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실천연합에서 파견된 강사의 설명과 함께 화재 종류에 따라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자료를 통해 교육받았다.
콘센트 화재는 콘센트 내부에 쌓인 먼지와 장마철 습기가 만나게 되면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가스 화재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바르게 알아보고 알루미늄 포일 감은 석쇠, 삼발이보다 넓은 조리기구, 화기 주변에 부탄 캔 두기 등의 위험한 도구 사용 및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주방에서 기름 화재 발생 시 물을 사용하여 끄려고 하지 말고 뚜껑이나 채소로 덮어 소화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화재 시 호루라기, 냄비, 비상벨처럼 시끄럽게 소리 나는 것으로 주위에 위험 상황을 알리고, 비상 대피로를 따라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하며, 연기로 시야 확보가 힘든 상황에서 벽을 치며 입구를 찾도록 교육하였다.
연기는 위로 올라가기에 낮은 자세를 유지하여 물에 적신 옷이나 수건으로 코와 입을 가리고 대피하며, 연기를 마시면 건강상 피해가 크므로 물이 없으면 본인의 침이라도 뱉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옷을 입은 몸에 불이 붙었을 때 다른 사람이 옷으로 불을 끄려고 하기보다 스스로 얼굴을 감싸고 데굴데굴 구르는 것이 더 효율적임을 교육 영상을 통해 이해하였다.
다양한 화재 종류에 따른 올바른 대응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해한 뒤 소화기 사용법에 대해 교육받았다.
손잡이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핀을 먼저 뽑고 호스를 불이 난 쪽을 향하게 하여 손잡이를 누르면 소화기 내의 분말이 발사된다.
강사와 함께 교육받은 내용을 한 번 더 정리한 뒤 교육을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