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톨 유사 수용체(TLR)-7은 단일 가닥 리보핵산을 검출할 수 있는 엔도솜 선천성 면역 센서입니다. TLR7 매개 I형 인터페론 유도 및 기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은 항바이러스 면역 반응에 중요합니다. 또한, 변화된 TLR7 발현 수준은 다양한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염증을 조절하는 데 있어 이 수용체의 중요한 역할을 나타냅니다. 본 연구는 TLR7 발현 및 국소화의 조절과 다른 엔도솜 TLR의 조절(TLR3, 8, 9)에 초점을 맞춘다. 엔도솜 TLR 국소화는 다양한 TLR 간에 일부 구성 요소가 공유되는 엄격하게 제어되고 복잡한 프로세스입니다. 그러나 병원체 및 세포 특이적 반응의 유도를 조절하기 위해 TLR 특이적 메커니즘도 마련되어야 합니다. TLR7은 골지(Golgi)의 소포(vesicles)를 통해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에서 엔도솜(endosome)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과정에는 여러 샤페론 단백질이 필요하며, 특히 비배위된 93 상동체 B1(예쁜꼬마선충)은 최근 다른 엔도솜 TLR의 국소화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엔도솜의 산성화와 TLR7의 단백질 분해 절단은 리간드 결합에 대한 반응으로 TLR7 신호 전달에 필수적입니다. TLR7의 절단은 카텝신 및 아스파라긴 엔도펩티다아제 외에 푸린 펩티다아제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면역 세포의 항원 제시 및 세포 사멸과 관련된 단백질인 4와 같은 골수성 세포에서 발현되는 유발 수용체는 TLR7 신호전달의 증폭과 관련이 있습니다. TLR7 발현 및 트래피킹을 제어하는 이러한 분자 메커니즘과 기타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다른 엔도솜 TLR과 비교하여 TLR7 활성의 특정 제어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소개
톨 유사 수용체(TLR)는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PAMP)을 인식하는 패턴 인식 수용체의 한 종류로, 선천성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2). 이 계열에는 생쥐와 인간에서 확인된 원형질막 수용체(TLR1, TLR2, TLR4, TLR5, TLR6 및 TLR10)(2, 3), 생쥐와 사람에서도 확인된 핵산 감지 엔도솜 수용체(TLR3, TLR7, TLR8 및 TLR9) 및 쥐 특이적 엔도솜 수용체: TLR11, TLR12 및 TLR13(4–7)이 포함됩니다. TLR 계열은 선천성 면역의 매개체로 잘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과도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8–14).
엔도솜 TLR 중 TLR3는 dsRNA를, TLR9는 dsDNA를 인식합니다. 또는 TLR7과 밀접하게 관련된 TLR8은 퓨린이 풍부한 단일 가닥 리보핵산(ssRNA)에 반응하여 엔도솜에서 인식되는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15–17). 따라서, 이러한 TLR을 엔도솜에 국한시키는 것은 엔도사이토화된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핵산을 검출하기 위한 요구 사항입니다. 이러한 TLR의 엔도솜으로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는 것은 여러 단계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문헌에서는 TLR9 국소화의 조절에 더 중점을 두는 반면, TLR7 국소화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지식은 대부분 TLR9 연구에서 추론됩니다(18–20). TLR7의 엔도솜 국소화와 관련된 단계는 그림 1에 요약되어 있으며 이 리뷰에서 자세히 논의됩니다.
Figure 1
그림 1. 소포체(ER)에서 엔도솜으로 통행료 유사 수용체(TLR)-7 이동.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신호전달에 대한 반응으로 TLR7 전사는 핵인자(NF)-κB를 통해 유도됩니다. TLR7 단백질은 응급실을 나가기 전에 TLR7의 적절한 접힘을 촉진하기 위해 응급실 상주 샤페론 단백질인 gp96 및 TLR4(PRAT4A)와 관련된 단백질이 필요한 응급실에서 합성됩니다. 세포 자극(예: 이미퀴모드) 또는 감염 시, 단백질 59(LRRC59)를 함유한 류신 풍부 반복(LRR)은 TLR7의 비협조 93 상동체 B1(예쁜꼬마선충)(UNC93B1) 매개 패키징을 외피 단백질 복합체 II(COPII)로 코팅된 소포로 촉진하여 ER을 빠져나와 골지체로 전위시킵니다. 골지(Golgi)에서 유비퀴틴산 TLR7 및 HRS/ESCRT 기계UNC93B1 엔도리소좀 수송을 위해 유비퀴틴화된 TLR7을 분류합니다. 어댑터 단백질(AP)-4 및 AP-3은 골지체에서 각각 "NF-κB 엔도솜" 및 "IRF-7 엔도솜"과 같은 리소좀 관련 소기관으로 TLR7을 전달합니다. TLR7이 엔도솜에 도달하면 퓨린 프로단백질 전환효소(PC)를 포함한 프로테아제에 의한 단백질 분해 절단을 위해 엔도솜 산성화가 발생합니다. TLR7 절단은 N-말단 외영역(어두운 원)을 C-말단 외영역, 막관통 영역 및 세포질 영역에서 분리합니다. N 말단 영역은 C-말단 영역과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고 최적의 신호 전달을 위해 엔도솜에 남아 있습니다.
TLR7과 TLR8은 높은 수준의 상동성과 기능의 유사성으로 인해 문헌에서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TLR7과 비교했을 때 TLR8 국소화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은 TLR8 연구를 위한 적절한 쥐 모델 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RNA 아날로그 resiquimod(R848)는 인간 TLR7 및 TLR8 신호전달과 쥐 TLR7 신호전달을 유발하지만 쥐 TLR8은 유발하지 않습니다(15, 21). 더욱이, TLR7 국소화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많은 연구가 쥐 모델에서 수행되었으며 인간 세포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본 문헌고찰 전반에 걸쳐, 논의된 연구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쥐 모델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발표된 연구의 대부분은 TLR7 응답성을 조사하여 TLR8 특정 메커니즘에 관한 문헌에 공백을 남겼습니다. 여기에서는 TLR7 발현 및 기능 조절에 대한 심층적인 해설을 제공하고 TLR8 국소화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 하이라이트를 포함합니다.
TLR7의 표현 패턴
다양한 세포 유형 간의 TLR7 발현 분포는 차등적으로 조절됩니다. TLR7의 구성적 발현은 다른 순환 면역 세포(22–24)에 비해 인간 및 쥐 형질세포성 수지상 세포(pDC) 및 B 세포에서 우세합니다. TLR7의 낮은 수준은 간세포, 상피 세포 및 각질 세포와 같은 비 면역 세포에서도 관찰되었습니다 (25–28). TLR7과 달리 TLR8은 골수성 세포에서 더 강하게 발현되고 pDC에서는 덜 발현됩니다(22, 29). 특정 상황에서 TLR7 발현은 대식세포 및 골수성 DC와 같은 면역 세포와 간세포 및 각질형성 세포와 같은 비면역 세포를 포함하여 낮거나 검출할 수 없는 기초 TLR7 수준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유도됩니다(25, 28, 30–32). 예를 들어, 인간 대식세포의 인터페론(IFN)-γ 자극은 TLR7 mRNA 발현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TLR7 반응성을 향상시켰습니다(16). 또한 C형 간염 바이러스(HCV),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및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IAV)와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간세포, 순환 면역 세포 및 일차 대식세포에서 각각 TLR7 발현이 상향 조절됩니다(25, 30, 33). 이러한 상황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도된 사이토카인이 TLR7 발현 유도를 유발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인간 1차 대식세포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은 유형 I IFN 의존적 방식으로 TLR7 mRNA의 상향 조절을 초래합니다(33). 또한, 증강 TLR7 발현은 류마티스 관절염 및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와 같은 암 및 자가면역 질환에서 관찰됩니다(31, 34, 35). 감염이나 질병의 결과로 염증이 발생하는 동안 방출되는 다른 사이토카인과 PAMP는 구성적이고 유도적인 TLR7 발현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LR7의 발현 수준이 정상 및 병원성 조건 모두에서 비교적 잘 문서화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바이러스 감염 또는 자가면역 질환 중 TLR7 유도를 제어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분자 메커니즘이 잘 설명되지 않았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또한 구성적 TLR7 발현의 조절은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합니다. Lee et al.의 연구에서, TLR7 추정 프로모터 서열은 클로닝되고 특성화되었습니다(36). 인간 TLR7 유전자 염기서열(등록 번호: NT_011757)의 컴퓨터 분석을 통해 핵 인자(NF)-κB, C/EBPα, C/EBPβ, GR, IFN 조절 인자(IRF)-1, MIG1, NF-1, Oct-1, RAP1, RSRFC4, RxR-β, SRF, SP1 및 SRY(36)에 대한 결합 부위가 확인되었습니다. 인간 간 세포주를 모델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종양괴사인자(TNF)-α 및 인터루킨(IL)-1 치료에 의해 유도된 TLR7 발현은 NF-κB 활성화가 필요하지만 IRF-7의 활성화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6). TLR7 발현을 조절하는 신호 전달 경로에 대한 추가 연구는 면역 세포와 비면역 세포 모두, 특히 염증성 질환에서 필요합니다.
