볶은 쌀 구(糗)자는 쌀 미(米)자에 냄새 취(臭)자를 했습니다. 냄새 취(臭)자는 스스로 자(自)자 아래에 개 견(犬)자를 했습니다. 바로 개의 코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개는 냄새를 잘 맡습니다. 그래서 냄새 취(臭)자는 개의 코를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스스로 자(自)자와 개 견(犬)자는 상형(象形) 글자이고, 냄새 취(臭)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쌀을 볶으면 냄새가 유난히 고소합니다. 볶은 쌀 구(糗)자에 냄새 취(臭)자가 들어 잇는 뜻을 집작하시기 바랍니다. 구이(糗餌) 구이병(糗餌餠) 구초(糗麨) 구비(糗糒)
갓옷 구(裘)자는 의부(義符)로 옷 의(衣,衤)자에 성부(聲符)로 구할 구(求)자를 했습니다. 구할 구(求)자는 물 수(水)자 위에 한 일(一)자와 점 주(丶)자를 해서 물에 빠진 사람을 건져내는 모양을 했습니다. 물에 빠진 사람을 건져내는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상형(象形) 글자이고, 한 일(一)자와 점 주(丶)자 물 수(水)자가 합해서 만들어진 글자라고 생각하면 회의(會意) 글자가 됩니다. 상형(象形) 글자냐? 회의(會意) 글자냐? 하는 문제는 각자 생각하기에 달려 잇는 것이니, 누가 옳고 누가 그르다고 할 수 없습니다. 구폐(裘弊) 구덕(裘德) 구피(裘皮) 구마(裘馬) 경구(輕裘) 고구(羔裘) 구의(裘衣) 구갈(裘葛)
만날 구(覯)자는 의부(義符)로 볼 견(見)자에 성부(聲符)로 짤 구(冓)자를 했습니다. 짤 구(冓)자는 ‘𠀎’글자와 나아갈 염(冉)자를 했습니다. 여기서는 짤 구(冓)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얼개를 그린 글자를 한 것으로 보아서, 풀로 얼개를 만들어 짠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희구(稀覯) 희구서(稀覯書) 희구본(稀覯本) 효월지구(曉月之覯) 근친(覲親) 아근지자(我覲之子)
만날 구(遘)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성부(聲符)로 짤 구(冓)자를 했습니다. 짤 구(冓)자는 실이나 가는 막대기를 이리저리 얼어 짠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구회(遘會) 구분(遘奔) 구시(遘時) 구합(遘合) 구재(遘災) 구역(遘逆)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