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이괘(履卦)]
“현재의 본분대로 간다.[素履]”고 할 때의 본분[素]에 대해서 “빈천의 본분대로다.[貧賤之素]”라는 것과 “소박한 본분대로다.[潔素]”라는 것과 “순박한 본분대로다.[質素]”라는 것과 “평소의 본분대로다.[雅素]”라는 것이 있다. 그런데 ‘소박하다’고 할 때의 본분은 과연 ‘순박하다’고 할 때의 본분과 다르며, ‘평소이다’라고 할 때의 본분은 또 ‘소박하다’고 할 때의 본분과 다른 것인가? ‘소박하다’나 ‘순박하다’나 ‘평소이다’라는 뜻 외에 “빈천의 본분대로다.”라고 하는 뜻이 별도로 있는 것인가? 주자의 이른바 “사물에 끌려서 옮겨 가지 않는다.”고 한 것은 과연 종합해서 말한 것인가?
[신복이 대답하였다.]
“흰 띠풀을 깔개로 쓴다.[藉用白茅]”고 한 것은 소박함을 숭상하는 것이고, “희게 꾸미면 허물이 없다.[白賁无咎]”고 한 것은 순박함을 취한 것이니, 본분을 뜻하는 소(素)의 덕은 지극한 것입니다. 이괘(履卦) 초구(初九)의 군자(君子)는 양으로서 강한 체질을 타고났는데 낮은 자리에 있으면서 본분대로 가는 것을 편하게 여기며 여유로움을 가졌으니, 그 행동으로 말하면 소박한 본분이고, 그 가는 것으로 말하면 순박한 본분이고, 그 지위로 말하면 평소의 본분입니다. 그러니 그 소박한 본분이라는 것은 그 몸가짐의 깨끗함을 취한 것이고, 순박한 본분이라는 것은 그 질박하여 꾸밈이 없는 것을 취한 것이고, 평소의 본분이라는 것은 만나는 형편에 따라 편안하게 여기는 뜻을 취한 것입니다. 그런데 소박한 본분이라 하고 순박한 본분이라고 할 때의 본분이라고 한 소(素)는 그 뜻이 거의 가까우나, 평소의 본분이라 할 때의 소의 뜻은 《중용(中庸)》의 “현재 처한 위치이다.[素位]”라고 할 때의 소와 같으니, 두 소 자에 비해 차이가 없을 수 없습니다. 요컨대 세 소 자는 “빈천(貧賤)의 본분이다.”라는 뜻에서 벗어나지 않는데, 그 뜻은 《정전(程傳)》에 갖추어져 있습니다. 말린 밥과 채식으로 생활한 것은 순(舜)임금이 본분대로 살아간 것이고, 거친 밥과 단사표음(簞食瓢飮)으로 생활한 것은 공자(孔子)와 안자(顔子)가 본분대로 살아간 것입니다. 주불(朱紱)이 와도 그 본분을 변하지 않는 것과 황이(黃耳)의 길(吉)함이라도 그 본분을 바꾸지 않는 것과 주자의 “사물에 끌려서 옮겨 가지 않는다.”고 풀이한 것은 바로 “현재 본분대로 간다.”고 할 때의 본분[素]과 같은 것이나, 세 본분[素]의 뜻도 모두 그 속에 들어 있습니다. 그러나 주자도 이괘(履卦)의 초구(初九)에 의해 말했을 따름입니다. “군자는 현재 처한 위치대로 행동한다.”고 하였으니, 어찌 빈천의 본분대로 사는 것을 편하게 여기는 것뿐이겠습니까. 반드시 “본래 부자였으면 부자로 행세하고, 본래 어려운 형편이면 어려운 형편대로 행세한다.”고 한 것처럼 해야 그 의의가 갖추어질 것입니다.
호랑이 꼬리를 밟는 것은 똑같은데 사람을 물기도 하고 사람을 물지 않기도 하는 이유는 진실로 밟는 그 자체가 같지 않기 때문이다. 선대 학자들은 “입 안에 물건이 들어 있어 다물고 있는 것은 사람을 물지 않는 상(象)이고, 입 안이 비어서 벌리고 있는 것은 사람을 무는 상이다.”라고 하였는데, 어떤 것이 물건이 들어 있는 것이고 어떤 것이 비어 있는 것이며, 어떤 것이 다문 채 있는 것이고 어떤 것이 벌린 채 있는 것인가?
