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인이 헷갈려서 만든 장비 세팅
✓주변의 유저 혹은 카페톡 참고해서 정리하다가 저처럼 필요하신 분이 있을까봐 최대한 보기 쉽게 만든 표입니다.
✓초~중반 유저분들에게 효과적일 수는 있어도 이미 본인의 루트를 확고히 하신 분들에게는 큰 팁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이걸 키워라! 정답은 없습니다 본인이 애정한다면 그 캐릭터를 강하게 만드는 것도 방법입니다.
✓본인의 주딜러의 방향(물딜인지 마딜인지)과 어떤 덱을 짜고 싶은지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습니다.
(+사실 후반 가면 월보 및 시간의제단 때문에 웬만한 캐들을 다 키우게 됩니다! 누구를 우선으로 먼저 키우냐의 차이)
✓이미지 아래 추가 설명은 주변에서 추가적으로 들어오는 팁들을 적어 놓은 것이기 때문에 몇몇 영웅에 대해서 코멘트가 적을 수 있습니다.
✓수정 요청 및 태클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날선 말투보다는 조금만 둥글게 부탁드려요!
✓이 글은 20년 1월 13일 기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마지막 수정일 20년 3월 30일 월요일
+(댓글 제렘님 의견 추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수호형영웅
_수호형은 거의 거를 타선이 없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쓰임새도 조금씩 다르고 누구를 주 딜러로 잡느냐에 따라 덱 구성이 갈립니다.
(아르사드는…쓰시더라도 제일 나중에 정말 나중에…)
*개인적으로 처음에 시작하실 때는 라이언 or 제로 or 아신 으로 시작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혹은 진도 나쁘지 않습니다만 안정적인 애들이 앞에서 말한 세 명이기 때문입니다. (거기다 후반 레이드 가면 좀 이득 보는 영웅들)
-라이언
물딜과 함께 쓰기 좋습니다.
파티원 보호 특화
(피해 감소 50% 에 본인 피통이 짱짱해 좋습니다)
받는 피해 분산 + 피해 감소 + 지속 회복
안정성이 좋아 비빌 때 나쁘지 않지만 실드 깎이면 물몸 (근데 사실 이건 웬만한 모든 탱커의 단점)
라이언의 펫인 몬테로와 함께 쓰면 이속이 증가합니다. (파티스킬 쓰는 만큼의 효과)
*체이서 이후 좀 더 안정성에 힘이 실려 힐러 없이도 듀레에서 활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토템이 본체라는 썰이 있습니다. 그만큼 토템 짱짱)
-진
마딜과 함께 쓰기 좋으며 유사딜러까지 갑니다. (진 + 아신으로 방덱 쓰는 경우도 있음)
특히 소환수 나오는 마딜 (레이 및 마리) 와 쓰기 좋습니다.
2스 강화 시 유사 정화가 가능합니다.
피복을 사용한다는 분도 있었습니다. (후반 레이드)
-로난
대체로 방덱에서 체이서 두르고 나오면 적폐입니다.
무적 스킬로 인해 핑별 몇 개만 달아줘도 차균에서도 쓰입니다.
1스 강화가 아닌 2스 강화 먼저 가시는 분도 있습니다. (혹은 패시브-1스 강화 가시는 분도 있어 본인의 취향에 맞게 혹은 스킬 설명을 읽어보신 후 좀 더 필요한 쪽으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아래 로난 스킬 강화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적어두겠습니다 자세한 수치는 게임 내에서 확인 해주세요.
1스 (소드랜서) 강화 : 피격된 적들에게 물리 공격력의 추가 피해와 함께 7초간 적들의 공격 속도 30% 감소
2스 (매직디펜드) 강화 : 자신 주위로 5초간 유지되는 에너지장 생성, 범위 내 파티원들 생명력 회복량 40% 상승
패시브 강화 : 템페스트 블레이드 생성 (최대 8중첩까지 가능, 물리 공격력 피해를 입히고 적들의 생명력 회복량 최대 40% 까지 감소시킴)
*체이서 이후 무적기가 있긴 하나 모든 파티원 피해 감소를 시켜준다기 보다는 좋은 힐러와 있을 때 시너지가 더욱 좋은 편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파티원 전멸하고 혼자만 살아남은 상황을 목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체이서는 20단계 까지는 찍어야 빛을 본다고 합니다.
