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부활 체험 : 일상에서의 ‘작은 부활’
내 자신의 부활 체험에 대해 써달라는 원고 청탁을 얼떨결에 수락해 놓고 막상 글을 쓰자니 막막한 생각이 들었다. 부활은 죽음을 전제로 하는 것인데, 내 스스로 죽어보지도 않고서 어떻게 내 자신의 부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까? 이런저런 궁리 끝에 죽음은 꼭 육체적인 생명의 종결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생각의 실마리를 찾게 되었다.
본래 죽음은 숨이 끊어지고 육체적 활동이 모두 중단되는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다른 차원의 죽음, 이를테면 정신적?영적인 죽음도 있다. 모든 희망을 잃고 아무런 의욕도 없이 무감각하게 지내거나 마음에 큰 상처를 입고서 미움과 증오 속에서 산다면, 이는 정신적인 죽음이라고 하겠다. 또는 많은 잘못을 범하고서 하느님과 이웃을 향한 마음의 문을 닫고 자신 안에 고립되어 산다면 이는 일종의 영적인 죽음이다.
만일 이런 정신적 영적 죽음을 극복하고 다시 새롭게 살게 되었다면, 이미 이 세상에서 부활을 체험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부활은 세상 종말에 있을 궁극적인 부활과 같은 차원이 아니라 “우리의 비천한 몸이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몸과 같은 형상으로 변화”(필립 3,21)되는 본래적인 부활을 미리 조금 맛보는 것일 뿐이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의 ‘작은 부활’ 체험을 통해 마지막 날에 있게 될 궁극적인 부활을 어렴풋하게나마 추측하면서, 그 마지막 날을 두려움이 아닌 희망으로 기다릴 수 있을 것이다.
살아오면서 내 스스로 체험했거나 사목생활을 하면서 간접적으로 경험한 ‘작은 부활’에 대해 몇 가지 소개해 본다.
단절된 인간관계를 회복하다
바오로 사도는, 하느님은 “죽은 자를 살리시고 없는 것을 있게 만드시는”(로마 4,17) 분이라고 고백하면서 그리스도의 부활을 하느님의 창조사업과 연관시켜서 설명하였다. 곧 부활은 무(無)에서 유(有)를 불러내시는 전능하신 창조주 하느님의 새로운 창조 행동이라는 것이다. 죽음은 모든 것을 ‘무’로 돌리는 세력으로서, 예수님의 사명 전체를 ‘무’로 돌리려고 했지만, 하느님은 예수님을 부활시키심으로써 죽음의 세력을 꺾으신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삶 속에서 모든 것을 ‘무’로 돌리려는 죽음의 세력이 여기저기에서 도사리고 있어 우리를 괴롭히고 있다. 하지만 예수님을 죽음에서 부활시키신 능력의 하느님은 이런 죽음과 ‘무’의 세력과 맞서 싸우신다. 바꾸어 말하면 죽음과 ‘무’의 세력이 극복된 곳에서 우리는 ‘작은 부활’을 체험하게 된다.
오래 전 유럽 유학시절에 겪었던 일이다. 유학생활의 마지막에는 남자 수도원에서 방을 하나 얻어 지냈다. 별일이 없는 한, 수도원의 일과표에 따라 기도와 미사, 식사를 함께 하였다. 그러다 보니 자연 그곳 수사들과도 친해져서 서로 농담까지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어느 날, 그동안 비교적 친하게 지내던 수사 신부가 나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내 독일어 발음이 잘못되었다고 지적을 해주는 것이었다. ‘네가 독일어를 한 지가 벌써 몇 년이 되었는데, 그런 것도 틀리느냐?’는 약간의 비웃음이 곁들인 지적이었다. 그 순간 모욕을 당했다는 느낌과 함께 그 신부에 대한 미운 감정이 솟아올랐다.
그런데 문제는 그 미운 감정이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기는커녕 점점 더 강해지는 것이었다. 그 신부와 대화는 물론 시선조차도 마주치기가 싫었다. 작은 일에 내가 이래서는 안 되지 하면서 마음을 다잡고 기도 가운데 하느님께 도움을 청해도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한 집에서 매일 마주치는 사람에 대해 미운 감정을 갖고 살자니 우선 내가 불편해서 견디기 어려웠다.
그러던 어느 날 수도원 아침 미사 때 그 신부도 함께 참석한 가운데 하느님께 마음을 모아서 청했다. ‘하느님, 제 힘으로는 도저히 안 되니 이제는 당신께서 어떻게 좀 해주십시오.’ 신기하게도 이 미사 후에 그 신부에 대한 미운 감정이 눈 녹듯이 사라졌고, 다시 이전처럼 그와 대화도 나누고 농담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거의 단절되다시피 한 인간관계가 다시 이어지는 체험을 통해 소박하게나마 부활이 무엇인지를 느낄 수 있었다. 죽음은 모든 것을 ‘무’로 돌리는 세력이고, 돈독했던 인간관계가 끊어진 곳에는 분명히 죽음의 세력이 활동한다고 하겠다. 그런데 단절된 인간관계가 다시 이어졌다면, 모든 것을 ‘무’로 돌리는 죽음의 세력이 극복된 것이고, 바로 여기서 죽음을 넘어선 부활이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사목, 2004년 4월호, 손희송(가톨릭대학교 교수,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