TLR7의 항바이러스 기능
ssRNA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에는 IFN 유도 유전자로 통칭되는 다양한 유전자를 유도하는 주요 항바이러스 사이토카인 계열인 TLR7 매개 유형 I IFN의 생산이 포함됩니다. 바이러스는 I형 IFN 반응을 피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회피 전략을 채택했으며, I형 IFN의 유도를 담당하는 다양한 선천성 바이러스 센서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흑색종 분화 관련 단백질 5(MDA5), 유전 및 생리학 실험실 2(LGP2), 미토콘드리아 항바이러스 신호 단백질(MAVS), IFN 유전자 자극제(STING) 및 레티노산 유도 유전자(RIG)-I가 포함됩니다(37). 바이러스 감염 중 이러한 분자의 역할은 다른 곳에서 자세히 검토되었습니다(37, 38). 이러한 센서가 종종 서로 또는 TLR7과 함께 작동하여 감염에 대응한다는 점은 흥미롭습니다. 예를 들어, TLR7 ligation은 바이러스 감염을 제거하기 위해 세포질 바이러스 RNA 감지 헬리카제인 RIG-I의 발현을 유도하여 TLR7과 RIG-I 기능을 연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9). 특히, pDC는 일반적으로 낮은 RIG-I를 발현하지만 TLR7 작용제 imiquimod로 자극하면 RIG-I가 상향 조절되므로 협력적인 RIG-I 및 TLR7 매개 바이러스 제거가 가능합니다(39).
TLR7은 바이러스 ssRNA와 결합하는 데 잘 확립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로는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VSV), IAV, HIV-1, B형 간염 바이러스 및 HCV(25, 40–43) 또는 R848, gardiquimod, loxoribine과 같은 합성 구아닌이 풍부한 RNA 서열 유사체, 그리고 가장 주목할 만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치료제인 imiquimod(15, 44, 45)가 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 또는 작용제 자극 시, ssRNA는 자가포식 또는 수용체 매개 내포작용을 통해 엔도솜으로 들어가며,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논의됩니다(46, 47). 그런 다음 Dimeric TLR7은 ssRNA와 상호 작용하여 신호 전달을 시작합니다(48, 49). TLR1-10의 신호 전달은 문헌 (1–3, 8, 50–53)에서 철저히 검토되었습니다. 모든 TLR과 유사하게, TLR7은 MyD88 독립 경로를 통해 신호를 보내는 TLR3를 제외하고, 신호 전달을 위한 골수성 분화 1차 반응 유전자 88(MyD88)과 연관되는 Toll/IL-1 수용체 도메인을 포함합니다(20, 54). 미리 형성된 이량체(55–57)로 존재하는 TLR8 및 TLR9와 달리 TLR7은 엔도솜의 리간드 결합에 따라 이합체화하여 TLR7 매개 MyD88 신호 전달을 시작합니다(58). 그 결과 IL-1 수용체 관련 키나아제(IRAK)-1/2/4 및 TNF 수용체 관련 인자-3/6(61, 64, 65)을 통한 IRF-7(60, 61) 및 IRF-5(62, 63) 활성화뿐만 아니라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 캐스케이드, NF-κB 활성화(53, 59) 및 IRF-7(60, 61) 및 IRF-5(62, 63) 활성화가 발생합니다). TLR7에 의한 인간 면역 세포의 신호 전달은 TNF-α, IL-6, IL-1β, IL-12 및 IFN-α를 포함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문서화되었습니다(61, 66–69). TLR7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특정 신호 전달 경로가 설명되었지만(53, 60, 61), TLR7이 엔도솜 구획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이 이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TLR7 엔도솜 국소화
다른 엔도솜 TLR과 마찬가지로 TLR7은 자체 게놈 정보의 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엔도솜의 리간드에만 결합하고 반응할 수 있습니다(70). TLR7은 그림 1과 같이 여러 샤페론 단백질에 의해 매개되는 복잡한 셔틀링 과정을 통해 엔도솜으로 전달됩니다. 또한, 리간드 인식을 위해 단백질 분해 절단이 발생해야 합니다(71, 72). 다른 엔도솜 TLR과 비교한 TLR7 국소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소포체(ER)에서 TLR7 출구
TLR7은 초기에 응급실에서 비활성 단백질로 생성되며 응급실을 나가기 전에 올바르게 접혀야 합니다. 두 개의 ER 상주 샤페론 단백질인 열 충격 단백질 gp96 및 TLR4와 관련된 단백질(PRAT4A)은 TLR3(그림 1)(73–75)를 제외한 다른 TLR뿐만 아니라 TLR7의 접힘에 관여합니다. 기능적 gp96이 없는 경우 대식세포 및 B 세포는 TLR7 ligation에 반응할 수 없습니다(73, 74). 또한 PRAT4A 결핍 대식세포에서 TLR7 반응성이 완전히 손상되었습니다(75). 단백질 59(LRRC59)를 포함하는 다른 ER 상주 샤페론 단백질인 류신 풍부 반복(LRR)은 인간 세포에서 TLR3 및 TLR9뿐만 아니라 TLR8 국소화를 매개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76). 동일한 연구의 다른 실험에서도 TLR8 및 TLR9 엔도솜 국소화에 LRRC59가 필요한데, 이 단백질이 없으면 TLR8 및 TLR9 신호전달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TLR8 및 TLR9 국소화는 직접 측정되지 않았습니다(76). LRRC59는 TLR7 신호에도 필요할 수 있지만 확인을 위해 이러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한편, TLR7 현지화에 대한 규정이 다른 TLR과 다르다고 추측하는 것은 흥미롭고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아래 섹션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더 많이 연구된 ER 상주 샤페론 단백질 중 하나인 uncoordinated 93 homolog B1 (Caenorhabditis elegans)(UNC93B1)은 ER에서 골지체 및 엔도솜으로 뉴클레오티드 감지 TLR을 내보내는 데 명확하게 정의된 역할을 합니다(77–81). UNC93B1는 TLR과 상호 작용하여 코팅된 소포(COPII)로 포장을 매개합니다. COPII 복합체는 보존된 외피 단백질로 구성되며 ER에서 골지체로의 전방 단백질 수송을 촉진하는 데 관여합니다. 따라서 TLR 함유 COPII 소포는 ER에서 Golgi (19, 79)로 수송하기 위해 싹을 틔웁니다. UNC93B1는 다른 샤페론 단백질과의 전달 및 상호 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ER 후 구획에서 TLR9 및 잠재적으로 TLR7의 유비퀴틴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82). 골지체에 들어가면 수송에 필요한 HRS/엔도솜 분류 복합체(HRS/ESCRT) 기계는 엔도솜 내에서 수용체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비표준 ESCRT 경로를 통해 엔도리소좀 수송을 위해 유비퀴틴화된 TLR7을 분류합니다(그림 1)(70, 82).
