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지(未知)의 세계 오세아니아(Oceania)
4. 폴리네시아(Polynesia) 제도 - 4개국<9개 령(領)>
<1> 뉴질랜드(New Zealand) <인구: 530만, 수도 웰링턴(Wellington)>
뉴질랜드 위치 / 뉴질랜드 확대도 / 뉴질랜드 국기(國旗) / 남(南) 섬의 고봉들
뉴질랜드(New Zealand)는 오스트레일리아(濠洲) 바로 우측에 있는 제법 큰 섬나라로 유럽계 백인(70%), 원주민 마오리족(8%) 및 기타 소수민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27만㎢ 정도이다.(남한의 3배)
국토현황을 보면 북 섬(North Island)과 남 섬(South Island) 2개의 주요 섬과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국가원수는 영국 국왕으로 뉴질랜드의 총리를 임명하는 형식이었다.
뉴질랜드의 지형을 살펴보면 북 섬(North Island)은 약 18%, 남 섬(South Island)은 70% 정도가 산악지대(山岳地帶)인데 남 섬의 알프스(Alps) 산맥은 길이가 480km에 이르는 긴 습곡(褶曲)산맥으로 뉴질랜드 최고봉인 쿡 산(3,764m)이 있고 그 외에도 높이가 3,000m 이상인 봉우리 22개나 있다고 하니 어찌 보면 뉴질랜드는 산악국가라고도 할 수 있겠다.
뉴질랜드는 산이 워낙 높다 보니 강은 대부분 길이가 짧고 물살이 빨라 수력발전에 중요하게 쓰이는데 가장 긴 강은 북 섬에 있는 425km의 와이카토(Waikato River) 강이며, 뉴질랜드는 현재도 지진(地震)과 화산폭발(火山爆發)이 빈번하다고 한다.
뉴질랜드의 원주민은 폴리네시아인들로 보이는데 뉴질랜드에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늦어도 1000년(10세기) 전후일 것으로 추측되지만 확실하지는 않고 18세기부터 약 10~20만 명의 마오리족(Māori People)이 거주하고 있었다고 한다.
1769~70년, 영국의 제임스 쿡(James Cook) 선장이 이곳에 처음 왔을 때는 마오리족과 충돌이 있었지만 곧 화해가 되었고 결국 1839~41년에 뉴질랜드는 뉴사우스웨일스(State of New South Wales)로 이름을 붙여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그 후, 1852년 뉴질랜드 헌법에 따라 식민지는 6개 주로 나뉘고 뉴질랜드 정부가 들어서게 되었고 우여곡절을 겪은 후 1947년에야 자치국으로서 정식 인정되었으니 영국연방 내의 민주 독립국가로서 입헌군주국이다. 이곳은 기독교천국으로 성공회(15%)가 가장 많다고 하니 신기하다.
<2> 통가왕국(The Kingdom of Tonga) <인구: 11만, 수도 누쿠알로파(Nukualofa)>
통가 위치(주황색) / 통가 국기(國旗) / 통가타푸 섬 / 화산폭발
통가 왕국(The Kingdom of Tonga)는 전체 면적이 747㎢이며 169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群島)인데 36개의 섬에만 사람이 거주하고 있고 나머지는 무인도(無人島)라고 한다.
수도(首都) 누쿠알로파(Nukualofa)는 가장 큰 섬인 통가타푸(Tongatapu, 면적 256㎢)에 있는데 인구는 10만 명 정도로 국민들 대부분이 이곳에 살고 있는 셈이다. 섬들은 대부분 산호초(珊瑚礁)로 형성된 섬이고, 서부의 섬들에는 제법 높은 화산(火山)이 있는데 이곳에는 지금도 4개 섬에는 불을 뿜고 있는 활화산(活火山)이 있다고 한다.
