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세대의 마음가짐
https://blog.naver.com/jydecor/222928355158
시니어세대 마음가짐 45계
시니어세대 마음가짐 45계
1. 혼자 지내는 습관을 들이자.
2. 남이 나를 보살펴 주기를 기대하지 말자.
3. 남이 무엇인가 해 줄 것을 기대하지 말자.
4. 무슨 일이든 자기 힘으로 하자.
5. 몸이 힘들어도 걷기운동을 생활화하자.
6.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보다 더 많이
움직이자.
7. 늙으면 시간이 많으니 항상 유산소운동하자.
8. 당황하지 말고, 성급해 하지 말고, 뛰지 말자.
9. 체력, 기억력이 왕성하다고 뽐내지 말자.
10. 잠이 오면 자고 잠을 설치드래도 신경쓰지
말자.
11. 나의 괴로움이 제일 크다고 생각하지 말자.
12. 편한 것만 찾지 말고, 외로움을 만들지
말자.
13. 늙은이라고 냉정히 대하더라도 화내지 말자.
14. 자식들이 무시 하더라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자.
15. 친구가 먼저 죽어도 지나치게 슬퍼하지 말자.
16. 고독함을 이기기 위해 취미생활과 카톡우정을
공유하자.
17. 일하고 공치사 하지 말자.
18. 모든 일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자.
19. 마음과 다른 인사치레는 하지 말자.
20. 칭찬하는 말도 조심해서 하자.
21. 청하지 않으면 충고하지 말자.
22. 남의 생활에 참견 말자.
23. 몸에 좋다고 아무 약이나 먹지 말고,
남에게 권하지 말자.
24. 의사를 정확히 말하고,
겉과 속이 다른 표현을 하지 말자.
25. 어떤 상황에도 남을 헐뜯지 말자.
26. 잠깐 만나 하는 말, 귀에 담아 두지 말자.
27. 가끔 오는 식구보다 매일 보살펴 주는
주위 사람에게 감사하자.
28. 할 수 없는 일은 시작도 하지 말자.
29.하루하루 숨쉬고 살아감에 감사하자.
30.방안에서라도 수시로 즐거운 음악과 함께
가벼운 운동을 생활화하자.
31. 후덕한 늙은이가 되자.
32. 즐거워지려면 쌈지돈을 베풀자.
그러나 돈이면 다 된다는 생각은 말자.
33.코로나 끝나면 가벼운 산책이나 시장을
돌며 걷기 운동하자.
34. 일을 시키고 잔소리 하지 말자.
35. 외출할 때는 항상 긴장하자.
36. 너무 먼 장거리 여행은 후회할 수도있다.
37. 여행을 떠나면 여행지에서 죽어도 좋다고
생각하자.
38.항상 주위 사람들과 소통하고
돈 안드는 카톡으로 마음을 공유하자.
39. 음식은 소식하자.
40. 방문을 자주 열고, 샤워를 자주 하자.
41. 몸을 단정히 속옷은 자주 갈아 입자.
42. 밖에 나갈 때는 입냄새,체취에 신경 쓰자.
43. 외출시 화장도 하고 단정한 몸매를 하라.
44. 옷도 가려가면서 제일 좋은 옷을 입자.
45. 매일 아침 거을을 보며 외쳐보라..
'이만하면 괜찮네... 어~허허허!~
-좋은 글 중에서-
***************
시니어(senior) 뜻
일단 이 단어의 영어적
의미를 보자면 표현은
senior이라고 하며,
손위 또는 상위의
뜻을 가진 영어 단어입니다.
이거는 정년퇴직을 한
연령대 분들에게 해당이
되는 단어인데요.
현재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보면 이 분들에게
해당이 되는 많은 사업들이
생기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현상을 시프트 현상
이라고 지칭을 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게 이루어지는 이유는
정년퇴직을 할 때쯤이면,
이제 자식분들은 어느 정도
자리를 잡혀있는 분들이
대부분일 겁니다.
그래서 이제 본인의 인생을
즐기기 위하여 소비나
여러 가지 활동들이
발생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들이
발생이 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뜻을 알아보면서 사전적인
내용들을 보겠습니다.
이제 서양권에서는 조상이나
부모 이름을 자식에게
그대로 물려주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게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을 구분하기 위해
적는다고 합니다.
조상 중에 동일한 이름을
가진 인물이 있으면 후손에게
주니어를 붙이고 조상에겐
시니어를 붙여 구분합니다.
그리고 기업적인 부분을 보면
기업에서 시니어들은 직원
가운데 고참급을 가리킵니다.
일반 사원들보다 높고
임원들보다는 낮은 부장,
차장 급의 중간관리직들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해당 직군에 올라가면
관리직으로서 능력이
중요해집니다.
예전에는 실무 태스크를
관리하는 실무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했다면
좀 더 넓고 다양한 범위
개념적인 업무들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가 됩니다.
인화력은 어떤 리더십에서도
당연히 필요로 합니다.
근데 한국에서 구인 공고를
할 때는 이 단어를 차장급
이상이 아니라 그냥 경력직을
구한다고 할 때 쓰기도 합니다.
용어의 정의를 굉장히
넓게 잡고 사용하는 셈이다.
기업에서 이 개념은 자신이
직접 업무를 계획하고
추진해서 지시할 수 있는
정도의 권한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이다.
하지만 시니어 급 정도로
올라가면 네트워크도
굉장히 중요할 수 있다.
정확하게 얘기를 하자면
일을 안 하게 되면
주니어가 일이 이루어질 수 없다.
훈련은 중대장 이하가 열심히
뛰어다니지만 대대장 이상이
컨트롤 타워를 안 하면
아예 할 수 없는 것과 같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포츠에서도 사용되는데,
나이별로 리그가 따로 있는
스포츠가 몇 개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남자 골프 PGA
투어의 경우 50세가 넘게
되면 투어 카드가 발급되어,
50세 이상 골퍼들만의
대회가 여러 개 있습니다.
여자 골프 LPGA의 경우는
45세라고 합니다.
***************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