쥐 모델에서 UNC93B1 유전자인 Unc93b1의 다양한 돌연변이는 TLR 셔틀링에서 이 단백질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3D(또는 트리플 D) 돌연변이라고도 하는 UNC93B1 H412R 돌연변이는 TLR3, TLR7 및 TLR9의 비효율적인 처리를 유발하고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킵니다(19, 77–79, 81). 마찬가지로, 뮤린 Unc93b1의 엑손 4에서 54-아미노산 결실인 "엔도솜 TLR 반응 손실"(Letr) 돌연변이는 IAV(83)의 바이러스 부하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ER에서 손상된 TLR7 밀매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pDC, 대식세포, B 세포 및 기존 DC에서 UNC93B1의 D34A 돌연변이는 TLR7 활성화 시 사이토카인 생산을 증가시킵니다. TLR9 활성화시 사이토카인 생성은 감소하고 TLR3의 생성은 영향을받지 않았습니다 (84, 85). 종합하면, 이러한 연구는 TLR-UNC93B1 결합 능력의 조절이 특정 엔도솜 TLR 반응을 미세 조정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UNC93B1 mRNA 발현 및 단백질 수준은 쥐 대식세포의 IFN-α, -β 또는 -γ 자극에 따라 상향 조절되며(86), 이는 항바이러스 IFN 생산이 엔도솜 TLR7 국소화 및 다운스트림 신호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유형 I IFN 시그널링이 TLR7 현지화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잘 문서화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응급실에 있는 동안 TLR7은 UNC93B1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TLR9와 경쟁하며 일반적으로 TLR9가 우세합니다(84, 85, 87). 따라서 IFN에 의해 매개된 UNC93B1의 상향 조절은 TLR9에 비해 TLR7-UNC93B1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엔도솜에 대한 TLR7 트래피킹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적 메커니즘을 나타냅니다. 또한 imiquimod 및 TLR9 또는 TLR4 작용제를 사용한 자극은 쥐 골수성 세포에서 UNC93B1 의존성 TLR7 엔도솜 국소화를 유발합니다(79). 또한, 인간 배아 신장(HEK)-293 세포주의 모델링은 다른 TLR, 특히 TLR8의 자극과 세포내이입의 비특이적 유도를 통한 자극이 LRRC59의 UNC93B1 결합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76), 이는 바이러스 침입과 같은 내세포 사건이 엔도솜 TLR 국소화를 강화하여 항바이러스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엔도솜에 TLR7 포장
다른 샤페론 단백질과 비교했을 때, UNC93B1 엔도솜으로 이동하는 동안 TLR을 동반하기 위해 ER을 떠난다는 점에서 독특한 것으로 보입니다. TLR-UNC93B1 엔도솜으로의 이동에는 다른 단백질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막 단백질을 분류하는 기능을 하는 어댑터 단백질(AP) 계열(AP-1–4)이 포함됩니다(88). AP, UNC93B1 및 TLR 간의 상호 작용은 AP와 UNC93B1(19, 81) 및 TLR과 AP(19) 간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에 대한 증거와 함께 복잡한 것으로 보입니다. AP-1, AP-2, AP-3 및 AP-4에 대한 차등 요구 사항은 개별 엔도솜 TLR에 대해 제안되었습니다. 특히, AP-4는 TLR7과 결합하여 대식세포의 골지체로 수송하기 위해 COPII 소포로 분류합니다(그림 1)(19). TLR7은 골지체에서 엔도솜으로 직접 전위되며 UNC93B1과 AP-4가 함께 합니다(19). TLR7과 달리 TLR9는 먼저 골지체에서 원형질막으로 이동한 다음 AP-2 의존적 방식으로 엔도솜으로 이동합니다(19). TLR7 결찰에 대한 반응으로 유형 I IFN 유도는 특수 리소좀 관련 소기관(LRO)으로의 셔틀링을 위해 AP-3에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89). "IRF-7 엔도솜"이라고 불리는 이 LRO는 리소좀 관련 막 단백질(LAMP)-1+/LAMP2+이며 IRF7을 통해 신호를 보내 I형 IFN(89)을 생성합니다. 대조적으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은 "NF-κB 엔도솜"이라고 하는 NF-κB에 의해 신호를 보내는 소포 관련 막 단백질-3+/LAMP2-LRO의 TLR 연결 시 발생합니다(89). AP-3 결핍은 pDC에서 TLR7 매개 유형 I IFN 생산을 폐지한 반면, NF-κB 유도 사이토카인 생산은 유지되어 TLR7을 IRF-7 엔도솜으로 왕복하는 AP-3의 특정 역할을 나타냅니다(89). 흥미롭게도, Lee et al.은 UNC93B1와 AP-2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보여주었지만 AP-1, 3 또는 4는 보여주지 않았으며, TLR7과 AP-4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보여주었지만 AP-1, 2 또는 3은 보여주지 않았다(19). 이는 TLR7이 AP-3와 함께 IRF-7 엔도솜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분류 단백질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TLR7에서 NF-κB 엔도솜을 표적으로 삼기 위한 요구 사항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연구의 초점이 될 것입니다.
TLR7 분열
엔도솜에 대한 핵산 감지 TLR의 제한과 활성화를 위한 절단에 대한 의존성은 모두 자체 DNA/RNA의 인식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90, 91). 모든 엔도솜 TLR과 마찬가지로 리간드에 결합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얻기 전에 TLR7은 단백질 분해로 절단되어야 합니다(92). 일반적으로 엔도솜 TLR은 효소 활성에 필요한 엔도솜 pH 감소에 의해 시작되는 공통 메커니즘에 의해 절단됩니다. 분할 사건은 복잡한 과정이며 아스파라긴 엔도펩티다아제(AEP) 및/또는 다중 카텝신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71, 72, 90, 92). 분열 사건의 조절에 초점을 맞춘 대부분의 연구는 TLR9 발현 쥐 대식세포 세포주(RAW 세포)를 모델 시스템으로 사용했습니다. 실제로, TLR9에서 카텝신의 초기 역할은 Ewald et al.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이 그룹은 실험적으로 카텝신 활성화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없었고, 프로테아제의 조합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습니다(90). 나중에, 같은 그룹은 RAW 세포와 쥐 기존 DC에서 TLR 절단이 2단계 이벤트임을 입증했습니다. 초기 절단 이벤트는 AEP 또는 카텝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단백질에 대한 중복 역할을 나타냅니다(72). 최적의 신호전달 반응을 위한 제2 분할 단계는 TLR 트리밍(TLR trimming)으로 지칭되며, 카텝신 활성에만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72). 동일한 보고서에서 TLR7 절단은 AEP와 카텝신 활성을 모두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2). AEP 의존성 TLR7 절단의 필요성은 AEP 결핍 마우스의 IAV 감염 중 적응 면역 반응의 불량한 유도와 관련된 DC의 비효율적인 TLR7 신호 전달에 의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92).
흥미롭게도, Hipp et al.은 퓨린, PC5/6 및 PC7을 포함한 세린 엔도프로테아제 계열의 일부인 퓨린 유사 프로단백질 전환효소(PC)가 유능한 TLR7 신호 반응의 생성을 위해 엔도솜에서 인간 TLR7을 절단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그림 1)(93). 이 연구는 카텝신과 AEP에 의한 쥐 엔도솜 TLR7 절단에 초점을 맞춘 수많은 연구와 비교하여 인간 TLR7의 절단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보여주었습니다(71, 72, 90, 92). 마찬가지로, 퓨린 유사 프로테아제는 또한 1차 인간 단핵구 및 대식세포에서 TLR8 단백질 분해와 관련이 있습니다(94). 따라서, 푸린-유사 프로테아제의 사용은 TLR7 및 TLR8에 특이적일 수 있으며, AEP 및 카텝신 이외에 TLR7 절단을 조절하는 대안적인 기전을 나타낼 수 있다. AEP, 카텝신 또는 퓨린에 대한 TLR7 절단에 대한 의존도는 세포 유형과 인간 및 쥐 세포 모델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습니다.
절단 부위에 대한 특정 아미노산 서열과 관련하여, TLR7은 AEP 매개 절단에 필요한 아스파라긴 478을 함유하는 잔기 450–479에 해당하는 두 LRR 도메인(LRR14–15) 사이의 단백질 분해에 취약합니다(92). TLR7 국소화 대 신호전달에서 절단의 역할은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 TLR7로 transfection된 쥐 섬유아세포 및 골수 유래 DC(BMDC) 모델을 사용하여 입증되었습니다. 아스파라긴 478을 글루타민(N478Q)으로 돌연변이하는 것은 TLR7 국소화를 방해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imiquimod에 반응하는 다운스트림 신호전달은 억제되었다(92). 이 절단 부위는 다운스트림 신호전달을 위해 엔도솜에 남아 있는 C-말단(ectodomain, transmembrane 및 cytosolic 영역)에서 N-말단(ectodomain)을 분리합니다. TLR7 N-말단은 절단되어 있지만 이황화 결합에 의해 C-말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쥐 DC와 인간 세포주 모두에서 엔도솜 국소화 및 리간드 결합에 필요한 것으로 제안됩니다(THP-1; HEK-293T) (그림 1) (95, 96). 인간 TLR8의 결정학 연구와 일차 인간 골수성 세포에 대한 연구는 또한 절단 후 N- 및 C 말단 결합을 보여줍니다(57, 94). 종합하면, 이 정보는 효소 절단에 대한 정보와 결합되어 TLR7 및 TLR8 처리가 조절되는 방법의 복잡성을 강조합니다.
TLR7에 리간드 전달
TLR7 밀매의 조절과 마찬가지로 TLR7에 대한 리간드 전달도 복잡하게 조절되는 과정입니다. 감염, 작용제 자극 또는 인접 세포의 손상/세포 사멸 시 리간드가 엔도솜에 들어가 TLR7 활성화를 유발해야 합니다. 수용체 매개 세포내이입은 바이러스 또는 정제된 TLR7 리간드를 엔도솜 TLR7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48, 49, 97–99). 자가면역에서 엔도솜에 대한 자가리간드의 전달은 이동성이 높은 그룹 상자 1 단백질과 카텔리시딘, LL37(100)과 같은 단백질에 의존합니다. 따라서 TLR7 반응은 염증성 질환 상태에서 이러한 분자의 방출 또는 과발현에 의해 조절됩니다. 예를 들어, LL37 발현의 증가는 자가면역질환 중 TLR7 매개 사이토카인 생성의 악화와 관련이 있습니다(101). 또한, DNA에 특이적인 B 세포 수용체(BCR)를 지닌 B 세포와 Fc 수용체 FcγRIIa(CD32)를 지닌 pDC는 SLE에서 TLR9에 전달하기 위해 자체 DNA를 내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02, 103). BCR과 TLR9의 이러한 순차적 관여는 SLE 모델에서 자가반응성 BCR이 TLR7로 전달하기 위해 ssRNA와 결합하고 내재화하는 것으로 나타난 TLR7에 대해 재현되었습니다(104).
