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2월 1일 목요일 아침입니다
옮긴 이 <건강 바이블 연구소> 원장 박 한서
제목 : 심장병의 한방 처방
1. 심장병의 병리
(1) 심장에는 피를 만드는 것(造血)을 관장하는
색소신경(色素神經)과 신(神)이 왕래하는
길의 역할을 하는 자연 신경이 있다.
심장의 색소신경의 주제 하에 피를 만드는 곳은
곧 비장(脾臟)과 간장(肝臟)사이에 위치한 비선(脾腺)이다.
비선은 현대 의학상 아직껏 그 오묘한 기능은 물론
존재마저 밝혀지지 않은 기관이나 인체에서 매우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비선은 호흡을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는 공간의
적 색소(赤 色素)와 음식물을 통하여 들어오는 적색소가
심장의 색소신경에 의하여 합성되는 곳이며,
비장에서 흡수한 지방질을 받아서 적색소로 염색(染色)하여
피를 만들어 간으로 보내는 조혈(造血)공장이다. 따라서
지방질이 비선의 염색과정을 거치면 피가 되어
간으로 보내지고, 비선을 거치지 못하면 지방질 그대로
각 장부를 비롯해서 온몸에 분배된다.
지방질 그대로를 온몸에 분배하는 역할은
비장신경이 주관하고 있다.
비선(脾腺)에서 간으로 보내진 피는 다시 간에서
녹 색소(綠 色素)가 첨가되어 심장으로 보내진다.
심장에서 이 완전한 피를 받아 온몸에 순환시킴으로써
체내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등
갖가지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체내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게 되면
인체의 모든 병이 생기기 시작하는 것이다.
2) 모든 동물의 생명은 온기(溫氣)에 있다.
온기에 의하여 신경이 변화하고, 신경이 변화하면
기(氣)가 통하고 혈액이 원할 하게 순환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온기가 부족하면 죽은피에서 도리어
열독(熱毒)이 발하여 통증을 일으키며 모든 질병을 이룬다.
또 냉기(冷氣)가 성(盛)하여 온기가 통하지 못하면
냉극 발열(冷極 發熱)하여 온기가 열기(熱氣)로 변하여
통증이 생기며 모든 병을 이룬다.
이로써 동물의 통증의 원인은 '물(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불(火)'에 있는 것이니 불은 인체 내 자극을 주나
물은 자극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인체의 불(火)을 맡은 장부가 심장이다.
2. 심장병의 원인과 종류
등 쪽에 심유(心兪)라는 혈이 있는데 경락이 이 <심유>를 통해서
뇌로 올라가는 데 이 경락에 염증이 생기면 심장이 나빠져서
두근거리거나 숨이 차다.
이것이 심장병인데 여기를 뜸으로 따끈하게 하면
이런 증상이 없어지는 데 <심유 혈>에 직접 뜨지 않고
<전중 혈> 만 떠도 심장병, 모든 종류의
구종 심통(九種 心痛)의 심장병이 낫는다.
판막 증, 심부전, 협심증 등 그 어떤 종류의
심장병도 <전중 혈>을 떠서 완치할 수가 있다.
※ <전중 혈>을 뜨면 <심유 혈>의 온도 부족을 해소하고
숨이 차거나, 숨이 가쁜 증상이 <심유 혈>를 거쳐서
머리로 올라가서 회복이 된다.
※ 심장병의 진단
심장 판막증 은 -- 잘 놀란다.
협심증(狹心症)은 -- 숨이 찬다.
심부전(心不全)증 은 -- 현기증이 난다
※ 간에서 피를 정화하여 심장으로 피를 보낸다.
심장 쪽으로 여러 장부가 있는데 정화 안 된
피가 여러 가지 심장병을 만든다.
판막이 부었을 때 충격을 받아 놀라면 생기고,
판막이 붓지 않았을 때도 피를 받아 넘기지 못해
고통을 받는다.
처방: 마늘 죽염
註) 심장병의 종류
가). 심근경색 : 동맥경화가 심해져서
관동맥(冠動脈 : 심장을 관장하고 있는 혈관)의
어느 부분이 좁아지면 거기에 혈액의 덩어리가 생겨
혈액의 흐름이 멈춰진다.
그러면 혈액이 흐르지 못하는 부분의 심근이
죽어버리고 이것을 심근 경색이라고 한다.