통가타푸에는 적어도 3,000년 전에 오스트로네시아(Austronesia)인으로 불리는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이 있는데 17세기부터 서양인들의 입국으로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이곳 왕가(王家)인 투이 통가(Tu'i Tonga)의 자손들이 1875년 헌법에 기초해서 군주제(君主制)를 확립했고, 독일(1876), 영국(1879), 미국(1888) 등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는다.
네덜란드 항해가인 야코프 레 마이레(Jacob Le Maire)가 1616년에 타파히(Tafahi : Boscawen 옛 이름은 보스카웬)를 발견했으며 1643년 아벨 타스만(Abel Tasman)에 의해 더욱 많은 탐험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적인 현지인들과의 접촉은 1773년 영국 탐험가 제임스 쿡(James Cook) 선장이 이 제도에 도착해서 이곳을 프렌들리 제도(Friendly Islands)라 명명하면서부터였다고 한다.
프렌들리 제도(Friendly Islands)는 ‘형제들의 섬’이라는 의미이니 쿡 선장의 따뜻한 마음이 읽혀진다.
<3> 사모아 독립국(Independent State of Samoa) <인구: 20만, 수도 아피아(Apia)>
사모아 위치 / 사모아 확대도 / 사모아 국기(國旗) / 천연수영장 토수아(To sua)
오세아니아(Oceania) 여러 섬들 중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사모아(Samoa)는 면적이 2,800㎢ 정도이며, 국민들 구성을 보면 폴리네시아 계(系) 사모아인(Polynesian Samoa, 93%), 유럽인(Europe, 7%)으로 되어있다.
사모아(Samoa)는 여러 섬으로 구성된 입헌군주국인데 우폴루(Upolu, 1,119㎢)와 사바이(Savai'i, 1,707㎢) 등 2개의 주요 섬과 7개의 작은 섬도 있는데, 이중 아폴리마(Apolima) 섬과 마노노(Manono) 섬에만 사람이 살고 있다고 한다. 사모아 인들은 토착민들이지만 신앙심이 깊어서 대부분이 그리스도교도인데 약 3/4이 개신교이고 1/5은 로마 가톨릭이라고 한다.
사모아 또한 서구인들의 식민지 쟁탈전의 고통을 겪었고, 세계 1,2차 대전을 전후하여 뉴질랜드의 영향 아래 고통을 받았으나 1962년 들어 마침내 독립을 쟁취한다. 이곳은 1~3월에 불어오는 태풍의 길목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는다고 하며, 숫자는 적지만 특이한 열대지방의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천연수영장 토수아(To Sua Ocean Trench)는 사모아의 우폴루(Upolu)섬의 로토파가 (Lotofaga) 마을에 자리 잡고 있는데 토수아(To Sua)는 ‘거대한 구멍’이라는 뜻이라 하며 밀림 속에 있는 물구덩이는 물 속 깊이가 30m 정도나 되며 큰 사다리를 이용하여 오르내린다.
해구 아래 바닥이 훤히 보일 만큼 투명하고 푸른 바닷물이 차오른 천연 수영장이라 할 수 있는데 주위는 아름다운 자연정원으로 둘러싸여 있어 지구촌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 중 하나로 꼽힌다고 한다.
<4> 투발루 공화국(Tuvalu) <인구: 1만 2천, 수도 푸나푸티(Funafuti)>
투발루 위치 / 투발루 확대도 / 투발루 국기(國旗) / 물에 잠기는 국토
투발루의 면적은 26㎢로 세계에서 4번째로 작은 나라라고 하는데 종족(種族)은 폴리네시아인이 96%, 미크로네시아인 4% 등이며, 4개의 암초(暗礁)섬과 5개의 환초(環礁)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발루는 1892년부터 영국의 보호 하에 있었는데 1978년 10월,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고 영연방에 가입하였다고 하는데 종교는 원주민들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基督敎)가 97% 이상이라니 놀랍다.