바이러스 ssRNA가 세포내이입의 결과로 엔도솜에 도달할 수 있는 반면, 쥐 pDC는 또한 세포질에서 손상되거나 불필요한 세포 물질이 리소좀에서 분해되는 항상성 과정인 자가포식을 활용하여 바이러스 RNA-TLR7 결찰을 위한 엔도솜 전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6, 105, 106). 자가포식체는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ATG) 단백질을 포함하는 일련의 순차적 단계에 의해 형성됩니다. 이 과정은 자가포식체(autophagosome)로 확장되는 이중막 액포(double-membrane vacuole)인 식체(phagophore) 형성에 의해 시작됩니다(107). 자가포식체가 엔도솜 또는 리소좀과 융합하면 세포 물질의 분해를 위해 자가포식체가 형성됩니다(108). 바이러스 감염 중 자가포식 및 TLR7 리간드 전달에 대한 역할은 쥐 pDC에서 두드러지는데, 이는 이러한 세포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TLR7 의존성 유형 I IFN 생성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47). Lee et al.은 VSV에 감염된 쥐 ATG5 결핍 pDC가 IFN-α를 생성할 수 없음을 입증했습니다(47). 몇 년 후, 다른 두 그룹은 HIV-1 또는 파라믹소바이러스 유인원 바이러스 5에 감염된 1차 인간 pDC에서 TLR7 매개 IFN-α 생산에 자가포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109, 110). 주목할 점은, 자가포식(autophagy)은 또한 SLE의 쥐 B 세포에서 TLR7로의 ssRNA 전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111). 바이러스 감염 중 리간드 전달을 위한 세포내이입과 자가포식 사이의 선호도는 세포 침투 방식(세포내이입 대 막 융합), 복제 전략 및 바이러스 억제 인자의 발현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LR7 리간드를 엔도솜에 전달하는 자가포식 매개 역할 외에도 자가포식 유도에서 TLR7 신호전달의 역할도 조사되었습니다(46). TLR 1에서 9까지의 검사에서 TLR7의 결찰은 쥐 대식세포에서 가장 강력한 자가포식 유도를 보여주었습니다(46). 또한, TLR4와 유사하게, TLR7은 뮤린 대식세포(46, 112, 113)에서 자가포식체 형성을 강화하기 위해 MyD88과 Beclin 1(효모 ATG6의 포유류 상동체) 상호작용을 유도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TLR7 신호전달과 자가포식 매개 바이러스 인식 사이의 잠재적인 양성 피드백 메커니즘에 대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TLR7 시그널링 변조
골수성 세포(TREM) 수용체 계열 및 관련 리간드에서 발현되는 유발 수용체의 역할에 대한 조사는 이러한 단백질이 TLR 신호 및 반응성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성분임을 확인했습니다(114–117). 최근에는 TREM like 4(TREML4)가 쥐 및 인간 세포에서 TLR7 신호를 증폭하는 것으로 특성화되었습니다(그림 1)(118). TREML4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주로 비장 대식세포와 CD8+ DC에서 발견되며 자가사멸 세포와 결합하고 T 세포에 대한 항원 제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19, 120). Treml4 결핍 BMDC에서 TLR7 엔도솜 국소화 및 TLR7-MyD88 상호작용 감소와 함께 TLR7 매개 신호 및 사이토카인 생성의 활성화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118). 인간 대식세포에서 Treml4의 녹다운은 또한 gardiquimod에 대한 반응으로 사이토카인 유도를 감소시켰습니다(118). 이와 함께, 이는 TLR7 결찰 시 TREML4가 TLR7-MyD88 상호작용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따라서 신호 전달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사이토카인 생성을 촉진합니다. 흥미롭게도, TREML4에 대한 역할은 TLR9 및 TLR13 신호전달에 대해서도 제안되었지만(118), TREML4 결핍이 TLR9 또는 TLR13과 MyD88 또는 엔도솜 국소화와의 연관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조사되지 않았습니다. TREML4의 세포 국소화 패턴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TREML4가 TLR7을 가진 엔도솜에 모집되는지 또는 TLR7과 직접 상호 작용하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흥미롭게도, TLR3, TLR4 또는 TLR9 작용제인 CpG DNA로 비장 대식세포를 자극하면 TREML4 mRNA 발현이 향상되었지만(118), TLR3, TLR4 또는 TLR9 작용제로 비장 DC를 자극하면 TREML4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119). 이는 TREML4가 TLR7 신호전달을 위한 포지티브 피드백 루프에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세포 유형에 따라 차등 효과를 가질 수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엔도솜에서 TLR7 신호 증폭을 위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의미하며, 이는 엔도솜 TLR에 대한 신호 전달 요구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조사 방법을 제시합니다.
TLR 시그널링을 조절하는 또 다른 메커니즘은 리간드에 대한 다중 후속 노출 시 발생하며, 이는 TLR 응답성의 폐기를 초래합니다. 이는 LPS(lipopolysaccharide)를 사용한 TLR4 자극으로 가장 잘 특징지어지며, LPS(endotoxin) 내성은 LPS에 한 번 노출된 경우와 비교하여 반복적인 LPS 자극 시 TNF-α 및 IL-6 생성이 감소하는 것이 특징입니다(121). 흥미롭게도, TLR7 내성은 TLR7 작용제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쥐 대식세포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이미퀴모드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MyD88 경로 억제제인 IRAK-M 및 Src 상동성 2 도메인 함유 이노시톨-5-포스파타제-1 및 NF-κB, MAPK p38 및 c-Jun N-말단 키나아제의 활성화 장애로 인해 세포가 후속 TLR7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 상태가 유발되었습니다(122, 123). 하나의 TLR 작용제에 노출되어 다른 TLR에 대한 작용제에 의한 2차 자극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함으로써 달성되는 TLR "이종 내성"은 TLR 반응을 제어하는 일반적인 메커니즘으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LR7 리간드(S-27609)를 사용한 체외 백혈구 챌린지를 인간 피험자에게 LPS의 생체 내 정맥 투여한 결과, S-27609 자극 단독에 비해 TNF-α, IL-6, IL-1β 및 IL-10의 분비가 억제되었습니다(124). 또한, TLR7 리간드 자극은 다른 TLR 작용제에 대한 후속 반응을 감소시킵니다. 예를 들어, R848 또는 록소리빈으로 배양한 인간 및 쥐 골수성 세포는 TLR4 반응성이 감소했습니다(125–128). 또한, R848을 이용한 인간 대식세포의 전처리는 TLR2, TLR4, TLR5 및 TLR7 신호전달의 후속 유도를 억제한다(125). 흥미롭게도, TLR7 작용제인 gardiquimod 및 TLR9 작용제인 CpG DNA를 사용한 쥐 대식세포의 costimulation은 TNF-α 및 IL-6의 사이토카인 신호-1 매개 감소를 억제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129). 이러한 연구는 TLR 반응성을 조절하는 여러 메커니즘을 보여주고 TLR7 활성이 다른 TLR 분자에 대한 반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을 나타냅니다.
미래 전망
TLR7 국소화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은 TLR7 리간드 결합 및 다운스트림 신호 전달을 지시하는 핵심 요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TLR7과 TLR8은 중복되는 것으로 보이며, TLR8 국소화 조절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지만, TLR7과 TLR8 사이에는 엔도솜 국소화 및 기능 조절과 관련하여 미묘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TLR8이 TLR7과 어떻게 다르게 조절되는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향후 연구의 핵심 영역입니다. 또한, 서로 다른 엔도솜 TLR 각각의 국소화를 위한 차등 요구 사항을 더 잘 이해하면 리간드 전달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TLR7의 국소화 및 기능을 조절하는 복잡한 과정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 바이러스 감염, 암 및 자가면역 질환의 면역 반응을 미세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자 기여
CP, NO 및 KG는 본 연구의 개념화, 토론 및 작성에 기여했습니다. CP는 그림을 디자인하고 구성했습니다.
이해 상충 진술
저자는 이 연구가 잠재적인 이해 상충으로 해석될 수 있는 상업적 또는 재정적 관계가 없는 상태에서 수행되었음을 선언합니다.
