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을 숭배하는 현대인들이 너무나 많다. 좀더 많은 양의 단백질을 섭취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전설을 믿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이 있다.
근육, 피부, 머리카락, 손톱, 엔자임, 눈, 홀몬, 이 모든 것들의 주요 성분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단백질은 몸안에 들어온 외적과 싸우는 항체를 형성하는데에도 필수적인 물질이며, 몸의 조직을 만들고 고치며, 어떤 기능을 유지하는데에도 꼭 있어야 한다. 단백질의 구성 인자인 아미노산의 적당한 균형은 체액(body fluid)과 소금의 균형, 산(acid-base)의 균형을 조절해주며, 필요로 하는 엔자임과 홀몬 그리고 헤모글로빈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단백질은 거의 모든 세포의 주성분이다. 단백질에 대해서 이러한 소개를 들으면, 단백질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단백질은 중요한? 물론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것도 너무 많으면 해가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단백질, 생명체를 위한 건축 자재 단백질은 모든 사람들의 식사에서 빠져서는 안 되는 아미노산이라고 불리우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단백질은 수분 다음으로 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아미노산에는 23종류가 있는데, 그중에서 반 이상은 체내에서 스스로 만들어 지며, 나머지 8가지는 반드시 음식이 소화 흡수됨으로써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필수 아미노산이라고 불리워진다. 모든 음식 속에는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8가지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식품은 극소수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식품에는 몇가지를 포함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단순하게 준비된 음식을 일주일 동안 다양하게 섭취해야만 필요한 단백질을 모두 공급받을 수 있다.
단백질의 필요량 단백질의 필요량은 사람의 성장률에 따라서 달라진다. 신체의 성장은 항상 계속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몸이 필요로 하는 단백질의 양도 계속적으로 증가되지 않는다. 사람은 태어나서 첫 일년동안 빨리 성장하다가 점차로 느려지며, 청소년기가 되면 다시 빠르게 성장한다. 이렇게 빨리 성장하는 시기에는 신체가 필요로 하는 단백질의 양도 증가된다. 성인이 되면, 단백질의 필요량도 감소되며, 기본적으로 신체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양만큼만 단백질을 공급하면 된다. 모든 동물은 각기 다른 성장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물의 젖에는 각기 다른 양의 단백질이 아래와 같이 함유되어 있다:
#. 사람은 생후 180일 동안에 체중이 두배로 증가된다. #. 사람과 다른 포유동물과 비교하여 볼 때, 사람의 모유에는 가장 적은 양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신생아가 먹는 모유의 단백질 함유율은 약 1.4%에 불과하다. #. 말은 생후 첫 60일 동안에 무게가 두배로 증가된다. #. 암말의 젖의 단백질 함유율은 약 2% 이다. #. 고양이는 생후 7일 동안에 무게가 2배로 증가된다. #. 고양이의 젖의 단백질 함유율은 약 9.5% 이다.
단백질의 필요량은 나이, 각 개인의 영양 상태, 스트레스와 건강 상태 등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얼마나 많은 단백질이 필요합니까? 단백질의 필요량(100g 이상)에 대한 기존의 상식은 너무나 오래된 것이기 때문에, 이제는 재고되어야만 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최근의 보고서에는 단백질의 섭취량이 섭취된 총칼로리의 10%정도 이어야 한다는 글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대략 40-60g 정도의 단백질을 의미한다. 다음에 나오는 챠트는 전형적인 서구식 식사 스타일에서 섭취되는 단백질의 양을 나타내고 있다.
아침식사
수량
단백질량(g)
계란
2개
12
우유
1컵
8
빵
1조각
3
베이컨
3개
6
29
점심식사
수량
단백질량(g)
소고기
3 x 5/8인치
21
패디
1
4
흰빵
1조각
6
치즈
1컵
28
커리즈
밀크세이크-바닐라
11
70
단백질의 총섭취량
99
아침과 점심식사에서 이미 하루에 필요한 단백질의 양을 훨씬 초과하였음을 보여준다. 여기에 각종 간식과 가장 기름지고 많이 먹게 되는 저녁식사, 그리고 밤늦게까지 텔레비젼을 보면서 먹게 되는 밤참을 합치면, 단백질의 양은 엄청나게 필요량을 초과하게 된다. 음식을 엄격하게 조절하지 않을 경우, 단백질의 섭취량이 얼마나 쉽게 증가되어 나가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가?
초과된 단백질이 주는 피해 단백질을 계속해서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섭취할 경우, 우리 몸은 다음과 같이 엄청난 생리학적 피해를 보게 된다:
1. 초과로 섭취된 단백질은 간에서 BUN으로 전환되는데, 이것은 콩팥으로 하여금 수분을 몸밖으로 배출시키는 이뇨작용의 부담을 추가로 준다. 여분의 단백질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을 배출시키는 데에는 탄수화물이나 지방의 부산물보다 7배나 많은 수분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고단백질 음식을 선호하는 사람의 콩팥이 더 빨리 파괴되는 경향이 있다.
2. 탈수 현상으로 인한 수분의 불균형 상태를 초래한다.
3. 비타민 B6의 필요량이 증대된다.
4. 신체 기관들이 과로하게 되어서, 생명이 단축된다.
5. 신체의 비만을 가져온다.
6. 심장 질환과 암의 가능성이 크게 증대된다.
7. 신체가 더 많은 양의 칼슘을 필요로 하게 된다.
8. 당뇨병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이미 발병한 당뇨병은 더욱 악화된다.
과도한 지방의 섭취는 대부분의 경우에 과도한 단백질의 섭취를 동반하게 되는데, 이것은 위암이나 장의 질병을 야기시킨다. 식생활은 반드시 절제와 균형의 원칙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고단백질 식사를 피해야하는 이유 인간의 몸은 생리학적으로나 해부학적으로 고단백질 식생활을 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다. 일반적인 상식과는 위배되는 말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육식은 인간의 몸에 부적당한 것이다. 육식동물의 짧은 소화기관과 비교하여 볼 때, 인간의 소화기관은 대부분의 초식동물과 같이 매우 긴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육식동물의 소화기관은 고기를 짧은 시간 내에 처리하여 여러가지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만들어진 반면에, 인간의 소화기관은 음식물이 시간을 두고 천천히 소화기관을 통과함으로써, 영양분의 흡수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다.
그러나 고기나 여분의 단백질이 소화기관 안에 오랜 시간 동안 머물러 있으면, 내장(colon)에 나쁜 박테리아가 번성하게 됨에 따라서 각종 질병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음식이 적당하게 소화되고 처리되지 않으면, 장에서 음식의 부패가 진행되게 된다. 과일이나 채소가 정상적으로 소화되고 장을 통과하는 시간은 약 10-15시간이다. 그러나 고기와 지방이 완전하게 장을 통과되는 시간은 36시간까지 걸린다. 육식가들에게 각종 소화기 질병이나 위암이 보다 쉽게 발병되는 이유가 이해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