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4장
民不畏死, 奈何以死懼之. 若使民常畏死, 而爲奇者, 吾得執而殺之, 孰敢. 常有司殺者殺. 夫代司殺者殺, 是謂代大匠斲. 夫代大匠斲, 希有不傷手矣.
백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찌 죽임으로써, 백성을 두렵게 하겠는가? 이른바, 백성으로 하여금, 늘 그러하게 죽음을 두려워하게 하는, 옳지 못한 바를 일삼는 사람, 내가 붙잡아, 그를 죽여야 하겠지만, 어찌 (내가) 감히 (그렇게 하겠는가)? (이른바) 늘 그러하게 가지는 바가 있어야 한다. 법령이 죽이는 바를. 이른바, 법령을 대신해 죽이는 일, 이것은 이른바 뛰어난 장인을 대신해 나무를 깎는 일이다. 이른바, 뛰어난 장인을 대신해 나무를 깎는 사람, 손을 다치지 않는 바를 가지는 바가 드물다.
此, 承上章, 而言, 專欲人, 省刑去殺也.
이 장은 앞 (제73)장(의 내용을) 잇는데, 따라서 일컫는다. “(임금은) 오롯하게 하고, 일삼고자 해야 한다. 백성이 (저절로 그러하게) 형벌을 살피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죽는 바를 떠나가게 되는 바를.”
刑之, 所以能禁民爲非者, 以民之, 畏之也. 刑繁, 則民, 不勝避. 民, 不勝避, 則罹於刑者, 日益多. 民, 知其, 不可不勝避也. 則將激而與爭. 民, 見其, 日益多也. 則將玩而無畏.
형벌이 백성이 (옳은 것이) 아닌 바를 일삼는 것을 막기를 잘하게 되는 까닭은 이른바 백성이 형벌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벌이 (일부러 일삼아) 많아지게 되면, 백성이 (저절로 그러하게 형벌을) 피하는 바를 다하지 못하게 된다. 〔백성이 저절로 그러하게 형벌을 피하는 바를 다하지 못한다는 말은 백성이 저절로 그러하게 형벌에 얽매이게 된다는 뜻이다〕 백성이 (형벌을 저절로 그러하게) 피하는 바를 다하지 못하게 되면, (그러한) 형벌에 대해 근심하는 백성이 날마다 많아지는 바를 더하게 된다. (따라서) 백성이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알아차리게 된다. (그) 기어이 (형벌을) 피하는 바를 다하는 바를. 따라서 장차 (백성이) 부딪쳐 흐르는 물결이 되게 되고, 더불어 (그 기어이 형벌을 피하는 바를 다하는 바를) 다투게 된다. (따라서) 백성이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살피게 된다. (그 기어이 형벌을 벗어나는 바를 다하는 바를 더불어 다투는 바가) 날마다 많아지는 바를 더하게 되는 바를. 따라서 장차 (백성이 형벌을) 얕보게 되고, (형벌을) 두려워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홍석주의 주석 중 “불가불不可不”은 ‘일부러 일삼아’와 뜻이 비슷한 듯하다〕
人之, 所以畏虎而避之者, 以其, 罕見也. 使虎, 如鷄犬之日與, 人, 狎也. 則雖日噉萬人, 人, 亦復不避矣. 是以嬴氏之季, 赭衣, 滿路, 而犯法者, 不止.
사람들이 호랑이를 두려워하고, 호랑이를 피하는 까닭은 호랑이가 드물게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 보이기 때문이다. 만약, 호랑이가 마치 닭과 개가 날마다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 보이는 바를) 더불어 하듯이 하게 되면, 사람들은 (호랑이를) 깔보게 될 것이다. 따라서 (호랑이가) 비록 날마다 많은 사람을 잡아먹더라도, 사람들은 이른바 다시는 (호랑이를) 피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진시황秦始皇이 천하를 다스리던 시기, (붉은 옷을 입은) 죄인罪人이 길거리를 가득 채웠지만, 법령을 어기는 백성이 그치지 않았다.
民, 不畏死, 而不可懼也.
(따라서 이른바) 백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따라서 (형벌로 죽이는 바로써, 백성을) 두렵게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古之聖王, 厚民之生, 安民之居. 常使之, 有樂生重死之心.