자금
이 연구는 캐나다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위원회(NSERC; 342168)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CP는 온타리오 대학원 장학금, Dr. Robert John Wilson 대학원 펠로우십 및 NSERC-PGS D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참조
1. 다케다 K, 카이쇼 T, 아키라 S. 톨 유사 수용체. Annu Rev Immunol (2003) 21(1):335–76. 도:10.1146/annurev.immunol.21.120601.141126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2. 브루베이커 SW, 본햄 KS, Zanoni I, Kagan JC. 선천성 면역 패턴 인식: 세포 생물학적 관점. Annu Rev Immunol (2015) 33 : 257–90. 도:10.1146/아누레브-면역-032414-112240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3. 레이퍼 캘리포니아, 메드베데프 AE. 톨 유사 수용체 신호 전달의 조절에 대한 분자 메커니즘. J Leukoc Biol (2016) 100(5):927–41. 도:10.1189/jlb.2MR0316-117RR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4. Ewald SE, Barton GM. 자가면역에서 톨 유사 수용체를 감지하는 핵산. Curr Opin Immunol (2011) 23(1):3–9. 도:10.1016/j.coi.2010.11.006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5. Yarovinsky F, Zhang D, Andersen JF, Bannenberg GL, Serhan CN, Hayden MS, et al. 원생동물 프로파일린 유사 단백질에 의한 수지상 세포의 TLR11 활성화. 과학 (2005) 308(5728):1626–9. 도:10.1126/science.1109893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6. Koblansky AA, Jankovic D, Oh H, Hieny S, Sungnak W, Mathur R, 등등.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12에 의한 프로필린의 인식은 톡소플라스마 곤디(Toxoplasma gondii)에 대한 숙주 내성에 매우 중요합니다. 면역 (2013) 38(1):119–30. 도:10.1016/j.immuni.2012.09.016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7. Wang J, Chai J, Wang H. 박테리아 23S 리보솜 RNA의 보존된 서열을 가진 복합체에서 마우스 톨 유사 수용체 13 엑토도메인의 구조. 2월 J (2016) 283(9):1631–5. 도:10.1111/Febs.13628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8. 다케다 K, Akira S. 선천성 면역의 톨 유사 수용체. 국제 면역 (2005) 17(1):1–14. 도:10.1093/intimm/dxh186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9. Marshak-Rothstein A. Toll-like receptors in systemic autoimmune disease. Nat Rev Immunol (2006) 6(11):823–35. doi:10.1038/nri1957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 Krieg AM, Vollmer J. Toll-like receptors 7, 8, and 9: linking innate immunity to autoimmunity. Immunol Rev (2007) 220(1):251–69. doi:10.1111/j.1600-065X.2007.00572.x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 von Landenberg P, Bauer S. Nucleic acid recognizing toll-like receptors and autoimmunity. Curr Opin Immunol (2007) 19(6):606–10. doi:10.1016/j.coi.2007.10.004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2. Krieg AM. The toll of too much TLR7. Immunity (2007) 27(5):695–7. doi:10.1016/j.immuni.2007.11.00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3. Alexoudi I, Kapsimali V, Vaiopoulos A, Kanakis M, Vaiopoulos G. Toll-like receptors pathways implication in common autoimmune diseases and therapeutic perspectives. G Ital Dermatol Venereol (2015) 150(2):255–60.
PubMed Abstract | Google Scholar
14. Pelka K, Shibata T, Miyake K, Latz E. Nucleic acid-sensing TLRs and autoimmunity: novel insights from structural and cell biology. Immunol Rev (2016) 269(1):60–75. doi:10.1111/imr.12375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5. Hemmi H, Kaisho T, Takeuchi O, Sato S, Sanjo H, Hoshino K, et al. Small anti-viral compounds activate immune cells via the TLR7 MyD88–dependent signaling pathway. Nat Immunol (2002) 3(2):196–200. doi:10.1038/ni758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6. Gantier MP, Tong S, Behlke MA, Xu D, Phipps S, Foster PS, et al. TLR7 is involved in sequence-specific sensing of single-stranded RNAs in human macrophages. J Immunol (2008) 180(4):2117–24. doi:10.4049/jimmunol.180.4.2117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7. Mancuso G, Gambuzza M, Midiri A, Biondo C, Papasergi S, Akira S, et al. Bacterial recognition by TLR7 in the lysosomes of conventional dendritic cells. Nat Immunol (2009) 10(6):587–94. doi:10.1038/ni.173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8. Chuang T-H, Ulevitch RJ.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sub-family of human toll-like receptors: hTLR7, hTLR8 and hTLR9. Eur Cytokine Netw (2000) 11(3):372–8.
PubMed Abstract | Google Scholar
19. Lee BL, Moon JE, Shu JH, Yuan L, Newman ZR, Schekman R, et al. UNC93B1 mediates differential trafficking of endosomal TLRs. Elife (2013) 2:e00291. doi:10.7554/eLife.0029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0. Bao M, Liu Y-J. Regulation of TLR7/9 signaling in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Protein Cell (2013) 4(1):40–52. doi:10.1007/s13238-012-2104-8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1. Jurk M, Heil F, Vollmer J, Schetter C, Krieg AM, Wagner H, et al. Human TLR7 or TLR8 independently confer responsiveness to the antiviral compound R-848. Nat Immunol (2002) 3(6):499. doi:10.1038/ni0602-499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2. Hornung V, Rothenfusser S, Britsch S, Krug A, Jahrsdörfer B, Giese T, et al. Quantitative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 1–10 mRNA in cellular subsets of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and sensitivity to CpG oligodeoxynucleotides. J Immunol (2002) 168(9):4531–7. doi:10.4049/jimmunol.168.9.4531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3. Edwards AD, Diebold SS, Slack E, Tomizawa H, Hemmi H, Kaisho T, et al. Toll-like receptor expression in murine DC subsets: lack of TLR7 expression by CD8α+ DC correlates with unresponsiveness to imidazoquinolines. Eur J Immunol (2003) 33(4):827–33. doi:10.1002/eji.200323797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4. Barr TA, Brown S, Ryan G, Zhao J, Gray D. TLR-mediated stimulation of APC: distinct cytokine responses of B cells and dendritic cells. Eur J Immunol (2007) 37(11):3040–53. doi:10.1002/eji.20063648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5. Lee J, Wu CC, Lee KJ, Chuang T-H, Katakura K, Liu Y-T, et al. Activation of anti-hepatitis C virus responses via toll-like receptor 7. Proc Natl Acad Sci U S A (2006) 103(6):1828–33. doi:10.1073/pnas.051080110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6. Tengroth L, Millrud CR, Kvarnhammar AM, Georén SK, Latif L, Cardell L-O. Functional effects of toll-like receptor (TLR) 3, 7, 9, RIG-I and MDA-5 stimulation in nasal epithelial cells. PLoS One (2014) 9(6):e98239. doi:10.1371/journal.pone.0098239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7. Schaefer TM, Desouza K, Fahey JV, Beagley KW, Wira CR. Toll-like receptor (TLR) expression and TLR-mediated cytokine/chemokine production by human uterine epithelial cells. Immunology (2004) 112(3):428–36. doi:10.1111/j.1365-2567.2004.01898.x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8. Li ZJ, Sohn KC, Choi DK, Shi G, Hong D, Lee HE, et al. Roles of TLR7 in activation of NF-kappaB signaling of keratinocytes by imiquimod. PLoS One (2013) 8(10):e77159. doi:10.1371/journal.pone.0077159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29. Crozat K, Vivier E, Dalod M. Crosstalk between components of the innate immune system: promoting anti-microbial defenses and avoiding immunopathologies. Immunol Rev (2009) 227(1):129–49. doi:10.1111/j.1600-065X.2008.00736.x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0. Lester RT, Yao XD, Ball TB, McKinnon LR, Kaul R, Wachihi C, et al. Toll-like receptor expression and responsiveness are increased in viraemic HIV-1 infection. AIDS (2008) 22(6):685–94. doi:10.1097/QAD.0b013e3282f4de35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1. Roelofs MF, Joosten LA, Abdollahi-Roodsaz S, van Lieshout AW, Sprong T, van den Hoogen FH, et al. The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s 3 and 7 in rheumatoid arthritis synovium is increased and costimulation of toll-like receptors 3, 4, and 7/8 results in synergistic cytokine production by dendritic cells. Arthritis Rheum (2005) 52(8):2313–22. doi:10.1002/art.21278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2. Yin C, Zhang T, Qiao L, Du J, Li S, Zhao H, et al. TLR7-expressing cells comprise an interfollicular epidermal stem cell population in murine epidermis. Sci Rep (2014) 4:5831. doi:10.1038/srep05831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3. Miettinen M, Sareneva T, Julkunen I, Matikainen S. IFNs activate toll-like receptor gene expression in viral infections. Genes Immun (2001) 2(6):349. doi:10.1038/sj.gene.636379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4. Sheyhidin I, Nabi G, Hasim A, Zhang R-P, Ainiwaer J, Ma H, et al. Overexpression of TLR3, TLR4, TLR7 and TLR9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World J Gastroenterol (2011) 17(32):3745. doi:10.3748/wjg.v17.i32.3745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5. Komatsuda A, Wakui H, Iwamoto K, Ozawa M, Togashi M, Masai R, et al. Up-regulated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s mRNAs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rom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Clin Exp Immunol (2008) 152(3):482–7. doi:10.1111/j.1365-2249.2008.03646.x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6. Lee J, Hayashi M, Lo J-F, Fearns C, Chu W-M, Luo Y, et al. Nuclear factor κB (NF-κB) activation primes cells to a pro-inflammatory polarized response to a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 Biochem J (2009) 421(2):301–10. doi:10.1042/BJ20090013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7. Thompson MR, Kaminski JJ, Kurt-Jones EA, Fitzgerald KA.