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자칼럼]高麗靑瓷(고려청자)
1123년 고려에 왔던 송나라 사신 서긍은 이렇게 썼다. '고려 사람들은 도자기의 푸른 색을 비색(翡色)이라고 부른다. 요사이 고려도자기 제작이 절묘해졌는데 그 색택이 더욱 아름답다.' 또 중국의 송(宋)대 학자 태평노인은 '수중금(袖中錦)'에서 송 청자의 비색(秘色)이 아닌 고려 청자의 비색(翡色)을 천하제일로 꼽았다. 중국인들이 역사상 가장 아름답다고 여긴다는 북송의 여관요 청자 비색(秘色)이 절정기에 달했을 때 정작 그 지식인들은 고려청자의 비색을 더 높이 평가했다는 얘기다.
고려청자의 절정기는 두 단계로 나눠진다. 첫번째는 순청자의 비취색이 돋보이는 11세기말에서 12세기초,두번째는 상감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전반까지다. 초기 청자는 금속그릇의 영향으로 다소 억센 모양이지만 점차 모든 부위가 유연하게 바뀐다. 11세기 중엽부터 세련돼지기 시작, 11세기 말에 오면 운학문을 비롯한 독자적인 문양이 생겨난다. 12세기 초반엔 은은한 비취색에 동식물의 자연형태를 따른 모양을 은근한 양감의 부드럽고 유려한 형태,12세기 후반엔 상감청자가 나타난다.
충남 태안 대섬 앞바다에서 바로 순청자의 절정기인 12세기 전남 강진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대접과 접시,주전자,항아리,단지 등이 가득 실린 배가 발견됐다고 한다. 참외형주전자의 경우 거의 원형 그대로이고 수십개씩 포개진 대접의 품질 또한 상품(上品)이라니 보물선이 따로 없는 셈이다.
정양모 전 국립박물관장은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차이점을 이렇게 설명한다. "우리 청자의 비색이 산곡을 흐르는 맑은 물이나 모시발이라면,중국 청자는 깊은 웅덩이의 물이거나 비단발과 같아서 하나는 맑고 은은하면서 투명하고 하나는 진하여 불투명하고 두껍고 무거운 장막을 드리운 것과 같다." 중국 청자가 차갑고 과장돼 있다면 고려청자는 과장과 위엄을 배제한 자연스러운 조화와 균형을 갖추고 있다는 말이다. 이번 발굴이 고려청자의 신비로움을 다시금 재발견하는 계기가 됐으면 싶다.
출처:한경닷컴 글.박성희 논설위원 psh77@hankyung.com
|
첫댓글 오늘도 못다읽고 아쉬움만 남기고 돌아서야 하겠네요~ 이 다음에 시간이 날때면 지나간것도 다 볼것입니다 우천님 오늘도 수고 많으셨어요 안녕히 주무세요~ 백두산 천지도 코~ 하고 자고 싶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