늘 그리던 시골 풍경 아닌가, 버스에 실려 건들건들 가 보는 즐거움이 얼마만인지.
다섯 살 때 기억과 맞닥뜨리게 될 줄은 생각도 못했다. 목포에 도착하여 시내버스를 타고 유달산 근처를, 목포 역 근처를 다니다가 눈썹 짙은 삼촌의 그림자를 오롯이 떠올린 것이다. 다시 해남 숙소로 돌아오는 가을밤은 그 덕분에 쓸쓸하지 않았다.
어둔 차창유리에 비친 오십여 년 전 기억, 그때가 그리 깊게 박혀 있을 줄이야, 하얗게 서리 내린 엄마에게 고조곤히 들려주고 싶다. 눈가를 훔치는, 젊었을 적 엄마의 시간을.
윤희경 / 2015년 ‘미네르바’ 신인상 등단. 시집 <대티를 솔티라고 불렀다>. 전자시집 <빨간 일기예보>. 2022년 재외동포문학상 수상, 제10회 경북일보문학대전 수상. kyun788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