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 교사임용 합격자가 17개 시도별로 발표되었습니다. 합격자들은 이제 가르치는 일에 평생을 헌신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들은 모두는 또한 훌륭한 교사가 될 꿈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훌륭한 교사는 도달하기 어려운 길입니다. 가르치는 일은 많은 난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난관을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서 신규교사는 휼륭한 교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하 Gilbert Heim의 the Art of Teaching 인용)
그렇다면 교사라면 이런 난관을 피할 수 있는 길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 결국 이 질문은 훌륭한 교사의 자질을 어떻게 기를 수 있는가로 귀결될 수 있습니다.다. 그럼 어떻게 훌륭한 교사가 될 수 있을까?
먼저 훌륭한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에 정통해야 합니다.’ 당연한 소리처럼 들리지만 이 요건을 갖추고 있는 교사가 많지 않습니다. 훌륭한 교사는 자신의 배움이 학생의 배움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매일, 매주, 매월 교과와 관련된 많은 것을 습득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에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라면 과학의 기본적인 내용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높은 차원의 지식을 모르고서는 그 교과의 기초 지식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100을 알아야 1을 가르칠 수 있듯이 자신의 삶의 한 부분을 과학이라는 교과 뿐만아니라 과학의 역사, 과학의 최신이론, 그리고 자신만의 과학 도서관을 구축할 수 있도록 배움의 끈을 놓지 않아야 합니다.
둘째로 훌륭한 교사는 ‘가르치는 방법에 능통해야 합니다.’ 교사의 가르치는 방법에 따라서 결과는 달라집니다. 수많은 가르치는 방법을 공부하고 그것을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합니다. 훌륭한 궁수는 화살이 맞지 않을 때 과녁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자세를 교정합니다. 좋은 교사는 교육의 결과가 바르지 않을 때 학생을 탓하지 않고 교사의 자신을 먼저 반성합니다. 어떤 아이도 가르칠 수 있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맞는 교수 학습 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합니다.
셋째는 훌륭한 교사는 ‘세상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열정이 필요합니다.’ 교과에 대한 지식이외에 훌륭한 교사는 세상을 더 잘아야 하고 더 폭넓은 관심사를 가져야 합니다. 교직에 첫발을 들여놓은 순간부터 이런 노력을 게을리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성장을 멈추게 됩니다. 그들은 현재의 상태에 만족하고 자신의 현재의 지식으로만 충분하다는 생각으로 자신의 지식을 넓히는데 노력하지 않는 교사는 서서히 정체상태로 머물게 됩니다. 이런 교사들이 우리 주변에 흔치않게 존재합니다. 세상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열정은 교실의 수업을 좀 더 풍부하게 할 수 있고 학생들의 사고를 세상과 연결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넷째로 훌륭한 교사는 ‘학생을 좋아해야 합니다’. 학생을 좋아하지 않는 교사는 교직을 일찍 떠나는 편이 좋습니다. 교사가 학생들과 함께 있기를 싫어하면 그들을 잘 가르칠 수 없습니다. 학생들의 다양한 에너지를 소음으로 간주하고 이런 에너지를 건설적인 방향으로 이끌지 못하는 교사는 결코 좋은 교사가 될 수 없습니다. 집단의 다양한 에너지를 함께 호흡하고, 그 에너지를 당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지도자가 되어야 합니다.
넷째는 훌륭한 교사는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합니다.’ 학생에 대한 이해 없이는 훌륭한 교사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의사가 환자를 잘 치료하기 위해서 선행하는 것이 환자의 개인적인 사항을 먼저 알아내는 것입니다. 환자의 개인적인 사항을 철저히 파악하여 문제의 원인을 찾아야만 성공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교사도 마찬가지 입니다. 학생을 알아가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학생들의 유형에 따른 대처 방법들을 철저히 파악하여 교사의 소홀한 대처로 인해서 학생들의 피해를 보아서는 안됩니다.
다섯째 휼륭한 교사는 ‘유머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가르치는 일은 말로 이루어집니다. 교사가 가지고 있는 풍부한 지식과 세상에 대한 폭넓은 경험은 가르치는 일을 훨씬 더 재미있고 흥미롭게 전개하게 할 수 있습니다. 유머는 즐거움을 통해서 학생과 교사를 이어주는 것입니다. 지혜롭고 훌륭한 교사는 유머를 잘 활용하는 교사입니다.
마지막으로 휼륭한 교사는 의지력과 자애로움이 높아야 합니다. 교사는 많은 학생들이 매일 교사를 향하고 있습니다. 예측불허의 학생들의 저항을 이겨내려면 교사는 의지력과 자애로움이 필요합니다. 의지력과 자애로움이 없는 교사는 학생들을 쉽게 미워하게 되고 자신도 학생들을 미워하게 되어 결국 훌륭한 교사로 성장하지 못하고 변변치 못한 교사로 남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훌륭한 교사의 일화는 우리를 매번 감동시킵니다. 훌륭한 교사는 도달하기 어려운 길이지만 그 만큼 더욱 값져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합격한 신규교사들이 훌륭한 교사가 되는 어려운 길을 무난히 극복해서 우리를 감동시킬 수 있는 일화가 될 수 있도록 기원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