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망인이 꽃의 향을 맡을 수 있도록 꽃봉우리가 망인의 영정을 향하도록 두어야 한다는 의견.
② 고인이 생전에 꽃을 받을 때와 마찬가지로 꽃봉우리가 헌화하는 사람쪽을 향하도록 두어야 한다는의견.
따라서 헌화의 방향에 대해서 어느 것이 옳다라고 판단하기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조문시에 나보다 먼저 헌화한 사람들의 헌화 방향을 보고 그에 따르거나, 고인을 생각하며위의 두가지 방법중 자신이 바라는 뜻을 담아 헌화를 하시는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례식에 흰 국화를 쓰는 까닭은
장례식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꽃이 흰 국화다. 고인의 명복을 비는 경건한 자리에 수많은 꽃 가운데 유독 국화가 헌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장례식에 국화꽃이 사용된 것은 100여년 전 구한말 개화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교문화가 지배하던 당시엔 장례식에 꽃이 아니라 향을 피우며 명복을 빌었다. 하지만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서구문화가 유입되면서 흰 국화와 검은색 상복이 장례식장에 등장했다. 서양에선 국화가 '고결''엄숙'을,검정색은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장례식에 국화를 사용하는 이유는 국화가 죽음을 기리는 뜻도있고 꽃말도 고결과 정조로 장례식과 어울리만한 꽃말이라 그런것 같다.이는 유럽지역에서 먼저 유래 된 것인데 유럽지역에서는 국화가 죽음을 뜻한다 서양에서 국화를 저승에가서는 평화롭게 쉬기를 바라 마음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동서양을 막론하고 국화는 순결과 죽음 고결 뜻으로 통하는 것 같다
장희주 한국화훼협회 회장은 "개화기 이후 서구 기독교 문화가 들어와 복식 간소화 등 실용적인 장례문화가 시작됐다"며 "흰색 상복과 삼베옷을 입는 한국 전통 장례문화에 어울리는 흰 꽃은 국화밖에 없어 조화로 사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장례식에 국화를 사용하는 관습은 4만년 전 구석기 시대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1979년 충북 청원군 두루봉에서 구석기 동굴인 '홍수굴'이 발견됐다. 당시 동굴에선 다섯 살배기 어린 아이 유골도 함께 출토됐는데 유골 위에 고운 흙이 뿌려져 있었고 그 흙 속에서 국화꽃 가루가 나왔다고 한다.
발굴에 참가한 고고학자들은 "당시 구석기인들의 식생활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며 "구석기 시대 유골에서 국화과 · 십자화과 · 운향과 · 명아주과의 열매와 씨앗이 종종 발견되는데 평소 그들이 먹다 남긴 꽃씨를 유골에 뿌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4만년 전 이야기지만 고인이 즐겨 먹던 음식을 같이 놓아주며 안락한 사후세계를 믿었던 것이다.
국화의 꽃말은 청순, 정조, 평화, 절개, 고결을 상징하며,특히 백색의 국화는 성실, 진실, 감사라는 뜻이 있습니다.그래서 경건하고 엄숙한 장례식장에서는 흰국화을 사용하며간혹 장례식장 입구에 세워진 근조화환에는 흰색과 노란색이 섞여있는 것을볼수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흰색을 좀더 경건하게 생각하고있습니다.참고로 국화중 원색인 황색은 실망, 짝사랑이라는 뜻이,적색은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라는 꽃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