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and the innate immune response to viral infection. Viruses (2011) 3(6):920–40. doi:10.3390/v306092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8. Felix J, Savvides SN. Mechanisms of immunomodulation by mammalian and viral decoy receptors: insights from structures. Nat Rev Immunol (2017) 17(2):112–29. doi:10.1038/nri.2016.134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39. Szabo A, Magyarics Z, Pazmandi K, Gopcsa L, Rajnavolgyi E, Bacsi A. TLR ligands upregulate RIG-I expression in human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in a type I IFN-independent manner. Immunol Cell Biol (2014) 92(8):671–8. doi:10.1038/icb.2014.38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0. Heil F, Hemmi H, Hochrein H, Ampenberger F, Kirschning C, Akira S, et al. Species-specific recognition of single-stranded RNA via toll-like receptor 7 and 8. Science (2004) 303(5663):1526–9. doi:10.1126/science.109362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1. Diebold SS, Kaisho T, Hemmi H, Akira S, Reis e Sousa CR. Innate antiviral responses by means of TLR7-mediated recognition of single-stranded RNA. Science (2004) 303(5663):1529–31. doi:10.1126/science.1093616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2. Lund JM, Alexopoulou L, Sato A, Karow M, Adams NC, Gale NW, et al. Recognition of single-stranded RNA viruses by toll-like receptor 7. Proc Natl Acad Sci U S A (2004) 101(15):5598–603. doi:10.1073/pnas.040093710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3. Isogawa M, Robek MD, Furuichi Y, Chisari FV. Toll-like receptor signaling inhibits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in vivo. J Virol (2005) 79(11):7269–72. doi:10.1128/JVI.79.11.7269-7272.2005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4. Lee J, Chuang T-H, Redecke V, She L, Pitha PM, Carson DA, et al. Molecular basis for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guanine nucleoside analogs: activation of toll-like receptor 7. Proc Natl Acad Sci U S A (2003) 100(11):6646–51. doi:10.1073/pnas.0631696100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5. Gosu V, Basith S, Kwon O-P, Choi S. Therapeutic applications of nucleic acids and their analogues in toll-like receptor signaling. Molecules (2012) 17(11):13503–29. doi:10.3390/molecules17111350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6. Delgado MA, Elmaoued RA, Davis AS, Kyei G, Deretic V. Toll-like receptors control autophagy. EMBO J (2008) 27(7):1110–21. doi:10.1038/emboj.2008.3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7. Lee HK, Lund JM, Ramanathan B, Mizushima N, Iwasaki A. Autophagy-dependent viral recognition by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Science (2007) 315(5817):1398–401. doi:10.1126/science.113688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8. Blasius AL, Beutler B. Intracellular toll-like receptors. Immunity (2010) 32(3):305–15. doi:10.1016/j.immuni.2010.03.012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49. Perry AK, Chen G, Zheng D, Tang H, Cheng G. The host type I interferon response to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Cell Res (2005) 15(6):407–22. doi:10.1038/sj.cr.7290309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0. Kopp EB, Medzhitov R. The toll-receptor family and control of innate immunity. Curr Opin Immunol (1999) 11(1):13–8. doi:10.1016/S0952-7915(99)80003-X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1. Doyle SL, O’Neill LA. Toll-like receptors: from the discovery of NFκB to new insights into transcriptional regulations in innate immunity. Biochem Pharmacol (2006) 72(9):1102–13. doi:10.1016/j.bcp.2006.07.010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2. Kaisho T, Akira S. Toll-like receptor function and signaling. J Allergy ClinImmunol (2006) 117(5):979–87. doi:10.1016/j.jaci.2006.02.02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3. Kawai T, Akira S. Signaling to NF-κB by toll-like receptors. Trends Mol Med (2007) 13(11):460–9. doi:10.1016/j.molmed.2007.09.002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4. Kenny EF, O’Neill LA. Signalling adaptors used by toll-like receptors: an update. Cytokine (2008) 43(3):342–9. doi:10.1016/j.cyto.2008.07.01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5. Zhu J, Brownlie R, Liu Q, Babiuk LA, Potter A, Mutwiri GK. Characterization of bovine toll-like receptor 8: ligand specificity, signaling essential sites and dimerization. Mol Immunol (2009) 46(5):978–90. doi:10.1016/j.molimm.2008.09.024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6. Latz E, Verma A, Visintin A, Gong M, Sirois CM, Klein DC, et al. Ligand-induced conformational changes allosterically activate toll-like receptor 9. Nat Immunol (2007) 8(7):772–9. doi:10.1038/ni1479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7. Tanji H, Ohto U, Shibata T, Miyake K, Shimizu T. Structural reorganization of the toll-like receptor 8 dimer induced by agonistic ligands. Science (2013) 339(6126):1426–9. doi:10.1126/science.1229159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8. Manavalan B, Basith S, Choi S. Similar structures but different roles–an updated perspective on TLR structures. Front Physiol (2011) 2:41. doi:10.3389/fphys.2011.00041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59. Hoshino K, Sugiyama T, Matsumoto M, Tanaka T, Saito M, Hemmi H, et al. IκB kinase-α is critical for interferon-α production induced by toll-like receptors 7 and 9. Nature (2006) 440(7086):949–53. doi:10.1038/nature04641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60. Honda K, Yanai H, Mizutani T, Negishi H, Shimada N, Suzuki N, et al. Role of a transductional-transcriptional processor complex involving MyD88 and IRF-7 in toll-like receptor signaling. Proc Natl Acad Sci U S A (2004) 101(43):15416–21. doi:10.1073/pnas.040693310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61. Kawai T, Sato S, Ishii KJ, Coban C, Hemmi H, Yamamoto M, et al. Interferon-α induction through toll-like receptors involves a direct interaction of IRF7 with MyD88 and TRAF6. Nat Immunol (2004) 5(10):1061–8. doi:10.1038/ni1118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62. Takaoka A, Yanai H, Kondo S, Duncan G, Negishi H, Mizutani T, et al. Integral role of IRF-5 in the gene induction programme activated by toll-like receptors. Nature (2005) 434(7030):243–9. doi:10.1038/nature03308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63. Schoenemeyer A, Barnes BJ, Mancl ME, Latz E, Goutagny N, Pitha PM, et al. The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IRF5, is a central mediator of toll-like receptor 7 signaling. J Biol Chem (2005) 280(17):17005–12. doi:10.1074/jbc.M412584200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64. Oganesyan G, Saha SK, Guo B, He JQ, Shahangian A, Zarnegar B, et al. Critical role of TRAF3 in the toll-like receptor-dependent and-independent antiviral response. Nature (2006) 439(7073):208–11. doi:10.1038/nature04374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65. Häcker H, Redecke V, Blagoev B, Kratchmarova I, Hsu L-C, Wang GG, et al. Specificity in toll-like receptor signalling through distinct effector functions of TRAF3 and TRAF6. Nature (2006) 439(7073):204–7. doi:10.1038/nature04369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66. Ito T, Amakawa R, Kaisho T, Hemmi H, Tajima K, Uehira K, et al. Interferon-α and interleukin-12 are induced differentially by toll-like receptor 7 ligands in human blood dendritic cell subsets. J Exp Med (2002) 195(11):1507–12. doi:10.1084/jem.20020207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67. Testerman T, Gerster J, Imbertson L, Reiter M, Miller R, Gibson S, et al. Cytokine induction by the immunomodulators imiquimod and S-27609. J Leukoc Biol (1995) 58(3):365–72.
PubMed Abstract | Google Scholar
68. Reiter MJ, Testerman TL, Miller RL, Weeks CE, Tomai MA. Cytokine induction in mice by the immunomodulator imiquimod. J Leukoc Biol (1994) 55(2):234–40.
