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ee box Role
1) 연습 스윙 때 티 위에 있는 볼이 떨어진다면?
1타로 간주하는 스윙은 플레이할 의사가 있었는지 없었는지가 중요하다.
플레이할 의사가 없는 연습 스윙 중 볼이 티에서 떨어진 경우는 벌타 없이 다시 볼을 티에 올려놓을 수 있다.
2) 티 샷 때 지켜야 할 룰은?
티잉 구역 양쪽에 놓인 티 마커를 기준으로 티 샷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정해져 있다.
티 샷이 가능한 공간은 티 샷을 할 때는 티잉 구역 양쪽에 놓인 티 마커를 직선으로 연결한 가상의 라인, 그 직후방으로 두 클럽 길이 이내의 공간에서만 해야 한다. 이를 위반하면 2벌타를 받고 볼을 다시 놓아야 한다.
3) . 티잉항 골을 끝까지 사용해야 하나?
골프의 기본 원칙은 티잉 구역에서 플레이를 시작한 볼을 홀아웃 할 때까지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티잉 구역에서 샷 한 볼이 분실되는 경우에는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다.
3) 플레이 중에 티 샷 연습이 가능한가?
불가능하다. 일단 플레이를 시작하면 어떠한 연습 샷도 할 수 없다.
플레이 시작 이후 연습 샷을 하면 매치 플레이에서는 그 홀의 패배,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2벌타가 부과된다.
4) 티의 위치 이동은 가능한가?
티는 샷을 하기 전까지는 옮겨도 상관없다. 다만 정해진 티잉 구역 내에서 티 마커 선상과 간격을 벗어나지 않는 공간에서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
5) 네 명이 한 번에 티에 올라오는 것보다 한 사람씩 올라와서 티를 꽂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라운드가 잔디가 망가지지 않도록 한 명씩 올라와야 합니다.
6) 티샷에 방해를 줄 수 있기에 샷을 하는 골퍼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2. 골프공 마킹 또는 본인 볼 표시하기
플레이어의 수만큼 골프공이 필드에 올라옵니다. 같은 골프공을 사용할 경우에는 헷갈리기 쉬우므로 다른 번호가 새겨진 골프공을 사용하는 것이 골프공 규칙 첫 번째입니다.
3. 다른 플레이어의 골프공 터치하지 않기
기본 중 기본인 다른 플레이어의 골프공 터치하지 않기는 다양한 이유로 쉽게 어겨지는 골프공 규칙입니다.
다른 플레이어의 골프공과 헷갈려서 샷을 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페널티를 받고, 원래 골프공이 놓여있던 자리에 놓아야 합니다.
4. 약속하지 않고 골프공 손으로 만지기
진흙밭을 구른 골프공은 넘버가 보이지 않을 경우가 있을 때는 약속하고 볼 자리를 마킹한 후, 볼을 닦고 식별한 후 그 자리에 놓아야 합니다.
또 풀숲이나 나뭇잎 사이로 들어갔을 때는 골프공을 들어 올리는 것이 아닌 스트로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만 치우고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볼 찾는 시간
OB, 해저드에 빠져 볼이 분실될 경우에는 3분 동안 찾을 수 있는 기회가 있고, 3분 동안 못 찾았다면 새로운 로비저널볼로 다음 샷을 칠 수 있습니다.
6. 그린 위에서 남의 공을 잘못 건드렸을 때
양쪽 공이 그린 위에 있고, 한쪽 플레이어가 남의 공을 잘못 건드렸을 때는 잘못한 쪽에 2페널티가 붙는다. 건드려진 사람의 공은 원위치에 다시 놓는다. 플레이를 진행하던 사람의 공이 멈춘 곳부터 플레이를 계속해 나간다.