(아주 먼) 옛날의 성인과 임금은 (저절로 그러하게 가지는 바가 있는) 백성의 재화를 친밀하게 여겼고, (저절로 그러하게 가지는 바가 있는) 백성의 거처를 편안하게 여겼다. (따라서) 백성은 늘 그러하게 (저절로 그러한) 삶을 즐겁게 여기고, (일부러 일삼은) 죽음을 무겁게 여기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其, 於刑也. 則不得已而後用之. 不得已而用之, 則刑, 簡. 刑簡, 則民, 易避. 易避也, 故民, 益稀見于刑. 稀見于刑, 而其, 畏之也. 亦益甚矣.
(아주 먼) 옛날의 성인과 임금도 이른바 형벌을 집행했다. (그러나 그들은) 따라서 (형벌의 집행이) 부득이하게 된 이후에, 형벌을 일삼았다. (아주 먼 옛날의 성인과 임금은 형벌의 집행이) 부득이하게 된 이후에, 형벌을 집행했는데, 따라서 형벌(의 집행)이 대쪽같이 곧아지게 되었다. 형벌(의 집행)이 대쪽같이 곧아지게 되었는데, 따라서 백성이 (형벌을) 쉽게 피하게 되었다. 〔백성이 형벌을 쉽게 피하게 되었다는 말은 다음 문단의 의미를 감안할 때, 백성이 형벌을 받게 되는 죄罪를 쉽게 피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백성이 형벌을) 쉽게 피하게 되었는데, 따라서 백성이 (그 기어이) 형벌을 (피하는 바를 다하는 바를 더불어 다투는 바를) 살피는 바를 드물게 하는 바를 (날마다) 더하게 되었다. (백성이 그 기어이) 형벌을 (피하는 바를 다하는 바를 더불어 다투는 바를) 살피는 바를 드물게 하게 되었는데, 따라서 백성이 형벌을 두려워하게 되었다. (백성이 형벌을 두려워하게 되었는데) 따라서 (백성이 형벌을 두려워하는 바가) 더해지는 바가 (날마다) 심해지게 되었다.
民, 有畏刑之心. 而其, 殺之也. 又當罪, 則孰敢不競競焉, 唯罪之避哉.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백성은 형벌을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있었다. 따라서 성인과 임금은 (형벌로써) 백성을 죽이게 되었다. 따라서 이른바 (성인과 임금이 형벌로써) 죄罪를 묻게 되면, (백성의) 누구도 감히 (형벌로써 죄罪를 묻는 성인이나 임금과 더불어) 싸우거나 다투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마침내) 죄罪가 (백성을) 피하게 되었다!
奇, 邪也. 司殺者, 法也.
기奇는 옳지 못한 바를 뜻한다. 사살자司殺者는 법령을 뜻한다.
法, 當殺之, 而吾, 且爲之求生, 必不可. 奈何. 而後, 殺者, 非我也. 法, 殺之也. 法, 不當殺, 而我, 有意於殺之, 則是, 我, 代法殺之也. 代大匠斲, 而傷手. 以喩代法殺人, 而傷, 及於其身也.
(예를 들어) 법령은 그를 죽이는 것을 마땅하게 여기는데, 나는 그가 삶을 구하게 되는 바를 일삼는 것을 마땅하게 여기는 일은 반드시 하면 안 될 일이다. 어째서 그런가? 이른바, (“백성으로 하여금, 늘 그러하게 죽음을 두려워하게 하는, 그러한 옳지 못한 바를 일삼은”) 다음, (그를) 죽이는 바가 나이면 안 되기 때문이다. 법령이 그를 죽이는 바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법령은 (그를) 죽이는 바를 마땅하게 여기지 않는데, 나는 그를 죽이는 것에 대해 마음을 가지는 바가 있다면, 그것은 내가 법령을 대신해 그를 죽이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뛰어난 장인을 대신해 (나무를) 깎으면, 손을 다치게 된다. 이른바, 비유컨대, 법령을 대신해 사람을 죽이게 되면, 다치게 되는 바가 그 (자신의) 몸에 이르게 된다.
爲天下, 而不免於殺人者, 唯兵與刑, 故老氏, 特於是二者, 拳拳焉. 謂其書, 非仁術, 吾, 不信也.
천하를 일삼지만, (일부러 일삼아) 사람을 죽이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임금은 (천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오로지 군대를 일삼고, 형벌을 더불어 한다. 따라서 노자는 특히 (군대로써 일부러 일삼아 사람을 죽이는 일과 형벌로써 일부러 일삼아 사람을 죽이는 일) 이 두 가지에 대해 간절했다. (임금이 떠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따라서) “그(의 이) 책은 (임금으로 하여금, 그 두 가지를 떠나가게 하는 데) 씨앗이나 방법이 되지 못한다”라고 일컫는 바, 나는 믿지 않는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
평안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