PubMed Abstract | Google Scholar
69. Imbertson LM, Couture AM, Gibson SJ, Smith RM, Miller RL, Reiter MJ, et al. Cytokine induction in hairless mouse and rat skin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the immune response modifiers imiquimod and S-28463. J Invest Dermatol (1998) 110(5):734–9. doi:10.1046/j.1523-1747.1998.00174.x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0. Lee BL, Barton GM. Trafficking of endosomal toll-like receptors. Trends Cell Biol (2014) 24(6):360–9. doi:10.1016/j.tcb.2013.12.002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1. Sepulveda FE, Maschalidi S, Colisson R, Heslop L, Ghirelli C, Sakka E, et al. Critical role for asparagine endopeptidase in endocytic toll-like receptor signaling in dendritic cells. Immunity (2009) 31(5):737–48. doi:10.1016/j.immuni.2009.09.01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2. Ewald SE, Engel A, Lee J, Wang M, Bogyo M, Barton GM. Nucleic acid recognition by toll-like receptors is coupled to stepwise processing by cathepsins and asparagine endopeptidase. J Exp Med (2011) 208(4):643–51. doi:10.1084/jem.20100682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3. Liu B, Yang Y, Qiu Z, Staron M, Hong F, Li Y, et al. Folding of toll-like receptors by the HSP90 paralogue gp96 requires a substrate-specific cochaperone. Nat Commun (2010) 1:79. doi:10.1038/ncomms107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4. Yang Y, Liu B, Dai J, Srivastava PK, Zammit DJ, Lefrançois L, et al. Heat shock protein gp96 is a master chaperone for toll-like receptors and is important in the innate function of macrophages. Immunity (2007) 26(2):215–26. doi:10.1016/j.immuni.2006.12.005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5. Takahashi K, Shibata T, Akashi-Takamura S, Kiyokawa T, Wakabayashi Y, Tanimura N, et al. A protein associated with toll-like receptor (TLR) 4 (PRAT4A) is required for TLR-dependent immune responses. J Exp Med (2007) 204(12):2963–76. doi:10.1084/jem.20071132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6. Tatematsu M, Funami K, Ishii N, Seya T, Obuse C, Matsumoto M. LRRC59 regulates trafficking of nucleic acid–sensing TLRs from the endoplasmic reticulum via association with UNC93B1. J Immunol (2015) 195(10):4933–42. doi:10.4049/jimmunol.1501305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7. Tabeta K, Hoebe K, Janssen EM, Du X, Georgel P, Crozat K, et al. The Unc93b1 mutation 3d disrupts exogenous antigen presentation and signaling via toll-like receptors 3, 7 and 9. Nat Immunol (2006) 7(2):156–64. doi:10.1038/ni1297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8. Brinkmann MM, Spooner E, Hoebe K, Beutler B, Ploegh HL, Kim Y-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R membrane protein UNC93B and TLR3, 7, and 9 is crucial for TLR signaling. J Cell Biol (2007) 177(2):265–75. doi:10.1083/jcb.200612056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79. Kim Y-M, Brinkmann MM, Paquet M-E, Ploegh HL. UNC93B1 delivers nucleotide-sensing toll-like receptors to endolysosomes. Nature (2008) 452(7184):234–8. doi:10.1038/nature06726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0. Itoh H, Tatematsu M, Watanabe A, Iwano K, Funami K, Seya T, et al. UNC93B1 physically associates with human TLR8 and regulates TLR8-mediated signaling. PLoS One (2011) 6(12):e28500. doi:10.1371/journal.pone.002850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1. Pelka K, Phulphagar K, Zimmermann J, Stahl R, Schmid-Burgk JL, Schmidt T, et al. Cutting edge: the UNC93B1 tyrosine-based motif regulates trafficking and TLR responses via separate mechanisms. J Immunol (2014) 193(7):3257–61. doi:10.4049/jimmunol.1301886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2. Chiang C-Y, Engel A, Opaluch AM, Ramos I, Maestre AM, Secundino I, et al. Cofactors required for TLR7-and TLR9-dependent innate immune responses. Cell Host Microbe (2012) 11(3):306–18. doi:10.1016/j.chom.2012.02.002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3. Lafferty EI, Flaczyk A, Angers I, Homer R, d’Hennezel E, Malo D, et al. An ENU-induced splicing mutation reveals a role for Unc93b1 in early immune cell activation following influenza A H1N1 infection. Genes Immun (2014) 15(5):320–32. doi:10.1038/gene.2014.22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4. Fukui R, Saitoh S-I, Matsumoto F, Kozuka-Hata H, Oyama M, Tabeta K, et al. Unc93B1 biases toll-like receptor responses to nucleic acid in dendritic cells toward DNA-but against RNA-sensing. J Exp Med (2009) 206(6):1339–50. doi:10.1084/jem.20082316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5. Fukui R, Saitoh S-I, Kanno A, Onji M, Shibata T, Ito A, et al. Unc93B1 restricts systemic lethal inflammation by orchestrating toll-like receptor 7 and 9 trafficking. Immunity (2011) 35(1):69–81. doi:10.1016/j.immuni.2011.05.01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6. Panchanathan R, Liu H, Choubey D. Expression of murine Unc93b1 is up-regulated by interferon and estrogen signaling: implications for sex bias in the development of autoimmunity. Int Immunol (2013) 25(9):521–9. doi:10.1093/intimm/dxt015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7. Wang J, Shao Y, Bennett TA, Shankar RA, Wightman PD, Reddy LG. The functional effects of physical interactions among toll-like receptors 7, 8, and 9. J Biol Chem (2006) 281(49):37427–34. doi:10.1074/jbc.M60531120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8. Nakatsu F, Ohno H. Adaptor protein complexes as the key regulators of protein sorting in the post-Golgi network. Cell Struct Funct (2003) 28(5):419–29. doi:10.1247/csf.28.419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89. Sasai M, Linehan MM, Iwasaki A. Bifurcation of toll-like receptor 9 signaling by adaptor protein 3. Science (2010) 329(5998):1530–4. doi:10.1126/science.1187029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0. Ewald SE, Lee BL, Lau L, Wickliffe KE, Shi G-P, Chapman HA, et al. The ectodomain of toll-like receptor 9 is cleaved to generate a functional receptor. Nature (2008) 456(7222):658–62. doi:10.1038/nature07405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1. Barton GM, Kagan JC, Medzhitov R.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toll-like receptor 9 prevents recognition of self DNA but facilitates access to viral DNA. Nat Immunol (2006) 7(1):49–56. doi:10.1038/ni128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2. Maschalidi S, Hässler S, Blanc F, Sepulveda FE, Tohme M, Chignard M, et al. Asparagine endopeptidase controls anti-influenza virus immune responses through TLR7 activation. PLoS Pathog (2012) 8(8):e1002841. doi:10.1371/journal.ppat.100284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3. Hipp MM, Shepherd D, Gileadi U, Aichinger MC, Kessler BM, Edelmann MJ, et al. Processing of human toll-like receptor 7 by furin-like proprotein convertases is required for its accumulation and activity in endosomes. Immunity (2013) 39(4):711–21. doi:10.1016/j.immuni.2013.09.004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4. Ishii N, Funami K, Tatematsu M, Seya T, Matsumoto M. Endosomal localization of TLR8 confers distinctive proteolytic processing on human myeloid cells. J Immunol (2014) 193(10):5118–28. doi:10.4049/jimmunol.1401375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5. Kanno A, Yamamoto C, Onji M, Fukui R, Saitoh S-I, Motoi Y, et al. Essential role for toll-like receptor 7 (TLR7)-unique cysteines in an intramolecular disulfide bond, proteolytic cleavage and RNA sensing. Int Immunol (2013) 25(7):413–22. doi:10.1093/intimm/dxt007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6. Hipp MM, Shepherd D, Booth S, Waithe D, Reis e Sousa C, Cerundolo V. The processed amino-terminal fragment of human TLR7 acts as a chaperone to direct human TLR7 into endosomes. J Immunol (2015) 194(11):5417–25. doi:10.4049/jimmunol.1402703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7. Brencicova E, Diebold SS. Nucleic acids and endosomal pattern recognition: how to tell friend from foe? Front Cell Infect Microbiol (2013) 3:37. doi:10.3389/fcimb.2013.00037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8. Xagorari A, Chlichlia K. Toll-like receptors and viruses: induction of innate antiviral immune responses. Open Microbiol J (2008) 2:49–59. doi:10.2174/1874285800802010049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99. Wagner H, Bauer S. All is not toll: new pathways in DNA recognition. J Exp Med (2006) 203(2):265–8. doi:10.1084/jem.2005219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0. Lee CC, Avalos AM, Ploegh HL. Accessory molecules