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대 만석군
9대 진사를 배출한
조선 최고 부잣집의 철학과 경륜"
"경주(9) 최 부잣집 이야기..,"
"우리에게도 나눔의 역사는 면면히 흐르고 있습니다.
*경주 최부자* 가문은 17세기 이후 무려 10대, 300년에 걸쳐 큰 재산을
유지하면서 아낌없이 베풀었습니다. 백성 대부분이 가난하던 시절에 *사방 100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는 가르침을 가훈(家訓)으로 삼았습니다. 그들은 권력을 멀리했고
검소하게 살며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습니다. 최부자 가문은 항일운동과 교육 사업에
전 재산을 바치는 것으로 기나긴 *부(富)* 의 세습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충의공원~~충의당 표지석)
"충의당(忠義堂)은 경주시 변두리 내남면 이조리에 자리하고 있는 고택으로
경주 최 부잣집 1대 시조가 생활하던 곳이며, 고택 주위에는 공원(충의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경주 최 부잣집의 시작~~최 부잣집의 파시조(派始祖)이자 13대조인 최진립(崔震立)
장군의 이야기가 남아 있는충의당(忠義堂)과 충의공원
그리고 장군이 생활하던 살림집이 있는 곳입니다."
(충의당 : 忠義堂 대문)~경북 민속문화재
(충의당 : 忠義堂)
(사당~충렬사 : 祠堂~忠烈祠)
(안채~잠와고택 : 蠶窩古宅)
(경모각 : 景慕閣)
(충의당 정원)
(최진립 장군 상과 결의비)
"충의공원에 자리하고 있는 동상(銅像)과 비(碑)입니다.
*내 비록 늙어 잘 싸우지는 못할지언정 싸우다가 죽지도 못하겠는가.* 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습니다."
(정무공 최진립 장군 상 : 貞武公 崔震立 將軍 像)
(최진립 장군의 일대기를 설명한 부조)
(전시되어 있는 서예작품)
(활인당 : 活人堂)
"최 부잣집의 가훈에 있는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는 말과 같이
과객은 길가는 손님을 말하며, 그 과객들에게 무료로 숙식(宿食)을 제공했다고 합니다.
"최 부잣집이 이곳에서 경주 시내 *교촌(교동)* 으로 이사한 후에도
가난을 도와주는 *활인당* 의 역활은 계속 되었다고 합니다."
(경주 용산서원 : 龍山書院)~경북 기념물
"충의당(忠意堂)에서 가까운 거리에 최진립(崔震立 : 1568~1636) 장군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용산서원(龍山書院)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청풍루 : 淸風樓)
(용산서원 강당 : 龍山書院 講堂)
(경주 최진립 신도비 : 崔震立 神道碑)~경북 유형문화재
"이 신도비각은 용산서원 앞 언덕에 세워져 있으며,
비각 안의 신도비에는 최진립 장군의 내력이 적혀 있습니다."
(경주 보문호관광단지)
(경주 최 부잣집 전경)~국가민속문화재 제27호
"경주의 만석지기 최 부잣집은 12대(代) 300년간 쌓아온 *부(富)* 를
사회에 내놓은 *명부(名富)* 입니다. 경주시 교동(교촌) 68번지 고택(古宅)은
평일에도 부자의 기(氣)를 느껴보려는 관광객들로 붐볐습니다."
(최 부잣집 대문)
"보통 최 부자 가문은 1대 최진립(崔震立 : 1568~1636)부터
12대 최준(崔浚 : 1884~1970)까지 12대를 가르킵니다."
(문 간 채)
(최 부잣집 사랑채)
"최 부잣집 마당으로 들어가 사랑채에 놓여 있는 화강암 주춧돌과
그 위에 날아갈 듯 지으진 기와집을 바라보니 격조와 품격이 느껴지는 건물이었습니다."