투발루 또한 이지역의 다른 섬들과 마찬가지로 우여곡절을 겪은 후 1978년 10월에 완전한 독립을 쟁취한다. 국기에 있는 별 아홉 개는 섬의 숫자를 나타낸다고 한다.
투발루의 고민은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해수면(海水面)이 차츰 상승하여 국토 전체가 수몰(水沒)될 위기에 처한 것이라고 하는데 국토(國土)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 해수면(海水面)에서 달랑 5m 라니....
<5> <뉴질랜드령> 니우에(Niue) <인구: 1,600명, 수도 알로피(Alofi)>
니우에 위치 / 니우에 확대도 / 니우에 국기(國旗) / 아름다운 해변
뉴질랜드(New Zealand) 령(領) 니우에(Niue)는 면적이 260㎢로 융기(隆起)된 산호(珊瑚)섬인데 둘레가 약 64km나 되는 제법 큰 섬이며, 섬의 둘레는 온통 산호초(珊瑚礁)로 둘러싸여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인구가 1,600명 정도밖에 안된다고 하니 국가로 인정받는다는 것이 신기하며, 국민의 93% 정도가 폴리네시아(Polynesia)인으로 대부분이 이 지역의 원주민(原住民)인 셈이다.
1774년 제임스 쿡 선장이 니우에에 상륙했는데, 너무나 포악하고 공격적인 니우에 인들을 보고 이 섬을 ‘야만인의 섬’으로 명명했고, 이 후에 다른 서양 탐험가들도 입국을 거절당하여 상당히 고립된 섬이었는데 1846년에 사모아(Samoa) 출신 원주민 중 그리스도교(基督敎)로 개종한 니우에(Niue)인을 데리고 오자 비로소 상륙 허락을 받았고 뒤이어 주민 대부분이 그리스도 교인이 되었다고 한다.
그 이후 1974년에 뉴질랜드와 연합하여 자치정부 형태를 갖추었는데 워낙 국토와 인구가 적다보니 뉴질랜드가 국방을 돌보고 외교문제를 관리하며 니우에 국민들에게 뉴질랜드 시민권을 주기로 합의했다. 현재는 영국의 왕이 국가원수(國家元首)이고 니우에의 정부 지도자는 총리(總理)인 형식이다.
<6> <칠레령> 이스터 섬(Easter Island) <인구: 7,700명, 수도 항가로아(Hanga Roa)>
이스터 섬 위치 / 이스터 섬 / 거대한 석상 모아이(Moai)
이스터 섬의 크기는 163㎢로, 칠레에서 서쪽으로 3,600km 떨어져있는 고도(孤島)인데 행정상으로 칠레의 발파라이소(Valparaiso) 지역에 속한다. 이곳은 1722년 네덜란드의 야코브 로헤벤(Jacob Roggeveen)이 부활절(Easter)에 발견하여 이스터(Easter)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1888년 칠레가 이 섬을 합병했다.
이 섬에는 모아이(Moai)라 부르는 거대한 석상(石像)들이 많은데 대체로 1000~1600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상들은 높이 3.5m, 무게 20톤가량 나가는 것이 많지만 큰 것은 높이 20m에 90톤까지 나가는 것도 있다. 이 섬에는 귀가 긴 장이족(長耳族)과 귀가 짧은 단이족(短耳族)이 살았는데 서로 경쟁이 심하였다고 하며 서로 상대방 석상(石像)들의 눈을 파내어 현재 눈이 상한 석상들도 많다고 한다.
제주도 크기의 10분의 1정도인 이 섬은 해안선의 길이도 60km밖에 안 되며, 주민은 현재 칠레 본토에서 나온 공무원까지 합해 2800명 남짓인데도 모아이 석상으로 세계적인 명소가 됐다.
모아이 석상은 해안선을 따라 여러 곳에 1000여 개가 흩어져 있는데, 대개 바다를 등지고 있다고 한다.
