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平山申氏 思簡公 諱 浩 幹察
평산신씨사간공 휘 호 간찰
*사간공 휘 호(浩)는 始祖公 휘 崇謙(918년)의 15世孫으로 본관은 평산(平山)이요, 어사공 휘 군평(君平)의 손자요, 한림겸 직학사를 역임한 휘 혼(琿)의 3남중 장남으로 그의 字는 선오(善吾), 諡號가 사간(思簡)으로 고려 말기의 문신이요 학자이며,여말선초의 사람이라 하겠다,
*신숭겸장군의 동상

*신호(申浩)는 생몰의 기록은 없고 다만 고려때에 관직에 올라 공양왕때 승추원지신사로 왕명의 출납을 맡아 보았다,
이성계 일파에 고려가 다 하는 1392년4월 이방원이 [하여가]로 포은선생 정몽주를 회유책으로 설득하나 정선생(鄭夢周)은 역성혁명을 완강하게 반대하며 [단심가]로 일축하니 이방원은 그날 즉시 선죽교에서 격살하여 버리고,곧 바로 (공양왕4,)1392년7월 공양왕이 이성계에게 선위(禪位) 할때 옥쇄를 차마 직접 줄 수가 없다하여 지신사인 申浩에게 임의(任意)로 처리 하라고 하니,
그는 울면서 말하기를,"臣이 목숨을 바칠 지언정 어찌 옥쇄를 뺃으려는 者에게 바치리까,? 하고 옥쇄를 부둥켜 안고 있으니,이성계가 위엄을 떨치며 주변 신하에게 命하여 힘으로 빼앗으려 하자 역부족이라, 그는 옥쇄를 땅에 던져서 내려치니 옥쇄는 부수어져서 그 일작(一炸)이 조각났다,
이를 보던 공양왕은" 과연 그대는 참다운 고려의 臣下로다, 라고 했으며,,, 이성계 역시 지켜보고 있다가 그를 보며, 진실로 고려의 충신이다, 하였다, 한다.
[장절공의 마상도]

그는 고려를 양위 하자 벼슬을 버리고 집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성계는 조선개국 초에 그를 불러 전리사판서에 임명했으나,그는 고려의 신하라 하고 불사(不仕)의 뜻을 밝히고 고향인 평산으로 낙향하려하였다,
이에 조선태조는 치서(致書)를 내려 내가 한양으로 가려하니 옛 친구의 정으로 잠시 강가에서 상면(相面)했으면 한다는 내용을 전했다,
그리하여 그는 평복으로 갈아입고 배를 타고 강가에서 기다리니 이성계가 탄 배가 나타났다,이어 그와 손목을 잡고 예(禮)로써 대하여 옛정을 나누어 국사에 대한 정담은 언급하지 않고,詩를 읆고 술을 권하며 바둑으로 지내다가 이별하며, 그가 이태조에게 말하기를," 그대는 어젯날에 이시중(李侍中)이요,오늘날은 새 나라의 국왕이고, 나는 어젯날의 신지신(申知申)이요,오늘날은 이 나라의 臣下이니 다시금 무슨 할 말이 있겠는가? 또한 平山은 고려조에서 봉해준 성관향(姓貫鄕)이라 퇴거(退居)하여 옛 뜻을 잊지않고 지키며 항상 자손을 계(戒)로써 훈육하며 생을 마칠까 하오" 라고 그가 말하며 낙향할 뜻을 굽히지 않으니 그를 보내 주었다,
그는 고향에서 후학을 가르키며,자손들에게 과거에 나가지말고 좋은 벼슬을 취하지 말라고 교훈 하였다고 전한다,
훗날 부음을 들은 태조가 특별히 그를 호조판서에 추증하고 사간이란 시호를 증시하였다,
그의 무덤은 경기도 연천 미산 유촌리에 안장되었고, 그후 그의 신도비가 건립되어있다,

