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철호 용산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무례’라는 말의 뜻을 모르는 게 분명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의 ‘어쨌든 사과’ 기자회견 당시 구체적으로 무엇에 대한 사과인지 질문했던 기자에 대해 ‘무례’하다고 하지 않았을 겁니다. 어쩌면 “무엄하다”고 말하고 싶었을지도 모릅니다.
홍 수석은 어제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회견 당시 보충설명을 요청한 부산일보 기자에 대해 “대통령에 대한 무례”라며 “대통령이 사과했는데 마치 어린아이에게 부모가 하듯 ‘뭘 잘못했는데’ 이런 태도는 시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조국혁신당은 홍 수석이 무례하다고 봅니다. 윤 대통령을 포함해 용산 대통령실 참모들은 주권자인 국민에 대해, 국민을 대신해 묻는 언론에 대해 역대급으로 무례하기 짝이 없는 자들입니다.
홍 정무수석이 “무례”라고 지적한 질문은 국민들로부터 ‘돌직구 질문’, ‘사이다 질문’이라고 호평을 받은 바 있습니다. 명장면을 다시 볼까요? 당시 부산일보 기자는 “대통령께서는 대국민담화에서 다소 두루뭉술하고 포괄적으로 사과하셨다”며 “마치 사과를 하지 않아도 될 만한 일인데 바깥에서 시끄러우니까 사과하는 거 아닌가 오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지적하며 해당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은 “잘못한 게 있으면 딱 집어서 ‘이 부분은 잘못한 거 아니냐’라고 해주시면은 제가 그 팩트에 대해서는 사과를 드릴 것”이라며 “제가 대통령이 돼서 기자회견을 하는 마당에 그 팩트를 가지고 다툴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해서 그걸 다 맞습니다 할 수도 없는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부산일보 기자님께서 (사과 내용이 불분명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이거는 뭐 어쩔 수 없는 게 아닌가 (싶다)”며 끝내 무엇에 대해 사과한 것인지 밝히지 않았습니다. 횡설수설 했습니다.
당시 윤 대통령은 반면교사를 자처하여 저렇게 사과하면 안 하느니만 못하다는 큰 교훈을 국민 여러분께 주셨지요. 윤 대통령은 그 자리에서 자신과 ‘배후자’의 공천개입, 국정농단에 대해 구체적인 잘못을 자백하고 국민께 마땅히 용서를 구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대통령의 참모가 그것도 대통령이 사과를 제대로 못 했으면 그에 대해 민심을 받들어야 마땅한 정무수석이 국민을 대신해 물은 기자에 대해 “대통령에 대한 무례”라니요. 이제 국어사전에서 ‘무례’라는 뜻도 바꿔야 합니까?
홍철호 정무수석은 윤 대통령의 ‘황제 골프’에 대해서도 명언을 남겼습니다. “그 더운 여름인데, 아마 (골프) 연습을 하셨다면 목적이 분명해서 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8년 동안 안 하신 것을 갑자기 여름에 하고 싶어서 하셨겠습니까?” 그대로 그렇게, 쭉 살길 바랍니다.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2024년 11월 20일
조국혁신당 대변인 강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