모아이 석상들은 대부분 귀가 긴 것이 특징인데 귀가 긴 것은 귀족(貴族)을 의미한다고 하는데 이곳의 역사는 이들이 사용하였던 ‘롱고롱고(Rongorongo)’라는 상형문자가 남아있어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7> <뉴질랜드령> 쿡 제도(Cook Islands) <인구: 1만 8천, 수도 아바루아(Avarua)>
쿡 제도 위치 / 쿡 제도 국기(國旗) / 가장 큰 라로통가 섬 / 원주민(마오리족)
쿡 제도(Cook Islands)는 뉴질랜드와 자유연합 관계에 있는 오세아니아의 폴리네시아에 있는 국가인데 뉴질랜드 북동쪽으로 3,000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은 240㎢이고 수도는 아바루아(Avarua)이다.
국토는 15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450km에 걸쳐 늘어서있는 15개의 섬은 남부의 8개, 북부의 7개로 나누고 산들 중에는 지금도 용암을 쏟아내는 활화산(活火山)도 있다고 한다.
이 섬들은 1773년 영국의 제임스 쿡(James Cook) 선장이 발견하여 자신의 이름을 붙인 곳으로, 1821년 이후에야 본격적인 개척이 진행되었고 1888년 이후 영국 보호령, 1901년 뉴질랜드 식민지에 포함되었으며, 1965에 이르러 현재의 자치정부가 세워졌다.
태평양 한 가운데 대부분 환초(環蕉)로 구성된 쿡 제도는 북부의 작은 섬들과 남부의 섬들로 구분되며 수도가 위치한 남부의 라로통가(Rarotonga) 섬에 대부분의 인구가 살고 있다. 나머지 주민도 주로 남부 군도에 흩어져있고, 북부 섬들에 거주하는 인구는 2016년 기준으로 1000명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쿡 제도는 현지어인 마오리(Maori)어로 쿠키 아이라니(Kūki 'Āirani)라 부르고 수도(首都)는 가장 큰 섬인 라로통가에 있다.
라로통가(Rarotonga) 섬에는 가장 높은 테망가(Te Manga) 산(685m)이 솟아 있는데 다른 4개의 섬에는 나지막한 봉우리들과 완만한 언덕들이 산호석회암(珊瑚石灰巖) 밑 부분의 습한 저지대(低地帶)를 향해 가파른 경사(傾斜)를 이루고 있다. 이곳도 서구(西歐)의 치열한 쟁탈전이 벌어지던 곳인데 1965년, 국민투표로 뉴질랜드 령(領) 자치정부를 가결했다고 한다. 종교는 대부분 그리스도교(94%)라고 한다.
<8> <뉴질랜드령> 토켈라우 제도(Tokelau Islands) <인구 1,500명, 수도 아타푸(Atafu)>
토켈라우 제도 위치 / 토켈라우 국기(國旗) / 토켈라우 제도(諸島) / 산호섬 아타푸(Atafu) 환초(環礁)
이곳은 서사모아에서 북쪽으로 480km, 하와이에서 남서쪽으로 3,900km 떨어져 있는 섬들인데 전체 면적은 10㎢ 정도로 누쿠노누(Nukunonu, 4.5㎢), 파카오포(Fakaofo, 2.56㎢), 아타푸(Atafu, 2㎢) 3개의 환초(環礁) 섬이 중심이며 많은 작은 섬들은 거의 사람이 살지 못하는 작은 환초(環礁)들이다.
토켈라우(Tokelau)는 1948년, 뉴질랜드 령(New Zealand 領)으로 확정되었다고 하며 이 섬으로 가려면 사모아(Samoa)에서 일주일에 한 번 운항하는 정기선을 타고 37시간동안 바다 위를 항해해야 한다.
이곳은 1889년 영국의 보호령이 되는데 이후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후 1948년, 법령에 의해 뉴질랜드의 영토가 되었고 1976년 이곳 여러 개의 섬들을 묶어 토켈라우(Tokelau)라 부르는 공식이름이 되었다.