나). 협심증 : 심장근육은 일반 근육과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고
심장을 둘러싼 특별한 혈관에서 산소와 영양을 받고 있다.
이 관 동맥에 동맥경화가 생기면 피의 흐름이 나빠지고
이렇게 되면 혈액 및 산소량을 충분히 보급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심장부에 통증과 발작이 일어난다.
이것을 협심증이라 한다. 협심증은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기 쉽다.
다). 심부전(心不全) : 심장은 전신의 구석구석까지 혈액을
내보내는 펌프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심장 펌프기능이 저하되면 몸이 필요로 하는 혈액을
공급받지 못한다. 이 상태를 심부전이라고 한다.
협심증이나 고혈압이 오래되면 이 병에 걸리기가 쉬우며
심장의 기능이 쇠약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라). 심장판막증 : 심장에 있는 4개의 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지속적으로 기능이 장애를 받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폐쇄되어야 할 시기에 판이 완전히 폐쇄되지 못하여
혈액의 일부가 판구(瓣口)를 통하여 역류하는 경우를 판구
폐쇄부전이라 한다.
후천성의 판막 증의 거의 좌심실의 대동맥 판을 침해하며
대동맥 판 폐쇄부전이 많다. 원인으로는 급성 심 내막 염에
속발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류머티즘 염, 편도염, 다발성 관절염 및
그 밖의 전염 증상은 모두 원인이 될 수 있다.
매독이나 동맥 경화증은 대동맥 판 폐쇄 부전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마). 정충, 경계(驚悸) : 크게 놀라거나 심장 충격으로 오는 병인데
가슴이 항상 두근거리면 정충이고, 심장이 허약하여 자주
놀라는 것을 경계라 한다.
3. 여러 가지 심장병의 치료
<전중>혈 쑥뜸 법 :
40초짜리 하루 100장씩 7일간 뜨면 된다.
1분을 넘지 않으면 심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다.
겨울에 떠도 무방하지만 가을에 뜨는 것이 효과는 크다.
14,000장까지 떠도 무방하다.
<전중>혈 ― 심유(心兪)혈 ― 심장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중 혈>을 뜨면 열기를 따라 염증이 배출되므로 심장의
염증이 사라지는 것이다.
※ <전중>혈 뜸으로 낫는 병
가). 대동맥 폐쇄 부전증
나). 정충, 경계(驚悸), 자체기능 저하 또는 큰 쇼크 후
다). 협심증(狹心症)
라). 심근경색
마). 심장 판막 (심장 이식이 필요한 사람까지 쾌차한다)
바). 심부전(心不全), 늘 코피 나고, 해수, 누우면 숨이 답답하다.
사). EKG[심전도(心電圖, electrocardiogram)] 상에
나타난 모든 기질적 질환
※ 예후 : 뜸을 뜨고 난 뒤 증상이 금방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1년쯤 걸려서 서서히 회복되어서 완치된다.
※ 심장의 적병(積病)인 복량(伏梁)
이에는 옻닭을 쓴다. 큰 토종 닭 한 마리에 건칠 피 반근이나
한근 반과 함께 달여서 자주 복용한다.
옻을 타는 경중(輕重)에 따라 무게를 조정하라.
옻은 조열(燥熱)한 약이지만 닭 또는 오리와
조화시킬 경우 별다른 위험은 없다.
체질에 따라 오리가 좋은 사람도 있고
닭이 좋은 사람도 있으므로 경험하여 쓰도록 하라.
1) 위와 같은 모든 심장병에는 <가미 수첩 산>을 사용한다.
※ <가미 수첩 산> :
초과· 현호색· 오령지· 몰약· 연자 각 2돈,
황기· 적복령 각 1돈, 황금· 차전자· 인삼· 맥문동(거심)·
지골피· 황련·원 감초 각 7푼
이 <수첩산>은 심장의 구종심통(九種心痛)과 심비통(心脾痛)에 선약이다.
하루에 1첩을 달여 2회에 나누어 아침, 저녁 공복으로 복용하라.
2) 심화(心火)
[ AB형 남자, 입이 쓰고 심장이 약하다.]
처방 : <집오리>에 <건칠 피>를 넣어서 달여 먹어라.
※ 옻오르는 사람이라도 조금씩 자꾸 먹으면 괜찮아 진다.
