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천면(康川面)
여주고을 땅이름 / 강천면(1)
서쪽에 남한강을 끼고 마을들 형성
강천면 / 간매리 걸은리 이호리 가야리 적금리 굴암리 강천리 부평리 도전리
강천면(康川面)은 여주시 1읍, 8면의 하나이다.
본래 강원도 원주군의 지역으로서, 강천면이라 하여 마감(馬甘), 걸촌(傑村), 기은(耆隱), 가야(伽倻), 적금(赤今), 굴암(窟岩), 강천(康川), 대둔지(垈屯之), 탑전(塔前), 전거론(全巨論), 원심(遠深), 도성(道城), 간매(看梅), 가정(稼亭), 이호(梨湖)의 15개 동리를 관할하였는데, 고종 32년(1895)지방 관제 개정에 의하여 여주군에 편입되었다.
이어서 1914년 4월 군면 폐합에 따라 가정리를 북내면에 넘겨주는 동시에, 원주군 부론면(富論面)의 칠리(七里) 일부를 병합하여 걸은, 가야, 적금, 굴암, 강천, 대둔, 부평, 도전, 간매의 10개 리로 개편 관할해 왔다.
동쪽은 원주시 문막읍과 부론면, 남쪽은 점동면, 서쪽은 충남 논산 논산읍화지동과 북내면, 북쪽은 양동면에 닿아 있다.
강원도 원주 땅에서 여주로 넘어온 마을들
강천면의 중심지는 간매리(看梅里)이다.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뚜갈봉 밑이 되므로 갈매 또는 간매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에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간매리라 한다.
설경주[설공주]가 간매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강천면 사무소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당고개(堂―)가 설경주 동쪽에 있는데, 당집이 있어서 나온 이름이라고 한다. 설경주 북서쪽에는 솟대가 박혀 있던 솟대배기 마을이 있다. 소따배기라고도 하는데 그 북쪽에 새로 생긴 모다뻘은 6.25 한국전쟁 뒤 군용 모터풀(주차장)이 있었다. 양짓말과 음짓말이 설경주 근처에 있다. 주막거리는 설경주 남쪽에 있는 마을로 주막이 있었다.
간매리 바로 동쪽 부평리(釜坪里)는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인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운무실, 와평동, 부도, 모도막골, 당골, 성주골을 병합하여 부도와 와평의 이름을 따서 부평리라 하였다.
부평리 이름의 바탕이 된 가마골은 기왓가마가 있어 이 이름이 나왔다고 하나 단순히 ‘큰 마을’의 뜻으로 보인다.
그 남쪽에 왜뻘[왜뽈,와평동]이 있다. 왜뻘은 본래 ‘욋벌’이었을 것인데, ‘외따로 떨어져 있는 벌’의 뜻으로 보인다. 땅이름에서 ‘외’는 대개 외진 곳이나 외따로 있는 지역의 뜻을 갖는다.
왜뻘 서쪽에 당집이 있었다는 당골이 있고, 그 남쪽에는 모도막골(모도막동)이 있다.
‘큰’의 뿌리를 둔 ‘감’이 ‘가마’가 되고
모도막골 남동쪽에 지형이 가마솥처럼 생겼다고 하는 가마섬이 있다. 지명에는 가마골, 가마뫼, 가마내, 가마산 등 ‘가마’가 들어간 것이 많은데, 대개 ‘가마솥’과 연관지어 말하지만 우리말 ‘감’에 뿌리를 둔 ‘가마’이므로 이는 대개 ‘큰’의 뜻을 갖는다.
운무실 북쪽에 있는 성주골(聖主-)[성주동]은 성주봉 밑이 되어 붙은 이름이다.
부평리에서 으뜸되는 마을은 운무실[운무동.雲霧洞]인데, 그 이름처럼 구름과 안개가 많이 낀다고 한다.
이호리(梨湖里)는 강천면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동리로 남한강 가에 있다. 이 지역은 간매천과 검은천(거믄내)이 합류하는 지점이다.
앞의 남한강에 이포대교가 놓여 있다. 이포나루가 여기 있었는데, 우리말로는 배개나루라고 하였다.