"사랑채에 올라가는 계단과 둥그스럼한 기둥 받침대가 모두 붉은 색이 약간 감도는
경주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마치 큰 절터나 궁터를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원래 이 집은 아흔아홉칸에 부지 2000평, 1만여 평의 후원까지 있었다고 하며,
이 집에 살던 노비만도 100여 명이 되었다고 합니다."
(최 부잣집 곳간)
"700~800석의 쌀을 저장할 수 있는 현존하는 한국 최대의 쌀 창고이며,
만석군 최 부잣집의 명성을 전해주는 유물입니다."
(곳간 앞에 놓여 있는 쌀통 이야기)
(최 부잣집이 있게한 육훈(가훈) : 六訓)
(안채로 들어가는 문)
(최 부잣집 딸들의 친정 나들이 사진)
"요즘 T V(유투부) 에도 많이 나오는 최 부잣집 딸들 사진입니다.
오른쪽 최 부잣집의 큰손녀 *최희* 할머니는 거창 동계 정온 선생 14대 종부이며,
왼쪽 최 부잣집의 작은손녀 *최 소희* 할머니는 하회마을 서애 류성룡 선생 14대 종부입니다."
(안채 모습)
~~~(경주 최 부잣집의 육훈 : 六訓)~~~
~~첫째,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 벼슬은 하지마라~~
"이는 한 마디로 정쟁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서 이며, 조선시대와 같은 신분사회에서는 품위를
지키기 위해서 최소한 진사 정도는 유지하고 있어야 했습니다. 특히 벼슬이 높아질수록 감옥이
가까워진다는 속담처럼 당쟁에 휩쓸리기 쉬웠습니다. 벼슬의 종착역이 과연 어디까지인지를 끝까지
꿰뚫어본 데서 나온 통찰력의 산물이 *진사 이상 하지 말라* 입니다."
~~둘째, 만석 이상의 재산은 사회에 환원하라.~~
"만석은 쌀 1만 가마니에 해당하는 재산인데, 이 이상은 더 재산을 불리지 말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최 부잣집은 만석 이상의 재산은 사회에 환원했습니다. 환원 방법은 소작료를 낮추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소작료는 대체적으로 수확량의 7~8할 정도 받는 것이 관례였는데, 최 부잣집은 5할 정도 받았다고
합니다. 그 이상 받으면 재산이 만석 이상이기 때문 이었다고 합니다."
~~셋째,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대청 위 선반의 소반(작은상)들은 과객들을 위한 밥상입니다.*
"어느 정도 후하게 대접했는지 보며는~최 부잣집 1년 소작 수입은 쌀 3천 석 정도였는데 이 가운데
1천 석은 가용으로 쓰고, 1천 석은 과객 접대 하는데 사용 하였고, 나머지 1천 석은 주변 지역의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는 데 썼다고 합니다. 과객 접대 하는데 1천 석을 썼다는 것은 큰 액수입니다."
~~넷째, 흉년기에는 땅을 늘리지 말라.~~
"조선 시대에는 흉년이 들어서 아사 직전의 상황에 직면하면 쌀 한 말이라는 헐값에 논 한 마지기를
넘기기도 하였다고 합니다.우선 당장 먹어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은니까 논값을 제대로 따질 겨를이
없었던 것입니다. 이때 이땅을 사지 말라는 것입니다."
~~다섯째, 주변 100리 안에 굶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
"주변(사방) 10리라고 하면 동으로는 경주 동해안 일대에서 서로는 영천까지이고,
남쪽으로는 울산이고 북으로는 포항까지 영역입니다. 주변에 굶어 죽고 있는 상황인데
나 혼자 만석이면 무슨 의미가 있느냐. 이는 부자 양반의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여섯째, 최씨 가문에 시집온 며느리들은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
"재산 관리의 상당 부분을 여자가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실제 집안 살림을 담당하는
여자들의 절약 정신이 중요했던 것입니다. 보릿고개 때는 집안 식구들도 쌀밥을 먹지 못하게 했습니다.