*평산신씨 분파도,,,
시조 장절공 삼능산(三能山), 918년에 신숭겸(申崇謙) 1世
;
2世 휘 보장(甫藏) 관은 원윤(元尹)
;
3世 휘 홍상(弘尙) 官은 개국공(開國公)
;
4世 휘 성(晟) 官 元尹
;
5世 휘 경(勁) 관,副使
;
6世 諱 유비(兪毗) 관,承旨
;
7世 휘 명부(命夫) 관,녹사(錄事)
;
8世 휘 응시(應時) 관 전서(典書)
;
9世 휘 명재(命材) 관, 도관(都官)
;
10世 휘 고(槁) 관,랑중(郞中)
;.......................................................................................
11世 휘 연(衍) 관,조봉랑(朝奉郞) ;11世 휘 헌주(憲周)관,상호군
;............................................... ; ;
12世 휘 중명(仲明) 관,좌대언 ; 12世 휘 욱(昱) 관, 정국공 파원군
; 12世 휘 자명(自明) 관,춘천부사 ;
13世 휘 집(輯) 관, 전리판서 13世 휘 중전(仲全) 관,안산백 13世 휘 현(玹) 군수
13世 휘 군평(君平) 어사공 13世 휘 중해(仲諧) 검교 13世 휘 정(玎) 현령
13世 휘 현(賢) 국자진선
13世 휘 치(치) 대제학
..............................................................................................................................................
종가집
13世 휘 집..................14世 휘 익지(翼之)이부상서 .............15世 휘 아(雅)[밀직공파]
;.................14世 휘 이(이)판전농시 ........15世 휘 정도(丁道)[봉상윤공파]
; ;.....15世 諱 정리(丁理) [장렬공파]
;................14世 휘 안(晏)종부시령......15世 휘 감(鑑)[현령공파]
;.....15世 휘 개(개)[문희공파]
;....15世 휘 효(曉)[정언공파]
;.....15世 휘 건(虔)[저작랑공파]
둘째집
13世 휘 군평.............14世 휘 규(珪)참판 ...........15世 휘 하(夏)[한성윤공파]
;............14世 휘 혼(琿)한림 ...........15世 휘 호(浩)[사간공파]
; ;.........15世 휘 연(演)[대제학공파]
; ;..........15世 휘 기(淇)[온수감공파]
;...........14世 휘 전(전) 사참 .............15世 휘 효창(孝昌)[제정공파]
;...........14世 휘 우(王禹)유수(留守)...15世 휘 호(灝)[전서공파]
;...........14世 휘 순(珣)소윤 .............15世 휘 인기(仁琦)[이상공파]
셋째집
13世 휘 현................14世 휘 용의(用義)사부상서 .......15世 휘 득청(得淸)[판사공파]
넷째집
13世 휘 치(치)대제학,,,무후(無后)
.............................................................................................................................................
12世 휘 자명 ....13世 휘 중전...14世 휘 윤공(允恭)전의판서 ..15세 휘 소(紹)현감공(무후)無后
; ; ;..15世 휘 유(維)[진사공파]
; ; ;..15世 휘 강(綱)[감찰공파]
; ;..14世 휘 윤안(允安)상장군 .....15世 휘 시견(時見)[판윤공파]
;..13세 휘 중해.....14世 휘 국(國)사정 ................15世 휘 도지(道之)[참판공파]
........................................................................................................................................
12세 휘 헌주...13世 휘 욱......14世 휘 현.........15世 휘 우방(佑邦)[군수공파]
;.....14世 휘 정 ........15세 휘 우국(佑國)군수,무후(無后)
=======================================================================================
*평산신씨 21파 중 무자(無子)로 3파가 무후(無后)로 현재 19파가 현존함,,,
[장절공신선생실기]에서
첫댓글 소중한 글 잘 읽었고
이 글은 원보가 타이핑 한거요?
예,,,알고있는 지식이 부족하니 죄송할 따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