7. 공이 몸에 맞았을 때
만약 친 공이 앞에 있는 나무에 맞고 되돌아와 플레이어의 몸에 맞으면 2페널티를 빼앗기게 된다. 다음 플레이는 공이 멈춘 곳부터 계속해 나간다. 자신이 맞은 때만이 아니라, 자신의 캐디나 가진 물건에 맞았을 때도 페널티가 붙는다. 매치 플레이(각 홀마다 승부를 가리는데, 타수가 적은 쪽을 그 홀의 승자로 하고, 한 홀의 경기가 끝날 때만 승패수를 계산)를 하고 있었다면 그 홀은 진다.
8. 공처리에 자신이 없을 때
플레이를 하다 보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겨 처리가 곤란할 때가 있다. 그럴 때는 공을 두 개 쳐서 나가는 방법이 있다. 가령 공이 구멍 속으로 좀 파고 들었을 경우, 그 구멍이 두더지 구멍 같아 보이지만 선뜻 판정하기 곤란하다. 진짜 두더지 구멍이라면 공에 접근하지 않고 이전 상태를 피할 수 있는 장소에 페널티 없이 드롭할 수 있다. 그러나 섣불리 접촉하면 페널티가 된다든지 불리한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럴 때는 인 플레이의 공을 그대로 쳐서 나가는 동시에 또 1개의 공을 드롭해서 쳐 나간다. 단, 공을 두 개 칠 수 있는 것은 스트로크 플레이에 한한다. 플레이가 끝난 후에 만일 경기 위원이 두더지 구멍이라고 판정하면 드롭한 볼이 살게 된다.
9. 위기의 순간에는 예비구를 친다
아무래도 OB 기미가 있다든지, 로스트 볼이 될 것 같을 때는 미리 예비구를 치는 것이 좋다. 예비구를 치면 플레이가 스피드해지고, 플레이어 본인도 일부러 원위치에 돌아오는 절차가 생략되니 이 습관은 꼭 붙이는 것이 좋다. 예비구를 칠 때는 상대에게 그 뜻을 알려야 한다.
10. 공이 물에 떨어졌을 때
연못이나 개울에 공이 떨어졌을 때 처리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워터 해저드의 후방에서 공이 경계선을 최후로 넘는 점과 홀을 잇는 직선 상에 드롭한다. 그 직선 상이라면 드롭하는 장소는 워터 해저드로부터 얼마간 뒤라도 무방하다. 공을 플레이한 원위치로 돌아와서 친다. 어떤 경우든 1페널티를 가산하여 쳐 나간다.
11. 공이 다른 곳에 맞았을 때
만약 공이 크게 굽어 이웃 홀 캐디 카드에 맞았다고 하자. 이런 때는 공이 튀어 돌아와 이쪽의 페어웨이로 되돌아오면 그대로 제2타를 치면 된다.
12. 실수로 남의 공을 쳤을 때
실수로 남의 공을 치면 어떻게 될까? 그 홀의 플레이를 마친 뒤에 오구라는 것을 깨달았다면 다시 원위치에서 친다. 2타의 페널티를 받는다. 이때 오구의 타수는 스트로크에 가산하지 않는다. 매치 플레이에서는 남의 공을 실수로 치면 그 홀은 진다.
13. 자기 공인지 남의 공인지 모를 때
가끔 어떤 공이 자기 공인지 구별되지 않을 때가 있다. 러프 속에 들어갔거나 공이 흙투성이가 되었을 때 등이 그렇다. 이럴 때는 자신의 공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주워 올려도 되고 공을 닦아도 된다. 그러나 그 장소에 다른 플레이어가 입회해야 한다. 또 공을 닦더라도 자기 공을 분별하는 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동작만 허용된다.
14. 공이 없어졌을 때
룰로 정해진 5분 안에 공을 찾지 못하면 로스트 볼이 된다. 이때도 OB와 마찬가지로 1페널티를 물고, 공을 친 원위치에 돌아와서 친다. 나무 위에 걸렸다 해도 공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면 로스트 볼로 칠 수밖에 없다. 또 공이 발견되기 전이면 플레이어는 그것을 분실한 것으로 포기할 수 있다. 처음부터 좀처럼 찾기 힘들 것 같으면 아예 찾지 않고 로스트 볼로 처리할 수도 있다.