과객 접대에는 후했지만, 집안 내부 살림에는 후하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이 여섯가지 원칙이 최 부잣집 제가(齊家)철학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최 부잣집 사당 : 祠堂)
(최 부잣집 연륜의 상징 고목 한 그루)
~~~최 부잣집 집터는 ?~~~
"원래 최 부잣집 집터는 신라의 요석공주가 살던 요석궁터라고 전해지고 있는데,
최 부잣집이 요석궁터에 들어와 집을 짓고 자리를 잡은 시기는 현재 장손인 최염(최염) 씨의
7대조에 해당하는 최연경(崔彦璥 : 1743~1804) 부터니까 대략 200년 전부터 여기에 산 것입니다."
(최 부잣집 앞을 흐르는 문천 : 汶川)
"최 부잣집을 남쪽으로 나서면 바로 앞에 큰 강이 나타나는데, 바로 문천(汶川) 입니다.
이 강은 동쪽 토함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른다고 하여 *남천(南川) 또는 문천(汶川)이라 부릅니다.
이 강(옛날에는 작은 시내)에서 원효대사와 요석공주의 로맨스가 시작된 곳이기도 합니다."
(문천변에서 바라본 월정교)
"지금의 최 부잣집이 자리하고 있는 요석궁은 원효대사와 요석공주의 로맨스가 어린 곳으로
유명합니다. 최 부잣집 앞 문천(汶川) 돌다리에서 일어난 사건이 인연이 되어 원효대사가 요석궁에
머물게 되면서 공주는 임신을 하여 설총(薛聰)나았습니다. 그러니까 최 부잣집은 원효대사의 아들인
설총의 임신지(姙娠地) 이며 출생지라고 봐야 합니다.
설총(薛聰)이 누구인가~~신라의 대학자로서 이두문자(吏頭文字)의 창시자가 아니던가.
이 집터에서 설총이 배출되었습니다."
"최 부잣집 가까운 곳에 교촌홍보관이 자리하고 있으며 홍보관 안의 전시실에는
최 부잣집의 내력 등이 잘 전시되어 있습니다."
(최진립 초상 : 崔震立 肖像)
(월정교 : 月精橋)
" 이 문천(汶川) 돌다리에서 원효대사와 요석공주의 인연이 맺어졌기 때문에
월정교를 만들의 역사적 의미를 관광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다리입니다."
(월정교에서 바라본 교촌)
(월정교에서 바라본 문천)
"청 풍 명 월~~경주 최 부잣집 이야기.........................................................................,끝"
~~~(경북 경주시 : 慶州市) 이야기~~~
***(카페 전체 메뉴판)**(참고)
(가연님들의 이야기~산행과 여행정보)
*경주(1) : 경주 양동마을 (2015, 7, 28~카페 올린날)
*경주(2) : 불 국 사 (석굴암 등 : 2016, 5, 30~카페 올린날)
*경주(3) : 경주 역사유적지구 (대원릉, 첨성대, 안압지 등 : 2016, 6, 19~카페 올린날)
*경주(4) : 동해안 7번 국도 (읍천항 주상절리, 문무대왕릉 등 : 2017, 5, 24~카페 올린날)
*경주(5) : 국립경주박물관 (진평왕릉, 능지탑, 선덕여왕릉, 포석정 등 : 2019, 9, 14~카페 올린날)
*경주(6) : 통 일 전 (서출지 등 : 2020, 8, 11~카페 올린날)
*경주(7) : 옥산서원 (회재 이언적 고택, 정혜사지13층탑 등 : 2021, 7, 31~카페 올린날)
*경주(8) : 왕릉 탐방 (김유신 장군 묘, 무열왕릉, 오릉 등 : 2022, 9, 4~카페 올린날)
*경주(9) : 경주 최 부잣집 (충의당, 용산서원, 월정교 등 : 2023, 3, 21~카페 올린날)
*경주(10) : 골굴사 탐방 (2025, 1, 29~카페 올린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