2022년 7월 17일
여주고을 땅이름 / 강천면(2)
봉바위는 부엉바위의 준말
강천면 / 간매리 걸은리 이호리 가야리 적금리 굴암리 강천리 부평리 도전리
이호리도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마을 앞에 배처럼 생긴 바위가 있고, 그 앞에 한강이 흐르므로 배미 또는 이암, 이호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이문동, 거문동을 병합하여 이호리라 하였다. .
거무낭골은 검은안골이 변해 된 이름
배미 남동쪽에 있는 마을은 거무낭골[거문동]이다.
가문(검은)+안+골 > 거문앙골 > 거무낭골
이로 보아 거무낭골은 ’거문내가 있는 그 안쪽의 마을‘의 뜻이 아닌가 여겨진다.
아랫말, 양달말, 웃말, 음달말 이문안[이문동] 등의 마을이 있었다. 개골 서쪽에 있는 마을이 고로동(古老洞)인데 고노골이라고도 한다.
봉바우[붕암]는 봉바위가 있는 마을이다. 회사거리 북쪽에 있는 봉바위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봉바위‘는 ’부엉바위‘의 준말로 보인다. 한자로는 붕암동(鵬岩洞)으로 쓴다.
부라우나루가 서쪽 남한강 가에 있는데, 한자로는 단현도선(丹峴渡船)이다., 삼문절이[삼문절], 양짓말[양촌], 양촌(陽村), 오감[오감동], 음짓말[음촌], 점말(店)[점촌], 회사거리 등의 마을이 근처에 있다.
남쪽으로 적금리(赤今里)가 있다.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적그미 또는 적금동이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촌을 병합하여 적금리라 하였다.
적금이 외에 관방골, 새터말[신대촌], 여방 등의 이름이 주위에 있다.,
다시 더 남쪽으로 가면 굴암리(窟庵里)가 있다.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굴바위가 있으므로 굴바위 또는 굴암이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적금리 일부를 병합하여 굴암리라 하였다.
양지말, 음지말 등이 있다.
굴암리의 굴바위 서쪽에 있는 남한강의 흔바위나루는 점동면 흔암리 흰바위로 건너가는 나루였다.
강천리(康川里)는 강천면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동리이다.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개울물이 땅속으로 스며 흘러서 늘 건천이 되므로 간천 또는 강천이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에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새말, 다리골, 풀무골을 병합하여 강천리라 하였다.
강천리에는 감사바우가 있는데 조선 때 강원 감사가 원주 감영으로 갈 때 이 바위에서 쉬었다 한다. 강천리 새말에서 둔터골로 넘어가는 남이고개는 남이 장군이 진을 치고 연습했다 한다. 다리골 북쪽에 있는 둔터골(屯―)은 남이 장군이 둔을 쳤다 한다.
노루골, 다드미, 다락골, 다리골[다락골, 교동], 등의 마을이 있다.
본말(本―)[평촌], 상동(上洞), 새말[상평촌], 서울나들이[경진], 쉬는터, 중간말(中間―), 풀무골 등의 마을이 있다.
이호리 동쪽의 걸은리(傑隱里)도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인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감리, 걸촌, 기은리를 병합하여 걸촌과 기은의 이름을 따서 걸은리라 한 곳이다.
여기에는 걸구쟁이[걸촌동,귀정동], 걸촌동(傑村洞), 곱새기[호색동], 기은골(진골), 말개미[마감동], 묘촌말, 아랫말, 안말, 양달말, 음달말, 작은곱새기, 곱새기 등 많은 마을들이 있다., 기은골은 긴골이라고도 하는데 이름 그대로 골짜기가 길어 나온 이름이다. 이 골짜기를 지나 산등성이를 넘어가면 북내면의 지내리이다.
걸운리 북쪽의 도전리(道全里)도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인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탑전리, 전거론리, 원심리, 도성리를 병합하여 도촌과 전거론의 이름을 따서 도전리라 한 곳이다.
뒷대[됫대, 도성동], 새말, 새텃말, 샛담, 아랫말, 옻나무따불, 원심이[원심동], 전거른[전거원동], 중벌[중평동], 탑선이[탑전이, 탑전동], 툇골[토역동, 토동] 등의 마을들이 있다.