-제로
스킬로 인해 피뻥이 되기 때문에 엘리시스와 쓰면 안정성이 좋습니다.
침묵 및 CC기로 인해 대전 방덱 공덱 둘 다 좋습니다.
또한 2스 (프리클 가쉬)가 소환체 제거 효과가 있기 때문에 듀레 냉열이나 그와 비슷한 소환체 다수 맵에서 활약합니다.
(2스를 이용해 듀레 냉열에서 좋습니다)
-아신
물딜과 함께 쓰기 좋습니다.
특이점이라고 하면 2스 (멸쇄장) 에서 공격 피해량을 50% 감소시키는 것 때문에 저각이라도 쓰일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웬만해서는 키워서 가는 게 좀 안정적이긴 합니다)
이번에 나온 월드7 레이드에서 거의 필수
듀레나 레이드 보스에서 막힐 때 사용하면 의외로 잘 뚫립니다.
탱커지만 진처럼 유사딜러로도 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법부여에서 생명력이 아닌 물리공격력으로 넣어서 스피감이 아닌 스피증으로 넣으셔도 괜찮습니다.
-아르사드
차괴 골드 수급에 좋다? 미안하다…
*쿨감= 스킬 재사용 시간 감소
>돌격형영웅
-엘리시스
엘리시스는 깡딜보다는 버퍼입니다. (공속버퍼) 혼자서는 딜 내기 힘들어요.
피해증가를 위해 1스 - 2스 강화를 가시는 분도 있습니다.
(1스 강화 시 피격된 적들이 받는 피해량 30% 증가, 2스 강화 시 적들을 모으면서 공격 취소)
한돌 전 행운, 한돌 후 분노 추천합니다.
한돌 전에는 빛을 보기 힘드니 초반 덱으로 추천하진 않습니다.
(한돌 전에 컨텐츠 못 미는 경우가 생김 그러나 손컨으로 해결하거나 넬리아가 있다면 괜찮을 지도?)
*체이서 있으면 좋지만 필수는 아닌 느낌
-카나반
순간딜 원탑 (리르 체이서 이후 약간 메타에서 밀려남)
세르딘과 함께 쓰신다면 격노도 괜찮습니다.
마법부여의 경우 치명 or 쿨감 or 공속 셋 중 가시면 됩니다.
-지크하트
몹몰이가 꽤 나쁘지 않아 대전 공덱이나 방덱에서 심심찮게 목격되고 있습니다. (벤 안 했다가 떡발리는 경우 종종 있음)
마법부여의 경우 생명력/쿨감/기피증 가시는 분도 있었습니다.
-에델
패시브 강화 시 마공 시너지가 있습니다.
방깎캐릭이며 대전에서 만났을 시 전열 부수기가 종특입니다.
-라스
쉴드무시 스킬이 있는 딜러입니다.
꽤나 딴딴하고 2스 강화 시 소환 몹 제거가 붙습니다.
*체이서 이후 월보 1페 자리를 꿰찼으며 대전에서도 많이 발견 됩니다. 그 외에는 시간의 제단이 있습니다.
-디오
CC기로 떡칠 되어있는 대전공방덱 적폐 중 하나
(CC기 범위가 꽤 되는 편이며 스킬취소로 처음에 캔슬 못 시키면 날아오기 때문에 꽤나 번거롭습니다.)
사실 대전 말고는 크게… (미안하다!!)