15. 흠이 있는 공을 바꿀 때
공에 흠이 생기거나 금이 크게 나서 사용하기 어려울 때는 그 흠이 현재 플레이하는 홀에서 생긴 것이라면 다른 공과 바꿀 수 있다. 또한 이때는 다른 플레이어가 꼭 입회해야 한다. 다른 홀에서 흠이 난 공을 계속 사용할 때는 바꾸지 못한다.
16. 5분 이내에 공을 찾는다
공을 찾는 시간은 5분 이내이다. 5분이 지나도 찾지 못할 때는 로스트 볼이 된다. 만약 찾기 시작한 때로부터 2분 후에 공을 찾았지만, 그것이 자신의 공이 아닐 때는 찾을 수 있는 시간은 나머지 3분뿐이다.
17. 일단 친 공에는 손을 대지 않는다
코스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지만 원칙적으로 일단 친 공은 인 플레이의 상태가 되고, 규칙에 따른 허용이 있지 않는 한 손을 대면 안 된다. 그대로의 상태에서 나가야 한다. 이를 위반하면 2페널티가 붙는다. 매치 플레이에서는 그 홀은 진다.
18. 클럽과 관련된 룰사용 클럽은 14대까지
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클럽의 개수는 14대이다. 15대로 플레이할 때는 위반 행위가 된다. 스트로크 플레이에서 위반했을 때는 2페널티가 붙는다. 그러나 라운드 중 4타 이상의 페널티는 붙지 않는다. 매치 플레이에서는 그 홀은 진다. 단 1라운드에 2홀 이상의 페널티가 붙지는 않는다. 만약 10개의 클럽으로 스타트했다면 14대까지는 보충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플레이를 부당하게 지연시켜서는 안 된다.
19. 타인의 클럽을 빌릴 수 없다
남의 클럽을 빌리는 것은 위반이다. 이를 어기면 플레이어에게 2페널티가 붙는다. 그러나 캐디가 실수로 타인의 클럽을 그 플레이어에게 넘겨주어 모르고 쳤을 때는 페널티가 없다.
20. 사용 클럽을 묻지도, 가르쳐 주지도 마라
“지금 몇 번 클럽으로 쳤어요?”라는 질문은 위반이다. 남에게 어드바이스를 주거나 받으면 안 된다. 자신의 캐디에게 묻든지, 파트너에게 묻든지, 그렇지 않으면 자기 자신이 사용하는 클럽을 정하고 나가야 한다. 또 상대가 회사의 상사라고 해서 양산을 받아준다든가 하는 것도 물리적인 원조로 간주되어 위반이다. 사용 클럽을 물어본 플레이어, 또 거기에 응답한 사람, 상대 플레이어가 들어준 양산 밑에서 플레이를 한 사람에게 각각 2페널티가 붙는다.
21. 벙커에서의 룰벙커에서는 조약돌이나 낙엽을 주울 수 없다
벙커에서는 조약돌이나 나뭇가지, 새똥 또는 낙엽이 플레이하는 데 방해가 되어도 제거하면 안 된다. 제거하면 2페널티를 받는다. 이러한 것들을 골프 용어로는 ‘루즈 임페디멘트(Loose impediment)’라고 한다. 해저드 이외의 곳, 가령 페어웨이 등에서 루즈 임페디멘트를 제거하는 것은 무방하다.
22. 공을 치기 전에 벙커의 발자국을 고르지 마라
벙커에서 공을 치기 전에 발자국을 고르면 2페널티가 붙는다. 매치 플레이에서는 그 홀은 진다. 물론 벙커에서 볼을 꺼낸 뒤에는 발자국을 말끔히 골라 놓아야 한다.
23. 벙커에서 남의 공을 치면
벙커에서 남의 공을 실수로 치고 다시 자기의 공을 쳐도 페널티가 붙지 않는다. 실수로 친 남의 공은 원위치로 돌려 친다.