둔지라는 이름은 산-언덕과 관련된 이름
대둔리(垈屯里)는 여주시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마을로 강원도 원주시와의 경계에 있다.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옛날에 군사가 주둔하였으므로 터둔지 또 대둔지라 하였다 하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주군 부론면의 칠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둔리라 하였다.
터둔지나 대둔지에서 우리가 살펴야 할 것은 ’둔지‘이다. 둔지 또는 둔지미라는 이름은 전국에 무척 많은데, 대개 군개 주둔했다거나 둔전이 있어서 나온 이름이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른 경우가 많으며 연구를 잘 해 보면 이 이름은 ’산‘이나 ’둔덕‘ 또는 ’산언덕‘과 관계된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둔지 또는 둔지미(둔지산)이라는 이름이 붙은 산들을 보면 대개 외따로 떨어져 있거나 산줄기가 이어져 오다가 불쑥 머리를 솟군 산들임을 알 수 있다. ’산‘의 옛말이 ’둠‘인데, 이 ’둠‘은 한자로 대개 ’둔‘으로 취해지며 이것이 산이름으로 들어가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
--------------------------------
강천면(康川面) 【면】
경기도여주군
여주군 1읍, 8면의 하나. 본래 강원도 원주군의 지역으로서, 강천면이라 하여 마감(馬甘), 걸촌(傑村), 기은(耆隱), 가야(伽倻), 적금(赤今), 굴암(窟岩), 강천(康川), 대둔지(垈屯之), 탑전(塔前), 전거론(全巨論), 원심(遠深), 도성(道城), 간매(看梅), 가정(稼亭), 이호(梨湖)의 15개 동리를 관할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지방 관제 개정에 의하여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4월 1일 군면 폐합에 따라 가정리를 북내면에 넘겨주는 동시에, 원주군 부론면(富論面)의 칠리(七里) 일부를 병합하여 걸은, 가야, 적금, 굴암, 강천, 대둔, 부평, 도전, 간매의 10개 리로 개편 관할함. 동쪽은 원성군 문막면과 부론면, 남쪽은 점동면, 서쪽은 충남논산!논산읍!화지동과 북내면, 북쪽은 양동면에 닿음.
가야리(伽倻里) [개골, 갯골, 개곡, 가야동] 【리】
강천면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남한강(경기도 산천) 가가 되므로 개골, 갯골 또는 개곡, 가야동이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오감, 점말, 봉바위, 삼문절이, 고로동을 병합하여 가야리라 함.
가야동(伽倻洞) 【마을】강천면 가야리 → 가야리.
개곡(開谷) 【마을】강천면 가야리 → 가야리.
개골 【마을】강천면 가야리 → 가야리.
갯골 【마을】강천면 가야리 → 가야리.
고노골 [고로동] 【마을】강천면 가야리 개골 서쪽에 있는 마을.
고로동(古老洞) 【마을】강천면 가야리 → 고노골.
단현도선(丹峴渡船) 【나루】강천면 가야리 → 부라우나루.
봉바우 [붕암동] 【마을】강천면 가야리 봉바위가 있는 마을.
부라우나루 [단현도선] 【나루】강천면 가야리 봉바우 서쪽 한강(경기도 산천)에 있는 나루터. 충남논산!논산읍!화지동 단리 부라우로 건너감.
붕암동(鵬岩洞) 【마을】강천면 가야리 → 봉바위.
삼문절(三門―) 【마을】강천면 가야리 → 삼문절이.
삼문절이 [삼문절] 【마을】강천면 가야리 양짓말 남쪽에 있는 마을.
양짓말 [양촌] 【마을】강천면 가야리 개골 양지쪽에 있는 마을.
양촌(陽村) 【마을】강천면 가야리 → 양짓말.
오감 [오감동] 【마을】강천면 가야리 점말 동쪽에 있는 마을. 오 영감이 살았다 함.
오감동(五甘洞) 【마을】강천면 가야리 → 오감.
음짓말 [음촌] 【마을】강천면 가야리 개골 음지쪽에 있는 마을.
음촌(陰村) 【마을】강천면 가야리 → 음짓말.
점말(店―) [점촌] 【마을】강천면 가야리 회사거리 북쪽에 있는 마을. 옹기점이 있었음.
점촌(店村) 【마을】강천면 가야리 → 점말.