*쿨감= 스킬 재사용 시간 감소
>저격형영웅
-루퍼스
평타기반 딜러
패시브가 상당히 좋아서 대전에서 가끔 7~8번에 넣어서 양념딜 좀 쳐서 죽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대전에서 쓸 거 아니면 1스 강화 후 2스 강화를 하는 게 낫습니다.)
(사실 루퍼스가 좀 많이 저무는 상황이라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영웅입니다.)
-리르
단일딜러 (평타 기반)
단일딜 최강 (이었으나 후에 체이서 마리 및 레이에게 자리를 넘겨 주었습니다.) , 6초 후에는 광역딜도 쏠쏠
특히 체이서 20단계 이후 빛과 같은 존재
(특히 듀레에서 계파 할 때 넣으실 거면 최소 17까지는 찍는 걸 추천합니다 분신 잡기 수월)
체력이 약한 건 어쩔 수 없지만 그만한 성능을 냅니다.
*체이서 20단계와 25단계의 차이가 엄청납니다. 하지만 20부터 25까지 재화가 상당히 많이 들기 때문에 20까지는 빠르게 찍으시고 25는 천천히 시간을 두고 찍으시는 걸 추천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멘탈 관리가 어려워요)
*기본 공속 + 격노 + 버퍼 있을 시 공속 맥스에 가까워져 마부에서 공속으로 가지 않고 쿨감을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리르 6초 이후 2스강을 하면 패시브 터지는 장판이 생기는데 이게 중첩이 되기 때문에 스킬을 많이 쓸수록 이득입니다.
그리고 체이서 이후면 스킬을 많이 돌려야 체이서 게이지가 빨리 차기 때문에 쿨감으로 넣었습니다.
-베르너
디오아버지
6초기준 루퍼스보다 딜이 잘 나와서 방덱에 기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한 월보 2페에서도 쓰입니다.
행운 터져서 2스강으로 극딜 뽑아내는 게 가능하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딜을 스카이라이너로 넣는 편입니다.
몹몰이에 쓰기 좋습니다.
-이오
범위형 딜러 (평타 및 패시브)
제일 최근에 나온 영웅입니다 스킬 구성이 대체로 다수딜에 적합하며 기본 공격과 패시브딜이 좋습니다.
스킬 자체는 시너지 버프형에 가깝고 리르와 비슷하게 기본 공격이 좋기 때문에 격노로 주었습니다.
(1스의 파티원 공속 60% 증가, 기본공격 타격판정 횟수 증가, 2스의 최종피해 감소 및 넉백 제거, 보호막 생성과 같은 효과)
탱들이 모아주지 않아도 넓게 딜을 넣을 수 있으며 저격의 단점인 사각지대가 없어 좋습니다.
대체로 모험 및 차균 혹은 시제와 같이 몹들이 많이 나오는 곳에 쓰일 것으로 보여 스타팅 캐릭터로도 나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넬리아 혹은 체이서 리르 키우는 분들이라면 이 두 캐릭터를 먼저 키운 후 이오를 키우시는 게 낫습니다.)
대전에서 린 카운터로도 쓰여질 수 있습니다.
(1스 및 2스가 적의 이로운 효과 해제 공격에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마법형영웅
-넬리아
(개적페) 마딜
단점이 없음 (체이서 이전 기준 리르보다 훨씬 낫습니다)
일단 대전 들어가서 스킬 취소가 가능한 영웅이 있다면 (ex. 제로 1스 or 엘리시스 2스) 스킬 날리고 1스(황혼의 불길) 찍고 2스(황혼의 꽃) 날리면 웬만한 적 삭제
2스 강화 후 1스 강화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취향)
-레이
소환사2
CC기와 회복감소 장판 등등… 꽤나 초반 컨텐츠에 좋습니다.
(후반가면 특정 레이드에서 울어야 할 수도 있음 ex.명계대사 레이드)
2스 강화 후 패시브 강화로 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체이서 이후 엄청 떡상, 체이서 리르 이후 마리와 함께 단일딜러 최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전 공덱에도 넣는 분들이 많이 보입니다.
