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에 피해를 주는 해충(2)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영명 Western flower thrips
피해증상
꽃노랑총채벌레는 주로 꽃봉오리와 어린잎을 가해한다. 어린잎은 총채벌레가 가해하였을 때 기형으로 되어 쭈그러진다. 잎 가장자리가 곧바로 펴지지 못하여 삐뚤어진 잎으로 전개되어 엽맥도 쭈그러진다. 꽃봉오리가 열리기 시작하면 꽃노랑총채벌레의 유충과 성충들이 봉오리 안으로 들어가 가해하기 시작한다. 꽃잎이 어릴 때 흡즙한 상처 부위는 꽃잎이 전개되면서 착색이 제대로 되지 못하여 줄무늬의 흰 반점이 생기거나 기형이 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꽃봉오리 속에서는 꽃잎 뿐만아니라 꽃가루를 먹기도 한다.
해충의 형태
성충의 전체 몸 색깔은 황색 또는 황갈색을 띤다. 눈은 붉은색이다. 다리가 3쌍이 있고 날개는 두쌍이다. 날개에는 굵은 시맥에 긴 털이 촘촘이 붙어 있는 형태로 멀리 날지는 못하고 팔짝팔짝 날아서 이동한다. 크기는 1.17mm 정도이다. 유충은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다리가 3쌍이다. 알은 둥글며 식물체 조직속에 있다.
해충의 특징과 생활사
꽃노랑총채벌레는 최근 외국으로부터 국내로 유입된 해충으로서 1990년대초에 제주도와 전남지역에서 발견된 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있다. 1993년에 제주도 감귤하우스에서 처음으로 피해가 관찰되었다. 그후 최근 조사한 바에 의하면 꽃노랑총채벌레는 경남, 전남, 충남, 경기, 강원 등 전국적으로 이미 확산된 것으로 밝혀졌다. 꽃노랑총채벌레가 가해하는 작물들은 감귤, 오이, 고추, 상추, 거베라, 국화, 장미, 카네이션, 포인세티아, 루피니스, 몬스테라 등으로 상당히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고 있다. 온실내의 적합한 환경하에서는 년 10회 이상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5℃에서 알 → 1령층 → 2령층 "EN-US">→ 전의용 → 후의용 → 성충까지 한 세대를 완료하는데는 17일 정도 소요된다. 암컷은 약 36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어린잎이나 여린줄기 또는 꽃잎 등 부드러운 조직 속에 낳는다. 알에서 부화한 1령층은 탈피하면서 미숙한 날개가 있는 약충을 거쳐 날개가 완전히 발달한 성충이 된다.
방 제 법
총채벌레는 기주범위가 넓고 번식력이 강하며 세대기간이 짧아 방제가 매우 어려운 해충이다. 특히 알은 조직내에 낳고 생육 전 과정을 식물체 위에서 지내기도 하나 번데기 기간을 땅속에서 지내기도 하므로 약제방제 효과가 떨어진다. 원예작물에서 총채벌레 방제용으로 국내에 고시된 농약은 오이에 코니도수화제, 거베라에 신파마치온유제, 코니도수화제, 올스타유제 등이 등록되어 있다. 장미에는 아직 총채벌레 방제용으로 고시된 약제가 없으므로 이들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하되 약해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절화하는 시기에 꽃봉오리에서 피해가 많이 나타날 때는 일단 전 포장의 꽃을 일시에 절화하고 난 후에 약제방제 하여야 효과가 높다. 꽃봉오리 속에서 가해하는 유충과 성충들은 약제를 살포하더라도 약제와 거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일단 피해가 발생한 포장내에는 알, 유충, 성충이 섞여 있는 상태이므로 이들의 생활환을 차단하여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2-3일 간격으로 2-3회 연속 방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꽃노랑총채벌레에 관한 논문
원예작물 해충 꽃노랑총채벌레와 천적인 애꽃노린재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Thysanoptera : Thripidae) in horticultural crops and its predator, Orius sauteri poppius (Heteroptera : Anthocoridae)
白采勳
시설재배 가지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합관리를 위한 생물적 방제 인자의 기초 활용자료를 얻고자, 가지의 주요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와 이의 포식성 천적인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Poppius)에 대한 생태적 특성, 대량사육기술, 밀도억제 능력과 주요 원예용 농약의 영향 등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의 잎과 꽃잎에서 꽃노랑총채벌레의 발육기간은 고추 잎에서 6.4일로 가장 길었고, 생존율도 고추 잎에서 67%로 가장 낮았다. 오이의 잎에서 암컷의 수명이 16일로 가장 길었고, 꽃잎에서는 암/수별 수명이 8.1/7.5일로 가장 짧았다.
2) 꽃노랑총채벌레 암컷 성충은 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 중 토마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지 성묘의 잎 위치별 부화 유충수는 중위 잎에 가장 많았다.
3) 가지의 잎과 꽃잎에 대한 꽃노랑총채벌레 암컷 성충의 서식 선호성은 꽃잎을 더 선호하였고, 4개 작물(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별 꽃잎에 대한 서식 선호성은 고추에서 가장 높았다.