회사거리 【마을】강천면 가야리 개골 북쪽에 있는 마을. 양조 회사가 있었음.
간매리(看梅里) [갈매, 간매] 【리】
강천면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뚜갈봉(경기도 여주군 산천) 밑이 되므로 갈매 또는 간매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에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간매리라 함.
간매(看梅) 【마을】강천면 간매리 → 간매리.
갈매 【마을】강천면 간매리 → 간매리.
당고개(堂―) 【고개】강천면 간매리 설경주 동쪽에 있는 고개. 당집이 있었음.
모다뻘 【마을】강천면 간매리 소따배기 북쪽에 새로 생긴 마을. 6.25 뒤 군용 모터풀(주차장)이 있었음.
설경주 [설공주] 【마을】강천면 간매리 간매리에서 가장 큰 마을. 강천면 소재지로서 학교, 경찰 지서, 우체국 들이 음.
설공주 【마을】강천면 간매리 → 설경주.
솟대배기 【마을】강천면 간매리 설경주 서북쪽에 있는 마을. 솟대가 박혀 있었음.
양짓말 【마을】강천면 간매리 설경주 양지쪽에 있는 마을.
음짓말 【마을】강천면 간매리 설경주 응달쪽에 있는 마을.
주막거리(酒幕―) 【마을】강천면 간매리 설경주 남쪽에 있는 마을. 주막이 있었음.
강천리(康川里) [간천, 강천] 【리】
강천면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개울물이 땅속으로 스며 흘러서 늘 건천이 되므로 간천 또는 강천이라 하였는데, 고종32년(1895)에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새말, 다리골, 풀무골이 병합하여 강천리라 함.
간천(간乾川) 【마을】강천면 강천리 → 강천리.
감사바우 【바위】강천면 강천리 강천리에 있는 바위. 조선 때 강원 감사가 원주 감영으로 갈 때 이 바위에서쉬었다 함.
강천(康川) 【마을】강천면 강천리 → 강천리.
강천나루(康川―) 【나루】강천면 강천리 강천에 있는 나루. 상동 앞이 됨.
경진(京進) 【마을】강천면 강천리 → 서울나들이.
교동(橋洞) 【마을】강천면 강천리 → 다리골.
남이고개 【고개】강천면 강천리 새말에서 둔터골로 넘어가는 고개. 남 이 장군이 진을 치고 연습했다 함.
노루골 【마을】강천면 강천리 강천리에 있는 마을.
다드미 【마을】강천면 강천리 강천리에 있는 마을.
다락골 【마을】강천면 강천리 → 다리골.
다리골 [다락골, 교동] 【마을】강천면 강천리 풀무골 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두리고개 【고개】강천면 강천리 강천에서 다리골로 넘어가는 고개.
둔터골(屯―) 【마을】강천면 강천리 다리골 북쪽에 있는 마을 남 이 장군이 둔을 쳤다 함.
본말(本―) [평촌] 【마을】강천면 강천리 강천의 본 마을. 앞에 벌판이 있음.
상동(上洞) 【마을】강천면 강천리 중동 동쪽에 있는 마을.
상평촌(上坪村) 【마을】강천면 강천리 → 새말.
새말 [상평촌] 【마을】강천면 강천리 평촌 위쪽에 새로 된 마을.
서울나들이2 【나루】강천면 강천리 본말 남쪽에 있는 남한강의 나루터. 서울로 통함.
서울나들이1 [경진] 【마을】강천면 강천리 서울나들이 옆에 있는 마을.
쉬는터 【마을】강천면 강천리 강천리에 있는 마을. 전에 배를 타고 한강을 올라가다가 쉬는 터가 되었다 .
중간말(中間―) 【마을】강천면 강천리 새말과 본말 중간에 있는 마을.
중동(中洞) 【마을】강천면 강천리 본말과 상동 중간에 있는 마을.
평촌(坪村) 【마을】강천면 강천리 → 본말.
풀무골 【마을】강천면 강천리 강천 동쪽에 있는 마을. 풀뭇간(대장간)이 있었다 함.
걸은리(傑隱里) 【리】
강천면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인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마감리, 걸촌, 기은리를 병합하여 걸촌과 기은의 이름을 따서 걸은리라 함.
