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는 아니지만 / 장전 하남호의 부식강상
1986년도 가을이었던 것 같다.
국립광주박물관에 근무하는 후배를 찾아갔는데, 저녁엔 허름한 식당엘 찾아들었다.
음식이 나오기 전에 주변을 두리번거리니 구석 벽에 액자가 하나 걸려있었다.
耕雲釣月(경운조월)
구름을 갈아 달을 낚는다는 건데
아, 바로 이거다.
그래서 아무소리 안 하고 빈대떡에 막걸리에 저녁을 거나하게 마시고 먹고 나오다가
주인장에게 물었다.
"저거 저에게 주실 수 있나요?"
"아이구, 집 팔아도 안 됩니다."
잘 쓴 글씨인지, 누가 쓴 건지는 잘 모르지만, 마음에 딱 드는 액자였는데...
구름은 갈아도 거두는 게 없고, 달은 낚아도 들어 올리는 게 없다.
이런 뜻도 되지만...
구름 낀 들판에서 밭을 갈고, 달빛 아래서 낚시를 한다.
뭐 이런 뜻도 있지 아니한가.
세상사람들은 밭을 갈지만 신선은 구름을 간다.
세상사람들은 물고기를 낚지만 신선은 달을 낚는다.
이런 뜻도 있을 테고...
그래서 나오면서 입맛만 다셨더니
그러지 말고 호남에서 서예의 대부라는 분을 만나뵈러 가자는 거였다.
그분은 바로 장전 하남호 선생이었는데
이튿날 뵙고 글을 하나 받아왔으니 그게 바로
扶植綱常(부식강상), 즉 삼강오상, 바로 삼강오륜을 잘 지키라는 글이었다.
장전선생은 그로부터 3년 뒤인 1989년도 겨울, 진도에 장전미술관을 세워 널리 알려졌고
나는 네 글자를 받아와 거실 벽면에 걸어놓고 가훈이라고 치부하고 있다.
원래 시골집에 걸어둔 액자는 慈眼視衆(자안시중) 이었는데
그건 어느 스님이 써준 불교의 분위기가 나는 액자였다.
그 뒤에 서울에 살림을 차렸을 땐 아이들 보라고 경천애인을 걸어뒀으니
이건 단군사상과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었지만
유교사상이 배인 장전선생의 글 아래에서 두 아이 키워 결혼시키고, 부모님도 돌아가셨다.
허나 지금은 그저 형식적으로 위에 걸려있을 뿐이요
그 아래 작은 글자로 된 기소불욕 물시어인
즉 내가 싫어하는 건 남에게도 하지 말라는 논어의 한 구절을 품고 살아가지만
그래도 그냥 걸어 놓고 있을 뿐이다.
첫댓글 오늘 아침 자꾸 눈물이 나네요.
이글을 읽으니 또 눈물이...
선조들의 교훈이 참 귀하네요.
오잉? 눈물씩이나요?
그건 마음의 정화인데~
죄가 많으면 실컷 울어버리면 되고
기쁘면 눈물에 웃음을 실으면 되고..
慈眼視衆은 방장님께 드리세요 ㅎ
그거 시골 가재도구 모두 아우에게 물려줬더니
양돈하는 사람에게 다 팔아먹데요.
양돈하는 이는 도자로 다 밀어버리더니 축사를 짓데요 글쎄.
으이구우..
@석촌
제 말은 뜻만 전하시라는... ㅎ
@호 태 그여인 눈물이 많은 자안다누 이던데요 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