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에어컨기사협회
열교환기를 통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높여 실외 열교환기(증발기)로 유
입되는 공기를 가열시켜줌으로서 제상효과(defrost)와 더불어 시스템 성능을 높여준다.
냉방시에는 단순히 방열기로 사용하거나 별도의 설비를 부착하여 급탕에 이용하기도 한다.
폐열직접이용형은 엔진의 폐열을 별도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지나는 2차 작동유체와 열교환
시킴으로서 난방이나 급탕에 이용한다.
냉매직접가열형과 공기예열이용 방법은 에너지 이용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 뿐만 아니라 난방능력을 향
상시키는 효과를 준다.
이러한 GHP의 특징은 EHP와 비교할 때 매우 유리한 점이며 동일한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GHP의 난방
능력이 더 커질 수 있는 이유가 된다.
국내의 경우 냉방시간보다 난방시간이 길고 또한 난방이 냉방에 비해 부하가 커야 되는 점을 고려할 때
GHP는 국내의 냉난방 부하 특성에 적합한 기기이다.
G.H.P (Gas Engine Driven Heat Pump) - 2
|
1.개요 |
GHP는 열원 (LNG, LPG)으로 가스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압축기에 의해 냉매를 실내기와 실외기사이의 냉매배관으로 흐르게 하여 액
화와 기화를 반복시켜 여름에는 냉방장치로 , 겨울에는 난방장치로 이용하는 가스냉난방 멀티시스템. |
|
 |
 |
여름(냉방)사이클 |
겨울(난방)사이클 | |
|
|
동작원리 |
GHP란 냉매 (R-22 , R-407C:신냉매)가스를 냉매로 하여 압축, 응축 , 팽창 ,증발을 반복하는 것으로 여름에는 증발에 의한 흡열로 냉방을
하고 , 겨울에는 응축에 의한 방열로 난방을 한다. |
EHP(Electric Heat Pump)의 경우 압축에는 전동압축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GHP는 가스엔진으로 직접 압축기를 구동한다. |
|
가스엔진 배열이용 |
외기를 열원으로 하는 히트펌프의 경우 외기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난방시에는 외기온도가 저하할수록 효율이 저하되며 , 냉방시에는
외기온도가 상승할수록 효율이 저하된다. 특히 난방시에는 능력과 효율이 외기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GHP는 가스엔진의 배열을
회수하여 증발기의 온도를 올려줄 수 있으므로 난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
 |
 |
난방능력 비교 |
난방입상시간 비교 | |
초기 난방시 WARMING - UP이 용이 |
제상운전 불필요 - 증발기에 성애 발생시 가스배열을 이용 ,별도의 제상처리가 필요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