오리에 넣어 고으면 옻이 중화되므로 설령 옻이 오르더라도
치명적이 아니니 겁내지 말고 복용하라.
단 옻을 복용 중에 수혈(輸血)을 받으면 즉사(卽死)하니 주의하라.
3) 심 자통(心刺痛)
[ B형 11세 남아, 심장을 찌르는 듯이 아프다]
※ 이것은 심 기운(心氣運)이 폐색(廢塞)되는 협심증(脇心症)이다.
협심증(狹心症)과는 다르다.
<가미 수첩 산>을 복용해도 낫고 <전중>혈을 매일 100장씩
열흘쯤 떠도 낫는다. <전중>혈의 뜸은 반드시 1분미만
짜리를 떠야한다.
4) 심 비대(心 肥大)
[ 40세 남자, 심장이 너무 비대하여 거동 불능의 상태.
부증(浮症)이 있고 숨이 가빠서 걷기 힘들고 수척해 있다]
처방 : 공통 약,
백개자(초)· 행인(초)· 별갑(초)· 차전자(초)· 맥아(초) 각 3.5근,
구기자·오미자 각 2근, 유근피 4.5근, 석위초·생강·대추·감초 각 1근
※ 심장 판막이 부으면 협심증이 오는데 우황과, 사향이 좋은 약이다.
※ 토종 자두는 심장에 좋다. 판막이 부은 것을 내린다.
소변이 잘 나오며 간이 부은 것도 내린다.
5) 심화(心火)
[ O형 여자, 전신 성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 성 신경통도 있다.]
처방 : 공통 약,
익모초 5근, 우슬·강활· 원 방풍·속단·맥아(초)·공사인(초) 각 3.5근,
독활·건강(초흑)·목과·원 감초·석고 각 2근, 신곡(초) 1.5근,
생강·대추 각 1근
※ 오리가 마늘의 신미(辛味)와 건강의 신미(辛味) 2종의
신미(辛味)와 중화하면서 그 약성이 합해져
창약(瘡藥)이면서 거악생신한다.
※ 익모초는 생혈(生血)하므로 5근을 쓰는 것이다.
6) 심화(心火)
B형과 AB형은 <가미 수첩산>을 써라.
※ 심장병 이외에 다른 장부의 병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한 약을 가감하여 처방한다.
예) 공통 약, 익모초 4.5근, 생강, 대추, 원감초 각 3.5근
7) 화증(火症)
[ B형 68세 여자, 상기(上氣), 분기(憤氣)를 참으면서 참선한다고 함]
처방 : 공통 약,
백개자(초)·행인(초)·맥아(초)·백하수오·적하수오 각 3.5근, 호황련 1.5근,
연실 1.5근, 신곡(초) 2근, 산조인(초.흑) 2근, 생강·대추·원 감초 각 1근
<박 원장>잔소리
오늘 아침 오랫동안 심장병으로 고생하는
후배 목사님의 전화를 받고 안타까운 심정으로
내가 알고 있는 한방 처방을 공개합니다.
병은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고
병 치료의 시기를 놓치지 마시고
처음부터 종합병원으로 가셔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셔야합니다.
겨울철 특히 심장병을 조심하십시오.
위의 내용은 한방 처방이니
참조만 하십시오.
<오늘의 묵상>
<전도서>3장1절~10절
1절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2절 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은 것을 뽑을 때가 있으며
3절 죽일 때가 있고 치료할 때가 있으며
헐 때가 있고 세울 때가 있으며
4절 울 때가 있고 웃을 때가 있으며
슬퍼할 때가 있고 춤출 때가 있으며
5절 돌을 던져 버릴 때가 있고 돌을 거둘 때가 있으며
안을 때가 있고 안는 일을 멀리 할 때가 있으며
6절 찾을 때가 있고 잃을 때가 있으며
지킬 때가 있고 버릴 때가 있으며
7절 찢을 때가 있고 꿰맬 때가 있으며
잠잠할 때가 있고 말할 때가 있으며
8절 사랑할 때가 있고 미워할 때가 있으며
전쟁할 때가 있고 평화할 때가 있느니라.
9절 일하는 자가 그의 수고로 말미암아
무슨 이익이 있으랴
10절 하나님이 인생들에게 노고를 주사
애쓰게 하신 것을 내가 보았노라<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