24.그린에서의 룰그린의 면을 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그린 위에서 손으로 공을 굴리거나 그린 면을 비비거나 쥐어뜯는 행동은 모두 금지이다. 그린 위 테스트로 간주되어 2페널티가 붙는다. 단 선 위가 아닌 공의 후방에 손을 짚는 정도는 무방하다. 그렇지만 의심받을 만한 행동은 삼가는 것이 좋다.
25. 그린 위에서 공을 닦아도 된다
그린 위에서는 오른손으로 공을 들어 올려 닦아도 된다. 닦은 공은 있던 자리에서 다시 친다.
26. 티 업할 때의 룰티 업할 수 있는 범위
티 그라운드에서는 티 업할 수 있는 장소가 명확히 정해져 있다. 두 개의 티 마크를 잇는 선을 전방의 한 변으로 삼고, 안쪽의 깊이는 두 개의 클럽 길이로 한다. 그 밖의 장소에서 티 업할 때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올바른 장소에서 다시 쳐야 한다. 다시 치는 것은 제2타째가 된다. 매치 플레이에서는 상대의 플레이어로부터 다시 치기를 요구받으면 때 따라야 한다. 따른 뒤에는 벌타가 없다.
27. 티 업한 공이 떨어졌을 때
티 업한 공이 떨어졌을 때 그 공은 아직 인 플레이의 상태는 아니므로 다시 티 업해도 된다. 물론 페널티는 붙지 않는다. 떨어진 공을 그대로 칠 수도 있지만 다시 공을 놓는 게 허용되는데 굳이 불리한 조건에서 플레이할 이유는 없다.
28. 그 밖에 알아 두어야 할 룰플레이 중에 연습으로 샷해서는 안 된다
일단 그 홀을 시작하면 어떤 연습도 해서는 안 된다. 가령 연습장으로부터 뛰어 들어온 공을 무심코 샷하면 연습 스트로크로 간주되어 매치 플레이에서는 그 홀을 지고,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2페널티가 붙는다. 그러나 홀 아웃 직후의 그린 상에서 연습하는 것은 무방하다.
29. 아무리 해도 칠 수 없는 상태일 때
공이 나무뿌리에 깊이 박혔다든지 주변 상황으로 인해서 그대로 공을 치는 것이 불가능하면, 플레이어는 “이것은 칠 수 없다.” 하며 플레이 불능 선언을 하고, 언 플레이 볼로 칠 수 있다.
이때의 처치는 세 가지이다.
1). 다시 원위치로 돌아와서 친다.
2). 홀에 접근하지 않고 클럽 두 대 길이 이내에서 드롭한다.
3). 홀과 그 공을 잇는 선에서 공이 있던 전 위치의 후방이면 어느 장소든 드롭할 수 있다.
단, 벙커 내에서 언 플레어 볼로 했을 때는 원위치에 돌아와서 치든지 반드시 벙커 내에 드롭해야 한다. 페널티는 어느 쪽이나 1번 스트로크다.
30. OB했을 때
OB 선에 볼을 넣으면 그것이 티 샷인 때는 다음의 샷은 제3타째가 된다. 반드시 공을 친 원위치로, 아니면 그 위치에서 가까운 장소에서 쳐 나가야 한다. 흔히 원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OB했다고 생각되는 장소에서 치는 사람이 있는데 그럴 경우 실격이다.
31. 치는 차례를 틀리지 않게
스코어가 좋은 순서로 치는 것이 원칙이다. 만일 그 순서를 어겼다면 매치 플레이에서는 상대의 요구가 있을 때만 페널티 없이 다시 친다.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그대로 플레이를 계속해 나간다. 즉 그 공은 인 플레이의 상태가 되어 버린다. 벌타는 없지만 필수적인 에티켓이니 꼭 지켜야 한다.
32. 그린에서 공을 바꾸어 퍼팅 가능한가?
온그린 되어서 마크 하셨다고해도 원구를 회수해서 닦고 다시 그 볼을 쓰셔야 합니다.
공을 바꾸는행위는 공이 패널티밖으로 나갔을때 다시 새로운공으로 플레이하시는 용도입니다
33. 모자를 꼭 써야 하는가?
규정에는 없으므로 써지 않아도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