이곳의 비극은 1863년, 페루의 노예사냥꾼들이 많은 섬사람들을 유괴해갔고, 거의 같은 시기에 질병이 유행하여 전체인구가 약 200명으로 줄었던 적도 있다고 한다. 그 후 여러 나라에서 온 백인 부랑자들이 정착하여 토켈라우 여인들과 결혼하여 지금은 거의 혼혈인들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결국 서양의 문화에 젖어들게 되었고, 현재 주민의 98%가 그리스도교도(基督敎徒)라고 한다.
<9> <프랑스령> 폴리네시아(French Polynesia) <인구: 30만, 수도 파페에테(Papeete)>
폴리네시아 위치 / 타히티 섬 / 폴리네시아 국기(國旗) / 타히티의 여인들(고갱 그림) / 지상천국 폴리네시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는 크게 5개의 제도(諸島)로 분류되는데 소시에테(Société), 투아모투(Tuamotu), 마르키즈(Marquises), 오스트랄(Australes), 강비에(Gambier)이고, 이 제도에 모두 118개의 섬이 있다고 한다.
전체 면적은 4,167㎢인데 인구의 2/3 이상이 폴리네시아인이고 폴리네시아와 유럽 혼혈이 전체인구의 1/10을 차지하는데 그들을 데미스라고 부른다고 한다.
소시에테 제도에는 수도 파페에테가 있는 타이티(Tahiti) 섬 및 보라보라(Bora Bora) 섬이 관광지로 유명한데 프랑스의 화가 폴 고갱(Paul Gauguin)과 벨기에(Belgium)의 음악가 자크 브렐(Jacques Brel)이 살았던 히바오아(Hiva Oa) 섬, 그리고 라이아테아(Raiatea) 섬에는 201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된 타푸타푸아테아 마라에(Taputapuātea Marae)가 있는데 이곳은 살아있는 인간의 조상(祖上)들과 신(神)의 세계가 교차하는 곳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문신(紋身:Tattoo)의 기원이 타히티(Tahiti)라고....
<10> <영국령> 핏케언 제도(Pitcairn Islands) <인구: 67명, 수도 애덤스타운(Adamstown)>
핏케언 제도(諸島) 위치 / 핏케언 섬 / 핏케언 국기(國旗) / 헨더슨 섬(무인도)
핏케언(Pitcairn) 제도(諸島)는 뉴질랜드와 남미 페루(Peru)의 중간지점인 대서양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62.45㎢라니 아주 작지는 않은데 인구가 67명밖에 안되지만 국가형태로 국기(國旗)도 있다.
섬들 중에 헨더슨 섬(Henderson Island, 37.3㎢)과 핏케언 섬(Pitcairn Island, 4.6㎢)이 제법 큰 섬이고 나머지는 아주 작은 산호(珊瑚) 섬들인데 사람이 사는 섬은 오직 핏케언(Pitcairn) 섬 뿐이라고 한다.
이곳의 에피소드로, 핏케언은 자유스러운 성관계로 전 세계의 화제를 불러일으킨 적이 있는데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곳의 풍습이지만 서양인들이 보기에는 성폭행이라 볼 수밖에....
지금은 영국령이 된 후 옛 풍습은 없어지고 서양의 문화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어 문제가 없다고 한다.
헨더슨(Henderson) 섬은 훼손되지 않은 산호(珊瑚) 섬이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있다.
<11> <미국령> 하와이주(Hawaii State) <인구: 142만, 수도 호놀룰루(Honolulu)>
하와이 제도(諸島) / 하와이왕국 마지막 여왕 / 아름다운 해변 / 빅 아일랜드 섬 화산폭발(2022. 11, 27)
하와이(Hawaii)는 샌프란시스코의 서쪽 3,857㎞ 지점의 대서양 한 가운데 있는 8개의 주요 섬과 124개의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 면적은 2만 8천㎢이다. 이곳은 폴리네시아(Polynesia) 원주민들이 왕국을 이루어 살고 있었으나 1851년 미국의 보호령이 되었다가 1959년에 미국의 50번째 주(州)가 되었다.