[이곤수가 대답하였다.]
이괘(履卦)의 성격은 화열(和說)한 자로서 강한 건(乾)을 만나 지극히 어렵고 위험한 처지에 놓인 꼴이니, 그 위태로움으로 말하면 호랑이를 맨손으로 잡고 황하를 맨몸으로 건너야 하는 격입니다. 그러나 진실로 그 평소의 본분대로 가면서 아랫사람은 윗사람에게 순응하고 음은 양의 뜻을 받들면 비록 매우 위태로운 데 처하였다 하더라도 상해를 당하지는 않을 것이니, 그것이 괘사(卦辭)에서 “사람을 깨물지 않는다.”고 단정한 까닭입니다. 만약 괘상(卦象)으로 말하면 이괘는 태(兌)가 하괘(下卦)가 되고 태는 입[口]의 상이 되는데, 두 양효는 아래에 있고 한 음효가 위에 있으며 음이 양 자리에 있으니, 이는 자질은 약하면서 뜻만 강한 것으로서 육삼(六三)의 한 효가 바로 그 결함에 해당합니다. 선대 학자가 “입 안에 물건이 들었다.”고 한 것과 “입을 다물었다.”고 한 것과 “입 안이 비었다.”고 한 것과 “입을 벌렸다.”고 한 말로써 사람을 물고 물지 않는 차이를 밝힌 것은 대개 괘상에서 취한 것입니다. 그러니 초구의 “현재의 본분대로 간다.”고 한 것과 구이의 “가는 길이다.[履道]”라고 한 것은 즉 입 안에 물건이 든 것과 입을 다문 것이고, 육삼의 “애꾸눈이 보는 정도이고 절름발로 가는 격이다.”라고 한 것은 즉 입 안이 비었고 입을 벌린 것입니다. 밟고 가는 바의 처지로 말하면 편안함과 위태로움의 같지 않음이 이러하고, 만나는 바의 상(象)으로 말하면 강함과 유함의 같지 않음이 이러하니, 괘사나 효사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마 괴이하게 여기실 것이 없을 듯합니다.
이상은 이괘(履卦)이다.
< 출전 한국고전번역원 >
[履]
素履之素。有曰貧賤之素也。曰潔素也。曰質素也。曰雅素也。潔素之素。果異於質素之素。雅素之素。又異於潔素之素。而潔素質素雅素之外。別有所謂貧賤之素也歟。朱子所謂不爲物遷者。果統言之耶。馥對。藉用白茅。貴其尙潔。白賁无咎。取其能質。則素之爲德也至矣。履初之君子。以陽剛之才。處卑下之位。而能安履其素。卓乎有裕。語其行則潔素也。語其履則質素也。語其位則雅素也。然則其曰潔素者。取其行己之潔。其曰質素者。取其質而無文。其曰雅素者。取其安於所遇。而潔素質素之素。其意差相近。至於雅素之素。與中庸素位之素同。 比之兩素字。不能無別矣。而要之三素字。不出乎貧賤之素之外。此則程傳備矣。飯糗茹草。大舜之素也。疏食簞瓢。孔顔之素也。朱紱之來。不足以變其素。黃耳之吉。不足以易其素。朱子不爲物遷之訓。正說得素履之素。而三素字皆在其中矣。然而朱子亦據履之初而言耳。君子之素位而行。豈特安於貧賤之素而已哉。必如素富行富素患行患。然後其義方備矣。履虎尾一也。或咥人或不咥人者。是固由於所履之不同。而先儒以爲口實而合。有不咥之象。口虛而開。
有咥人之象。何如爲實而何如爲虛。何者爲合而何者爲開歟。崑秀對。履之爲卦。以和說而遇乾剛。至艱至險。語其危則暴虎而馮河也。然苟能安履其素。下順乎上。陰承乎陽。則雖所處之甚危。而不至於傷害。此卦辭所以斷之以不咥人者也。若夫以卦象言之則履得兌爲下卦。而兌有口之象。槩二陽在下。一陰居上。以陰居陽。才弱志剛。而六三一爻。正當其缺。先儒之以實合虛開。明 咥人不咥人之殊者。槩取乎卦象也。然則初九之素履。九二之履道。卽實 也合也。六三之眇視跛履。卽虛也開也。以所履之地而言則安危之不同如此。以所遇之象而言則剛柔之不濟又如此。卦辭爻辭之逕庭。恐無足恠矣。以上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