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자료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기본 data : 각 학교에서 3월에 발표한 2021학년도 합격자 정량 평균 자료를 바탕으로 합니다.
- 추가 data : 제가 각 학교에 추가적으로 정보공개 요청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보강하였습니다.
(계속 추가정보를 요청하고 있으므로, data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5.12. 수정] 고려대 : LEET 평균 추정치 계산 오류가 있어 정정함
[5.25. 수정] 전북대/충북대 : 원점수 기준 정보공개청구 결과 반영
- 점수 기준
: 각 학교에서 처음부터 원점수 기준으로 발표했거나, 제가 원점수를 정보공개 요청하여 받은 학교들입니다.
강원, 건국, 경희, 동아, 서강, 성균관, 시립, 아주, 전남, 전북, 제주, 충북
: 각 학교에서 자체환산점수 기준으로 발표했고, 환산식에 따라 비교적 정확한 원점수가 계산되는 학교들입니다.
경북, 연세, 영남, 외대, 원광, 이화, 인하, 충남
: 각 학교에서 자체환산점수 기준으로 발표했고, 환산식이 복잡하거나 급간표 방식이거나 LEET 백분위 점수 등을 반영하여 정확한 원점(표준점수) 산정이 불가능하여 대략적으로 추정한 학교들입니다.
고려, 부산, 서울, 중앙, 한양
- 학점: 백분위 점수가 아니라 4.5 또는 4.3 만점 기준 평점으로 발표되거나 환산되는 학교들은
'전남대' 자체 환산 방식을 공통 적용하여 백분위로 환산했습니다.
(기준을 통일할 필요가 있어서 임의로 설정한 것입니다.)
영남, 외대, 원광, 이화, 인하, 제주, 중앙
- 전체 신입생 대상 평균 (일반전형+특별전형+지역균형전형)
강원, 건국, 경북, 경희, 고려, 동아, 서울, 성균관, 연세, 영남, 외대, 이화, 전북, 중앙, 충남, 충북, 한양
- 일반전형 신입생 대상 평균
부산, 서강, 시립, 원광, 인하, 제주
- 일반전형/지역외 신입생 대상 평균
전남
아래 그래프 이미지는 자유롭게 퍼다 나르셔도 상관 없으나
그 아래 홍보물과 함께 복제/사용되어야 합니다.
(그래프만 잘라서 사용 금지)
더 자세한 내용은 특강에서 공개됩니다.
(아래 이미지 클릭하면 특강신청 페이지로 이동)
첫댓글 선생님 혹시 그래프를 바탕으로 영남 동아도 아직까지 정성요소를 중요하게 판단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까요?
이 그래프만 봐서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정말로 지원자들의 정량이 낮아서 나타난 결과라고 해도 설명이 가능하고, 정량 외 다른 요소들을 감안하여 뽑았기에 나타난 결과라고 설명해도 가능합니다.
(대립되는 두 가설을 모두 지지하는 바, 어느 한쪽을 강화할 수 없습니다. ^^)
그래서 다른 지표들도 함께 봐야 합니다. 다른 지표들을 고려할 때, 세 학교는 정량보다는 정성 위주의 선발을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해보입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 좋은 자료 정말 감사드립니다!
해당 자료 중 연세-고려대 입시 결과 중 LEET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연세대의 경우 LEET 평균이 환산식 기준으로
143.64니까 136.2이고 (143.6=136, 143.8=137)
고려대의 경우 LEET 평균이 환산식 기준으로
언어 = 78.495 (작년 언어 21개 백분위 92.1-환산식 78.4, 언어 22개 백분위 95.3-환산식 79, 백분위 소수점 이하 버림)
추리 = 118.217 (작년 추리 31개 백분위 93.5-환산식 117.9, 추리 32개 백분위 95.6-환산식 118.5, 백분위 소수점 이하 버림)
이면 언어는 거의 21개에 근접한 것으로 봐도 되고, 추리를 31.5개로 보면 큰 무리가 없으니 둘이 합산하면
균형 기준으로 봐도 언어 21개(표준점수 57.9) + 추리 31.5개(표준점수 79.4, 31개의 78.4와 32개의 80.4의 중간지점) 하면 137.3은 나오는 것 같은데
어떠한 산식으로 연세 > 고려가 되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예리한 지적 감사드립니다. 제가 공개한 자료에서 연대/고대 평균과 관련하여 설왕설래가 많았던 모양이네요.
결론만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제 계산에 오류가 있었습니다.
복잡한 계산을 거치는 과정에서, 제가 실수를 한 것 같습니다....
@zemi쌤 본문에서도 밝혔다시피 백분위가 반영된 학교들은 애당초 정확한 표점을 산출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대략적으로 추정을 할 수 밖에 없었구요.
제가 계산한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고대 환산식을 역산하여 영역별 백분위점수를 구하되, 구간 사이 값은 비례추정
- 언어이해 환산점 78.495 : 92%가 78.4, 93%가 78.6이므로 92.48%로 추정
- 추리논증 환산점 118.217 : 94%가 118.2, 95%가 118.5이므로 94.06%로 추정
2. 영역별 백분위점수에 해당하는 표준점수를 구하되, 구간 사이 값은 비례추정
- 언어이해 백분위 92.48 : 92.1이 57.9, 95.3이 60.1이므로 58.2로 추정
- 추리논증 백분위 94.06 : 93.5가 78.4, 95.6이 80.4이므로 78.9로 추정
3. 표점합 137.1로 추정
최종 결과 137.1로 정정하겠습니다....
@zemi쌤 논란이 되고 있는 커뮤니티가 있다면 정정 부탁드립니다... 혼란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zemi쌤 아닙니다 좋은 자료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그런데 학점의 경우에 4.5만점으로 발표하는 영남대, 인하대는 추가로 환산작업을 할 필요 없고 일반적인 백분위변환기로 환산하면 정확한데요.. 영남대는 91.9, 인하대는 92.1로 수정되어야 할것같습니다~
'일반적'인 백분위환산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습니다. 백분위환산 방식은 학교마다 다 달라요. 검색해보면 나오면 백분위환산기라는 것 또한 임의로 설정한 기준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내일 특강 신청했는데 시간맞춰 가면 되는거죠?
넵. 3시부터 시작입니다. 강남캠퍼스 501호로 오시면 됩니다.
올려주신 원광 평균은 최종합격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원광 홈피 선발결과 표에는 1차 합격자들 정량이라고 표기되어있는데 그 자료를 바탕으로 하신 건지 다른 데이터도 참고하신건지 궁금합니다.(만약 올려주신 자료가 1차 합격 정량이면, 실제 최종합들은 더 높을 수 있다는 의미니깐요ㅜㅡ )
신입생 기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cafe.daum.net/lsinfo/noLL/59 참고하세요.
정말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귀한 자료 늘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혹시 2022학년도 입시 결과 데이터는 언제쯤 알 수 있는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개인적인 사정으로 2022학년도 입시 결과 분석은 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