이곳 빅 아일랜드(Big Island) 섬의 마우나로아(Mauna Loa) 화산이 금년(2022년) 11월 27일, 38년 만에 대폭발을 일으켰는데 역사상 최대의 화산폭발이라고 하지만 사람이 사는 곳에서 동떨어진 해발고도 4,170m의 화산공원 분화구에서 다시 폭발한 것으로 주민들에게는 피해가 전혀 없다고 하며 대피령도 내리지 않았다고 한다. 이곳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에 나라를 잃자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 하와이로 이주(移住)를 하였는데 그 후손들이 지금도 살고 있고, 하와이 왕국의 마지막 왕이었던 릴리우오칼라니(Liliuokalani) 여왕이 작곡한 ‘알로하오에(Aloha Oe)’도 생각이 난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그대여 안녕히~~’. 이곳은 옛날부터 사탕수수 재배로 유명한 곳인데 이곳에서 사탕수수밭을 운영하던 미국인 샌퍼드 돌(Sanford Dole)은 미 해병대와 손을 잡고 쿠데타를 일으켜 하와이 마지막 왕인 릴리우오칼라니(Liliuokalani) 여왕을 몰아내고 임시대통령이 된 후 이곳을 미국에 헌납(?)하여 50번째 주(州)가 된 것이다.
하와이(Hawaii)의 주도(州都)는 오아후(Oahu) 섬에 있는 호놀룰루(Honolulu)이다.
<12> <미국령> 아메리칸 사모아(American Samoa) <인구: 6만, 수도 파고파고(Pago Pago)>
아메리칸 사모아 / 투투일라 섬 / 아름다운 남태평양의 자연경관 / 사모아 원주민 무용 1,2
사모아(Samoa) 제도(諸島)에는 사모아 독립국(Independent State of Samoa)이 별도로 있는데 동쪽에 있는 몇 개의 섬들은 미국령(美國領)으로 되어있다. 미국령 사모아는 총면적이 199㎢로, 동부(東部)에 투투일라(Tutuila), 아우누(Anu’u), 로즈(Rose) 섬, 그리고 마누아(Manua) 제도(諸島)의 타우(Tau), 올로세가(Olosega), 오푸(Ofu) 섬, 그리고 따로 떨어진 스웨인스(Swains)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메리칸 사모아에서 가장 큰 섬인 투투일라(Tutuila)는 총 육지면적의 2/3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섬이고 두 번째로 큰 섬은 마누아(Manua) 제도(諸島)의 세 섬들 중에서 타우(Tau) 섬이라고 한다.
주민은 사모아(Samoa)인과 혼혈 사모아 인이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동질성이 많은 편이라고 한다. 1872년 1월에 미국은 투투일라(Tutuila) 섬의 파고파고(Pago Pago)에 해군기지 설치권을 확보하는 조약을 사모아 왕국과 체결했고 곧 이어 미국령이 되었다고 한다.
이곳 미국령 사모아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청정지역일 뿐만 아니라 기막힌 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13> <프랑스령> 왈리스 푸투나(Wallis-et-Futuna) <인구: 1만 2천, 수도 마타우투(Mata Utu)>
왈리스 푸투나 지도 / 국기(國旗) / 왈리스 푸투나의 아름다운 경관<1,2> / 이곳 원주민들
이곳은 사모아 서부에 위치한 프랑스의 해외 집합체라고 하며 1887년에 왈리스(Wallis) 섬에 이어 푸투나(Futuna) 섬과 알로피(Alofi) 섬도 주민들이 결의하여 프랑스령이 되기로 결의했다고 한다. 면적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