4) 애꽃노린재의 온도별 난기간은 17, 22, 27 및 32℃에서 각각 15.1, 6.1, 4.4 및 3.1일이었고, 부화율은 각각 80.7, 87.4, 88.6 및 77.0% 이었다. 부화약충에서 성충 우화까지의 암수별 발육기간은 각각 36.2/36.0, 15.4/15.3, 12.1/12.8 및 8.1/8.2일이 소요되었으며, 온도별 약충 생존율은 각각 75.9, 85.3, 96.4 및 78.9%였다. 난의 발육영점온도는 12.8℃, 유효적산온도는 60.4일도 였고, 난에서 약충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12.3℃, 유효적산온도는 230.1일도 였으며, 암/수 성충의 수명은 각각 70.4/66.0, 61.8/55.6, 55.9/51.0 및 18.6/21.5일이었다.
5) 시설하우스 재배작물에서 발생되는 응애목 3종, 총채벌레목 3종, 매미목 4종 및 나비목 2종 중에서 응애류, 총채벌레류, 진딧물류의 성충, 유충(약충), 난을 애꽃노린재가 포식하였다.
6)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를 먹이로 주었을 경우, 애꽃노린재의 암/수별 평균 약충기간은 27℃에서 각각 12.2/12.8, 13.0/13.2 및 17.9/17.8일로 나타나 꽃노랑총채벌레를 먹였을 경우 발육기간이 가장 짧았고, 약충 생존율은 각각 96.4, 78.4, 73.8%였으며, 암/수 성충의 수명은 각각 55.9/51.0, 30.2/30.8 및 25.8/25.1일 이었고, 일일산란수는 각각 5.6, 4.1 및 1.9개 였다.
7) 꽃노랑총채벌레를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애꽃노린재는 27℃에서 우화 후 3-5일 경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20-40일 사이에 가장 많이 산란하였고, 일일 최대산란수는 10-13개였다.
8) 애꽃노린재 암컷 성충의 식물체 부위별 산란 선호성은 가지 유묘와 중묘 모두에서 70% 이상이 엽맥을 따라 산란하여 가장 선호하는 부위로 나타났다.
9) 시설재배지에서 총채벌레류는 6월 중순, 애꽃노린재류는 7월 상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애꽃노린재는 총채벌레 발생 후 약 20일의 시차를 두고 밀도 의존적 반응을 보였다.
10) 애꽃노린재의 먹이로 꽃노랑총채벌레를 주었을 경우, 애꽃노린재 암·수 약충의 온도별 일일포식량은 17, 22, 27 및 32℃에서 전체 약충기간(암/수) 동안 각각 4.2/4.0, 13.7/11.4, 16.8/12.0 및 17.4/14.8 마리였고, 27℃에서 먹이종류별 일일포식량은 먹이로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및 점박이응애를 공급하였을 경우 전체 약충기간(암/수) 동안 각각 16.8/12.0, 8.0/7.7 및 47.0/40.8 마리를 포식하였다. 애꽃노린재 성충의 온도별 일일포식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32℃에서 일일포식량이 가장 많았고, 27℃에서 산란전기간에 42.8마리, 산란기간에 63.2마리를 포식하였다.
11) 애꽃노린재는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 증가에 따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차차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반응 곡선 제II형(포화형)과 유사한 포식반응을 나타냈고, 애꽃노린재 암것 성충의 탐색율이 5령 약충에 비해 높고 탐색시간도 짧았다.
12) 애꽃노린재의 5령 약충과 암컷 성충은 꽃노랑총채벌레 2령 유충을 가장 선호하였다.
13) 애꽃노린재 대량사육을 위한 대체먹이로 벼멸구와 화분을 조합하여 공급한 것에서 꽃노랑총채벌레를 먹이로 한 것과 비교해서 애꽃노린재 약충의 생존율은 약간 떨어지나 발육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14) 증류수가 들어 있는 파라필름을 애꽃노린재의 인공산란물질로 이용하였을 때 일일산란수는 4.8개로 다른 산란물질보다 산란수가 많았으나, 부화율은 고구마 즙액을 넣어 주었을 때 10.2 % 로 가장 높았다. 일일산란수는 자연 산란물질로 강낭콩 잎을 이용했을 때 4.9개로 가장 많았으나 강낭콩 떡잎에서는 3.3개로 가장 적었다. 또한 고구마 잎에 대한 일일산란수도 4.2개로 강낭콩 잎에 대한 산란수와 거의 비슷하였다.
15) 애꽃노린재는 고구마 잎을 산란용으로, 벼멸구와 화분을 증식용 먹이로 이용하여 대량증식 할 수 있었고, 25℃에서 사육용기 당 애꽃노린재 성충 100마리를 접종한 경우, 2일 동안 500~600여 개의 난을 확보할 수 있었다.
16) 시설가지 재배기간인 5월 초순에서 9월 하순까지 총채벌레류를 방제하기 위해 애꽃노린재를 3회 방사한 결과, 70~80%의 방제 효과를 얻었다.
17) 원예작물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20종의 약제에 대한 꽃노랑총 채벌레, 애꽃노린재 5령 및 암컷 성충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살균제 중에서 fenarimol과 mancozeb을 제외하고는 꽃노랑총채 벌레에 큰 영향은 없었고, 살충제 중에서는 총채벌레약제로 등록된 fipronil 및 imidacloprid의 살충율이 50% 이하로 특히 낮았다. 애꽃노린재에 대해서는 살충제의 경우 chlortenapyr, fipronil, pyriproxyfen 및 tebufenozide의 독성이 낮아 안전한 약제로 조사되었고, 살비제 중에서는 abamectin을 제외한 나머지 약제에서 독성이 낮았다.
첫댓글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