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16일 국내 개봉한 월트디즈니의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이 2월 12일 현재 누적 관객수 800만명을 넘었다. 이날까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기준으로 812만4132명을 기록했다. 한국 영화 애니메이션 전체 시장의 역대 관객수에서 3위에 올랐다. 기존 3위였던 ‘트랜스포머 3’(778만명)를 거뜬히 눌렀다. 지금 추세라면 역대 2위인 ‘아이언맨 3’(900만명)를 제치는 건 물론 1위인 ‘아바타’(1362만명)의 아성에도 도전할 것으로 관측된다. 영어 원제가 ‘프로즌(Frozen)’인 이 영화는 1억5000만 달러의 제작비를 들인 블록버스터다. 지난해 11월24일 미국 시장에서 개봉한 지 1개월이 조금 넘은 1월 초 제작비의 두 배 수준인 3억 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2월 9일까지 수입이 3억6867만8000달러를 넘어섰다. 엔터테인먼트 경영에서 능력 인정 받아 성공의 뒤에 밥 아이거(63) 월트디즈니 회장 겸 CEO가 있다. 2000년 사장, 2005년 CEO에 오른 아이거는 그동안 디즈니의 혁신을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시대에 맞춰 현실성과 진정성이 느껴지는 스토리와 개성이 강한 강렬한 캐릭터, 거기에 디지털과의 과감한 결합을 통해 새로운 작품을 시도했다. 이런 장기적인 혁신과 과감한 체질 개선의 결과가 이번 ‘겨울왕국’의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겨울왕국’의 줄거리를 살펴보면 디즈니 장르 애니메이션의 확연한 변화를 느낄 수 있다. 공주 이야기를 소재로 한 것은 이전과 일맥상통하긴 하다. 디즈니는 세계 최초의 장편 애니메이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1937년) 이래 공주를 주인공으로 다룬 영화를 전매특허처럼 줄이어 내놓은 게 사실이다. ‘인어공주’(1989년), ‘미녀와 야수’(1991년) 등으로 전성기를 이뤘으며 ‘공주와 개구리’(2010년), 3차원(D) 작품인 ‘라푼젤’(2011년) 등도 그 전통을 이었다. 하지만 ‘겨울왕국’은 ‘공주와 왕자가 만나 행복하게 살았어요’라는 기존의 상투적인 줄거리와 결말에서 벗어났다. 대신 완전히 새롭고 현대적인 공주 이야기를 펼친다. 공주라기보다 젊은 여성들의 성장과 연대의 스토리다. 관객이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고 싶을 정도로 개성 있고 호감이 가며 현실성 있는 캐릭터들이 공감이 가는 이야기를 펼친다. 관객들은 그러면서 나의 이야기라는 느낌이 들게 된다. 나와는 상관없는 허황된 이야기라는 디즈니의 고전적인 캐릭터와는 영 딴판이다. 줄거리는 안데르센의 동화 『눈의 여왕』을 모티프로 삼았다. 하지만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캐릭터의 특성에 맞춰 현실성 있게 확 바꿨다. 원작은 눈의 여왕에게 붙잡혀 간 소년을 구출하는 소녀의 이야기지만 ‘겨울왕국’은 공주 자매의 자매애, 여성으로서의 연대에 초점을 맞춘다. 에렌델 왕국에는 언니 엘사와 동생 안나라는 두 공주가 있다. 언니 엘사는 손만 뻗으면 원하는 곳에 눈을 내리게 하고 얼음을 만드는 마법의 재주가 있다. 마법의 힘이 두려워진 엘사는 사랑하는 이들을 지키려고 방문을 걸어 잠그고 자신을 가둬버린다. 성인이 된 엘사가 왕국을 떠나면서 본격적인 모험이 시작된다. 왕자를 만나 사랑을 이루기위한 게 아니라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하기 위해서다. 동생인 안나는 언니를 지키려고 사랑을 유보한다. 현대 여성의 공감을 얻기에 충분한 진취적인 줄거리다. 달리 말하면 기존의 디즈니 스타일을 완전히 버리고 현대적으로 진화시킨 것이다. 시각과 시선이 마초이즘에서 페미니즘으로, 남성 중심에서 남녀공통으로 변신한 셈이다. 공주의 나이도 현실적인 시각을 반영했다. 기존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인공 공주의 나이는 10대였다. 백설공주가 일곱 난쟁이의 오두막에서 지내다 독사과가 목에 걸려 잠에 빠질 때의 나이는 불과 14세였다. 인어공주 에리얼은 16살에 뭍에 나와 에릭 왕자를 짝사랑하기 시작했다. 잠자는 숲 속의 공주인 오로라는 16살이었고, 라푼젤은 18살이었다. 19세에 왕자를 만나 결혼하는 신데렐라가 나이가 많아 보일 정도다. 하지만, 엘사는 대관식 때 나이가 21살이다. 패션감각도 현대적이다. 몸을 다 가리는 풍성한 고전 드레스를 입고 나왔던 기존의 공주나 주인공과 달리 엘사는 몸매를 강조하는 드레스 차림에 현대 젊은이 감각의 화려한 색조화장까지 한다. 미국 영화전문지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이런 대성공에 힘입어 아이거는 ‘겨울왕국’의 속편 제작도 구상하고 있다. 속편 제작을 꺼려온 디즈니 전통에선 엄청난 변화다. 아이거는 ‘겨울왕국’의 콘텐트를 테마파크, 연극, 뮤지컬,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장르로 발전시킬 계획을 벌써 준비 중이다. 현대 경영에서 그토록 중요하다는 빠른 판단과 의사결정이다. 아이거는 사실 오랫동안 디즈니의 2인자로서 지금의 혁신을 준비해왔다. 잠시 그가 걸어온 길을 살펴보자. 그는 유대인이다. 미국 미디어 업계에서 성골인 셈이다. 하지만 성공한 유대인은 많지만 유대인이라고 다 성공을 보장받지는 못한다. 뉴욕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이타카 대학 통신학부를 마치고 1974년 ABC방송의 일기예보 아나운서로 미디어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ABC에서 하나씩 계단을 올라갔다. 1990년 데니비드 린치 감독의 인기 시리즈물 ‘트윈 픽스’ 기획에 결정적으로 기여하면서 성공 가도를 달렸다. 그는 1982~92년 ABC 엔터테인먼트 사장을 맡았으며 1993~94년 ABC 네트워크 텔레비전 그룹의 사장으로 일했다. 이후 ABC의 모기업인 캐피털시티스/ABC(현재 ABC)의 사장에 올랐다. 1996년 이 회사가 디즈니에 인수된 뒤에도 1999년까지 자리를 유지했다. 엔터테인먼트 경영에서 능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
|
픽사·마블 엔터테인먼트·루카스필름 인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