레이의 체이서 기준, 딜의 대부분은 소환수 데미지, 그 스탯은 레이의 전투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스킬 데미지 증가나 치명 확률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레이 패시브 및 체이서 스킬로 기본 공격이 강화되기 때문에 기본 공격 딜 비중도 높아 기피증 찍는 선택지가 있습니다.
맥렙 기준 쿨감보다는 기피증5 공속5 치명3 특성 찍어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마리
소환사
월보 3페 및 머큐리아에서 자주 쓰입니다.
일반 공격으로 인한 딜링 및 패시브 보다는 체이서 스킬 딜량이 압도적으로 우선입니다.
체이서 이전은 별로지만, 체이서 15단 이상부터 좋아지고, 20단 기준 단일딜 원탑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베이가스
광역딜러
오토보다 손컨이 월등하게 효과가 좋습니다.
대체로 2스(다크프랜지) 사용 후 1스(다크 홀) 사용하는 방식
몹몰이에 좋습니다 (dps의 신)
-아르메
광역딜러
에이미와 시너지가 좋습니다.
(주로 sp 수급이 중요)
순간딜 집중이 높습니다.
(블리자드만 계속 쓰기 보다는 블리자드 한 번 쓰고 메테오로 딜을 넣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가이안
캐스팅 속도 영향 받는 애라는 것 말고는 정보가 없다!
(미안하다!!)
*쿨감= 스킬 재사용 시간 감소
>치유형영웅
-그랑디엘
sp수급 특화 즉사 방지
가장 높은 힐량 보유
궁은 공속 및 쿨타임용이지만 기본적으로 스킬에 sp회복이 있어 sp 수급 자체는 에이미보다 빠릅니다.
치유구슬 자체가 영웅을 따라다니기 때문에 좀 더 돌진형 탱커나 딜러에게 힐을 주기 쉽습니다.
현재 월보 메타가 바뀌어 세르딘을 대신해 많이 넣는 편입니다.
-라임
정화 특화
쉴드 및 정화가 쓸만합니다.
웬만한 컨텐츠 전부 사용 가능
(특히 대전 린라임 개빡칩니다.)
좀 더 딴딴한 라임을 위해 마법부여 생명력/쿨감/스피감을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린
디버프 특화 대전 깡패 (6초 기준)
대전 및 차균에서도 종종 쓰입니다 2한돌 후 린라임이 대전에서 나온다면 GG치고 나오는 게 빠를 수도 있습니다.
힐량은 적은 편이지만 버프 해제가 뛰어나 모든 탱커 카운터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특히 진)
쉴드 때문에 거슬리는 레이드나 컨텐츠가 있다면 유용합니다.
-세르딘
물딜과 함께 쓰기 좋습니다.
미묘하게 서브딜러로 활용 가능합니다.
(생각보다 힐러치고 딜이 잘 나오나 힐링에서는 떨어집니다 죽기 직전 힐링 해주는 경우가 잦음)
특히 리르와 함께 쓰면 좋습니다.
월보 1페 엘리 카나반 리르 세르딘으로 쓰시는 분들이 있어 월보 딜을 좀 더 우선시할 경우 격노도 괜찮습니다.
(격노로 카나반과 함께 덱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음)
딴딴하기 위해 마법부여에서 생명력/쿨감/스피감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에이미
sp수급 특화
궁쓰면 스킬 터지는 뽕이 엄청납니다.
솔직히 궁에서는 따라올 만한 게 없어요 범용성도 좋습니다.
그랑디엘 상향 후 힐량은 밀리지만 그래도 짱짱
힐량을 중시하면 열정, sp수급을 중시하면 격노를 끼면 됩니다.
(에이미는 장비 4세트로 크게 이득 보는 것이 없기 때문에 열정2셋 격노2셋으로 간다고 합니다)
귀걸이의 경우 쿨감이 아닌 공속으로 맞추셔도 무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