걸구쟁이 [걸촌동,귀정동] 【마을】강천면 걸은리 걸은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 원씨의 정자가 있었다 함.
걸촌동(傑村洞) 【마을】강천면 걸은리 → 걸구쟁이.
곱새기 [호색동] 【마을】강천면 걸은리 걸구쟁이 동남쪽에 있는 마을.
귀정동(歸亭洞) 【마을】강천면 걸은리 → 걸구쟁이.
기은골(耆隱―) 【마을】강천면 걸은리 → 진골.
마감동(馬甘洞) 【마을】강천면 걸은리 → 말개미.
말개미 [마감동] 【마을】강천면 걸은리 걸구쟁이 북동쪽에 있는 마을. 마감산 밑이 됨.
묘촌말 【마을】강천면 걸은리 안말 남쪽에 있는 마을.
아랫말1【마을】강천면 걸은리 진말 아래쪽에 있는 마을.
아랫말2【마을】강천면 걸은리 말개미 아래쪽에 있는 마을.
안말 【마을】강천면 걸은리 말개미 안쪽에 있는 마을.
양달말 【마을】강천면 걸은리 양다래 어귀에 있는 마을.
음달말 【마을】강천면 걸은리 걸구쟁이 북쪽에 있는 응달진 마을.
작은곱새기 【마을】강천면 걸은리 곱새기의 작은 마을.
장곡동 【마을】강천면 걸은리 → 진골.
진골 [기은골, 장곡동] 【마을】강천면 걸은리 말개미 북서쪽 긴 골짜기에 있는 마을.
집너머 【마을】강천면 걸은리 안말 너머쪽에 있는 마을.
호색동(虎索洞) 【마을】강천면 걸은리 → 곱새기.
굴암리(窟庵里) [굴바위, 굴암] 【리】
강천면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굴바위가 있으므로 굴바위 또는 굴암이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적금리 일부를 병합하여 굴암리라 함.
굴바위1【마을】강천면 굴암리 → 굴암리.
굴암(窟庵) 【마을】강천면 굴암리 → 굴암리.
양지말 【마을】강천면 굴암리 굴바위 양지쪽에 있는 마을.
음지말 【마을】강천면 굴암리 굴바위 음지쪽에 있는 마을.
흔바위나루 【나루】강천면 굴암리 굴바위 서쪽에 있는 남한강의 나루터. 점동면 흔암리 흰바위로 건너감.
대둔리(垈屯里) [터둔지, 대둔지] 【리】강천면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옛날에 군사가 주둔하였으므로 터둔지 또 대둔지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원주군 부론면의 칠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둔리라 함.
대둔지(垈屯地) 【마을】강천면 대둔리 → 대둔리.
터둔지 【마을】강천면 대둔리 → 대둔리.
도전리(道全里) 【리】강천면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인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탑전리, 전거론리, 원심리, 도성리를 병합하여 도촌과 전거론의 이름을 따서 도전리라 함.
관모산1(冠帽山) 【마을】강천면 도전리 관모산 밑에 있는 마을.
도성동(道城洞) 【마을】강천면 도전리 → 뒷대.
됫대 【마을】강천면 도전리 → 뒷대.
뒷대 [됫대, 도성동] 【마을】강천면 도전리 도전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 강천면의 맨 뒤가 됨.
새말 【마을】강천면 도전리 원심이 옆에 새로 된 마을.
새텃말 【마을】강천면 도전리 전거른 남서쪽에 새로 된 마을.
샛담 【마을】강천면 도전리 원심이와 전거른 새에 있는 마을.
아랫말 【마을】강천면 도전리 전거른의 아래쪽 마을.
옻나무따불 【마을】강천면 도전리 아랫말 남쪽에 있는 마을. 옻나무가 있었음.
원심동(遠深洞) 【마을】강천면 도전리 → 원심이.
원심이 [원심동] 【마을】강천면 도전리 중벌 동남쪽에 있는 마을. 원집이 있었음.
전거른 [전거원동] 【마을】강천면 도전리 원심이 남쪽에 있는 마을.
전거원동(全巨院洞) 【마을】강천면 도전리 → 전거른.
중벌 [중평동] 【마을】강천면 도전리 뒷대 남동쪽에 있는 마을.