for toll-like receptors and their function. Nat Rev Immunol (2012) 12(3):168–79. doi:10.1038/nri315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1. Ganguly D, Chamilos G, Lande R, Gregorio J, Meller S, Facchinetti V, et al. Self-RNA-antimicrobial peptide complexes activate human dendritic cells through TLR7 and TLR8. J Exp Med (2009) 206(9):1983–94. doi:10.1084/jem.20090480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2. Leadbetter EA, Rifkin IR, Hohlbaum AM, Beaudette BC, Shlomchik MJ, Marshak-Rothstein A. Chromatin–IgG complexes activate B cells by dual engagement of IgM and toll-like receptors. Nature (2002) 416(6881):603–7. doi:10.1038/416603a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3. Viglianti GA, Lau CM, Hanley TM, Miko BA, Shlomchik MJ, Marshak-Rothstein A. Activation of autoreactive B cells by CpG dsDNA. Immunity (2003) 19(6):837–47. doi:10.1016/S1074-7613(03)00323-6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4. Lau CM, Broughton C, Tabor AS, Akira S, Flavell RA, Mamula MJ, et al. RNA-associated autoantigens activate B cells by combined B cell antigen receptor/toll-like receptor 7 engagement. J Exp Med (2005) 202(9):1171–7. doi:10.1084/jem.20050630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5. Kroemer G, Jäättelä M. Lysosomes and autophagy in cell death control. Nat Rev Cancer (2005) 5(11):886–97. doi:10.1038/nrc1738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6. Weindel CG, Richey LJ, Mehta AJ, Shah M, Huber BT. Autophagy in dendritic cells and B cells is critical for the inflammatory state of TLR7-mediated autoimmunity. J Immunol (2017) 198(3):1081–92. doi:10.4049/jimmunol.1601307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7. Yordy B, Tal MC, Hayashi K, Arojo O, Iwasaki A. Autophagy and selective deployment of Atg proteins in antiviral defense. Int Immunol (2013) 25(1):1–10. doi:10.1093/intimm/dxs10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8. Eskelinen E-L. Maturation of autophagic vacuoles in mammalian cells. Autophagy (2005) 1(1):1–10. doi:10.4161/auto.1.1.127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09. Zhou D, Kang KH, Spector SA. Production of interferon α by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 human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is dependent on induction of autophagy. J Infect Dis (2012) 205(8):1258–67. doi:10.1093/infdis/jis187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0. Manuse MJ, Briggs CM, Parks GD. Replication-independent activation of human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by the paramyxovirus SV5 Requires TLR7 and autophagy pathways. Virology (2010) 405(2):383–9. doi:10.1016/j.virol.2010.06.02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1. Weindel CG, Richey LJ, Bolland S, Mehta AJ, Kearney JF, Huber BT. B cell autophagy mediates TLR7-dependent autoimmunity and inflammation. Autophagy (2015) 11(7):1010–24. doi:10.1080/15548627.2015.1052206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2. Xu Y, Jagannath C, Liu X-D, Sharafkhaneh A, Kolodziejska KE, Eissa NT. Toll-like receptor 4 is a sensor for autophagy associated with innate immunity. Immunity (2007) 27(1):135–44. doi:10.1016/j.immuni.2007.05.022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3. Shi C-S, Kehrl JH. MyD88 and Trif target Beclin 1 to trigger autophagy in macrophages. J Biol Chem (2008) 283(48):33175–82. doi:10.1074/jbc.M80447820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4. Bouchon A, Dietrich J, Colonna M. Cutting edge: inflammatory responses can be triggered by TREM-1, a novel receptor expressed on neutrophils and monocytes. J Immunol (2000) 164(10):4991–5. doi:10.4049/jimmunol.164.10.4991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5. Hamerman JA, Jarjoura JR, Humphrey MB, Nakamura MC, Seaman WE, Lanier LL. Cutting edge: inhibition of TLR and FcR responses in macrophages by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TREM)-2 and DAP12. J Immunol (2006) 177(4):2051–5. doi:10.4049/jimmunol.177.4.205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6. Turnbull IR, Gilfillan S, Cella M, Aoshi T, Miller M, Piccio L, et al. Cutting edge: TREM-2 attenuates macrophage activation. J Immunol (2006) 177(6):3520–4. doi:10.4049/jimmunol.177.6.3520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7. Ornatowska M, Azim AC, Wang X, Christman JW, Xiao L, Joo M, et al. Functional genomics of silencing TREM-1 on TLR4 signaling in macrophages.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007) 293(6):L1377–84. doi:10.1152/ajplung.00140.2007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8. Ramirez-Ortiz ZG, Prasad A, Griffith JW, Pendergraft WF III, Cowley GS, Root DE, et al. The receptor TREML4 amplifies TLR7-mediated signaling during antiviral responses and autoimmunity. Nat Immunol (2015) 16(5):495–504. doi:10.1038/ni.314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19. Hemmi H, Idoyaga J, Suda K, Suda N, Kennedy K, Noda M, et al. A new Trem family member, Treml4, binds to dead cells and is a DAP12 linked marker for subsets of mouse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J Immunol (2009) 182(3):1278. doi:10.4049/jimmunol.182.3.1278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20. Hemmi H, Zaidi N, Wang B, Matos I, Fiorese C, Lubkin A, et al. Treml4, an Ig superfamily member, mediates presentation of several antigens to T cells in vivo, including protective immunity to HER2 protein. J Immunol (2012) 188(3):1147–55. doi:10.4049/jimmunol.1102541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21. West MA, Heagy W. Endotoxin tolerance: a review. Crit Care Med (2002) 30(1):S64–73. doi:10.1097/00003246-200201001-00009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22. Hassan F, Islam S, Tumurkhuu G, Dagvadorj J, Naiki Y, Komatsu T, et al. Involvement of interleukin-1 receptor-associated kinase (IRAK)-M in toll-like receptor (TLR) 7-mediated tolerance in RAW 264.7 macrophage-like cells. Cell Immunol (2009) 256(1):99–103. doi:10.1016/j.cellimm.2009.01.013
PubMed Abstract | CrossRef Full Text | Google Scholar
123. Hayashi T, Gray CS, Chan M, Tawatao RI, Ronacher L, McGargill MA, et al. Prevention of autoimmune disease by induction of tolerance to toll-like receptor 7. Proc Natl Acad Sci U S A (2009) 106(8):2764–9. doi:10.1073/pnas.0813037106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124. 드 보스 AF, Pater JM, 반 덴 Pangaart 추신, 드 Kruif 메릴랜드, 반 Veer C, 반 데르 폴 토니 인간 혈액 백혈구의 생체 내 지질다당류 노출은 다중 TLR 리간드에 대한 교차 내성을 유도합니다. J Immunol (2009) 183(1):533–42. 도:10.4049/jimmunol.0802189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125. Nahid MA, Benso LM, 신 JD, Mehmet H, 힉스 A, 라마다스 RA. TLR4, TLR7/8 작용제 유도 miR-146a는 MyD88 의존성 TLR 작용제에 대한 대식세포 내성을 촉진합니다. J Leukoc Biol (2016) 100(2):339–49. 도:10.1189/jlb.2A0515-197R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126. 츠카다 K, 키타자와 T, 후쿠시마 A, 오쿠가와 S, 야나기모토 S, 타츠노 K, 기타 톨 유사 수용체 7/8 리간드를 사용한 자극에 의해 유도된 대식세포 내성. 이뮤놀 레트 (2007) 111(1):51–6. 도:10.1016/j.imlet.2007.05.001
PubMed 초록 | CrossRef 전체 텍스트 | Google 학술검색
127. 사토 S, 타케우치 O, 후지타 T, 토미자와 H, 다케다 K, 아키라 미국 다양한 미생물 성분은 MyD88 의존성 및 독립적 경로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쳐 지질다당류에 대한 내성을 유도합니다. 국제 면역 (2002) 14(7):783–91. 도:10.1093/intimm/dxf046
128. 브로드 A, 커비 JA, 존스 DE 톨 유사 수용체 상호작용: MyD88 의존성 사이토카인의 내성과 MyD88 비의존성 인터페론 β 생산 향상. 면역학 (2007) 120(1):103–11. 도:10.1111/j.1365-2567.2006.02485.x
129. 이H-J, 김K-C, 한자, 최SS, 정Y-J. 사이토카인 신호전달 1의 억제 인자의 조기 유도와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7 및 9의 하향 조절은 costimulated 대식세포에서 내성을 유도합니다. 몰 셀 (2014) 38(1):26–32. 도:10.14348/molcells.2015.2136
키워드: 톨 유사 수용체 7, 단일 가닥 리보핵산, 엔도솜 트래피킹, 비협조 93 상동체 B1(예쁜꼬마선충), 푸린 펩티다아제, 아스파라긴 엔도펩티다아제
인용: Petes C, Odoardi N 및 Gee K (2017) 인신매매에 대한 통행료: 통행료 유사 수용체 7 엔도솜으로의 전달. 전선. 이뮤놀. 8:1075. 도: 10.3389/fimmu.2017.01075
받은 날짜: 2017년 6월 5일; 수락됨: 2017년 8월 18일;
출판일: 2017년 9월 4일 (목)
편집자:
Janos G. Filep, Université de Montréal, 캐나다
검토자:
Maura Rossetti,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교 Sandra Stephanie Diebold, 킹스 칼리지 런던, 영국
저작권: © 2017 Petes, Odoardi 및 Gee.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라이선스(CC BY)의 조건에 따라 배포되는 오픈 액세스 기사입니다. 다른 포럼에서의 사용, 배포 또는 복제는 원저자 또는 라이선스 제공자가 인정되고 이 저널의 원본 출판물이 승인된 학술 관행에 따라 인용되는 경우에 한해 허용됩니다. 이 약관을 준수하지 않는 사용, 배포 또는 복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대응: 카트리나 지(Katrina Gee), kgee@queensu.ca
면책 조항: 이 기사에 표현된 모든 주장은 전적으로 저자의 주장이며 반드시 소속 조직의 조직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거나 출판사, 편집자 및 검토자의 것입니다. 모든 제품 이 기사에서 평가될 수 있거나 그것에 의해 제기될 수 있는 주장 제조업체는 게시자에 의해 보증되거나 보증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