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현무두(玄武豆)
양요자(羊腰子) 50개(個) 구기(枸杞) 2근(斤) 보골지(補骨脂) 1근(斤) 대회향(大茴香) 6량(兩) 소회향(小茴香) 6량(兩) 육종용(肉蓯蓉) 12량(兩)(대변(大便)이 활(滑)하면 거(去)하느니라.) 청염(靑鹽) 8량(兩)(만약 종용(蓯蓉)이 없으면 이를 12량(兩)으로 하여야 하느니라.) 대흑두(大黑豆) 1두(斗)(원(圓)하고 깨끗한(淨) 것을 가려내고(:淘) 깨끗하게(:淨) 세(洗)하느니라.)
첨수(甛水) 2두(斗)를 사과(砂鍋: 사기 그릇)에 부어 앞의 약(藥) 7미(味)를 자(煮)하고 반(半) 정도 건(乾)하면 약(藥)의 찌꺼기(:渣)는 거(去)하고 흑두(黑豆)를 넣고 균화(勻火)로 자(煮)하니 건(乾)하는 정도까지 하느니라. 만약 남은 즙(汁)이 있으면 모두 마땅히 섞어서(:拌) 내(內)에 삼(滲)하게 하고 꺼내고 신포(新布)에 펴고(:攤) 양쇄(晾晒: 햇볕에 쬐다)하여 건(乾)하게 하고 자병(磁甁: 사기로 된 항아리)에 수저(收貯)하느니라. 날로 복용하면 그 효(效)가 무궁(無窮)하느니라. 만약 사과(砂鍋)가 없으면 곧 철과(鐵鍋)도 가(可)하느니라.
만약 양허(陽虛)하면 제부자(製附子) 1~2량(兩)을 가하니, 더 묘(妙)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