중평동(中平洞) 【마을】강천면 도전리 → 중벌.
탑선이 [탑전이, 탑전동] 【마을】강천면 도전리 원심이 동쪽에 있는 마을. 탑이 서 있었음.
탑전동(塔前洞) 【마을】강천면 도전리 → 탑선이.
탑전이(塔前―) 【마을】강천면 도전리 → 탑선이.
토동(兎洞) 【마을】강천면 도전리 → 툇골.
토역동(土役洞) 【마을】강천면 도전리 → 툇골.
툇골 [토역동, 토동] 【마을】강천면 도전리 전거른 동남쪽에 있는 마을.
부평리(釜坪里) 【리】
강천면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인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운무실, 와평동, 부도, 모도막골, 당골, 성주골을 병합하여 부도와 와평의 이름을 따서 부평리라 함.
가마섬 [부도] 【마을】강천면 부평리 모도막골 남동쪽에 있는 마을. 지형이 가마솥처럼 생겼음.
당골 【마을】강천면 부평리 왜뻘 서쪽에 있는 마을. 당집이 있었음.
모도막골 [모도막동] 【마을】강천면 부평리 왜뻘 남쪽에 있는 마을.
모도막동(毛刀幕洞) 【마을】강천면 부평리 → 모도막골.
부도(釜島) 【마을】강천면 부평리 → 가마섬.
성주골(聖主―) [성주동] 【마을】강천면 부평리 운무실 북쪽에 있는 마을. 성주봉(경기도 여주군 산천) 밑이 됨.
성주동(聖主洞) 【마을】강천면 부평리 → 성주골.
와평동(瓦坪洞) 【마을】강천면 부평리 → 왜뻘.
왜뻘 [왜뽈, 와평동] 【마을】강천면 부평리 가마골 남쪽에 있는 마을. 기왓가마가 있었음.
왜뽈 【마을】강천면 부평리 → 왜뻘.
운무동(雲霧洞) 【마을】강천면 부평리 → 운무실.
운무실 [운무동] 【마을】강천면 부평리 부평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구름과 안개가 많이 낌.
입봉1(笠峯) 【마을】강천면 부평리 → 삿갓봉1.
이호리(梨湖里) [배미, 이암, 이호] 【리】
강천면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마을 앞에 배처럼 생긴 바위가 있고, 그 에 한강이 흐르므로 배미 또는 이암, 이호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이문동, 거문동을 병합하여 이호리라 함.
거무낭골 [거문동] 【마을】강천면 이호리 배미 동남쪽에 있는 마을.
거문동(巨門洞) 【마을】강천면 이호리 → 거무낭골.
배미 【마을】강천면 이호리 → 이호리.
배미나루 【나루】강천면 이호리 배미 앞에 있는 남한강의 나루터.
새나루 【나루】강천면 이호리 배미 서북쪽에 있는 나루터.
아랫말 【마을】강천면 이호리 배미의 아래쪽 마을.
양달말 【마을】강천면 이호리 거무낭골 양지바른 곳에 있는 마을.
웃말 【마을】강천면 이호리 배미의 위쪽 마을.
음달말 【마을】강천면 이호리 거무낭골 응달쪽에 있는 마을.
이문동(里門洞) 【마을】강천면 이호리 → 이문안.
이문안 [이문동] 【마을】강천면 이호리 배미 동쪽에 있는 마을. 이문이 있었음.
이암(梨岩) 【마을】강천면 이호리 → 이호리.
이호(梨湖) 【마을】강천면 이호리 → 이호리.
적금리(赤今里) [적그미, 적금동] 【리】
강천면
본래 강원도 원주군 강천면의 지역으로서, 적그미 또는 적금동이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여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촌을 병합하여 적금리라 함.
관방골 【마을】강천면 적금리 적금리에 있는 마을.
새터말 [신대촌] 【마을】강천면 적금리 적그미 남쪽에 새로 된 마을.
신대촌(新垈村) 【마을】강천면 적금리 → 새터말.
여방 【마을】강천면 적금리 적금리에 있는 마을.
적그미 【마을】강천면 적금리 → 적금리.
적금동(赤金洞) 【마을】강천면 적금리 → 적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