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원수(元帥) 이방실(李芳實)은 젊었을 때에
ㅡ 해가 저물어 빈 집에서 하룻밤을 지내는데
차고 있던 활과 화살을 도적에게 주면서
“나는 잠깐 동안 말을 보고 올 터이니 너는 여기 있거라.” 하고는 마굿간으로 가서 웅크리고 앉으니 도적이 힘껏 활을 쏘자, 이방실은 날아오는 화살을 손으로 잡아 마구간에 끼어 두었다. 이렇게 하기를 10여 차례 하니 한 통에 있던 화살이 모두 떨어졌다. /
일찍이 서해도(西海道)에서 노닐 적에
노상에서 우연히 훤칠하고
키가 큰 사나이 한 사람을 만났다.
그 사나이는 활과 화살을 손에 들고 말 앞에서,
“영공(令公)은 어디로 가십니까. 모시고 가겠습니다.” 하였는데, 이방실은 그 사람이 도적인 줄 알면서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약 10리 남짓 가니 논 가운데 비둘기 한 쌍이 앉아 있었다. 도적이, “공(公)은 쏠 수 있습니까.” 하니, 이방실이 화살 한 개로 두 마리를 맞혀서 잡았다.
해가 저물어 빈 집에서 하룻밤을 지내는데,
차고 있던 활과 화살을 도적에게 주면서, “나는 잠깐 동안 말을 보고 올 터이니 너는 여기 있거라.” 하고는 마굿간으로 가서 웅크리고 앉으니 도적이 힘껏 활을 쏘자, 이방실은 날아오는 화살을 손으로 잡아 마구간에 끼어 두었다. 이렇게 하기를 10여 차례 하니 한 통에 있던 화살이 모두 떨어졌다.
도적이 그 용기에 탄복하여 빌면서 살려 달라고 하였는데, 옆에 높이가 몇 길 되는 상수리 나무가 있었다.
이방실이 몸을 위로 솟구쳐 나무 끝을 휘어잡더니 한 손으로 도적의 머리칼을 붙잡아 나무 끝에다 매고 칼로 머리 가죽을 벗기니 휘었던 나무 끝이 튀겨 일어나는데, 그 기세(氣勢)가 하늘을 뚫을 만큼 세차므로 머리칼은 모두 뽑히고 몸은 땅에 떨어졌으나,
이방실은 돌아보지도 아니하고 가버렸다.
지위가 높아진 만년(晩年)에 다시 그곳을 지나다가 농가에서 하루를 머물게 되었는데, 집안은 매우 큰 부자였다. 지팡이를 짚고 나와 맞이하던 노인이 크게 술상을 차리더니 술이 취하자 노인이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기를,
“나는 어렸을 때 용맹스러운 것만 믿고 도적이 되어 무수한 행인을 죽이고 약탈을 하다가 한 소년을 만났는데, 비할 수 없이 용맹스러웠습니다.
내가 그를 해치고자 하였으나 도리어 내가 해를 당하여 하마터면 죽으려다가 살아났습니다. 이로부터 개과하고 농업에 힘써 다시는 사람들의 물건을 빼앗지 않았습니다.” 하고는,
모자를 벗어 보이는데, 머리가 이마처럼
번들번들하여 머리칼이 하나도 없었다.
이방실에게 누이동생이 있었는데,
역시 용맹하기 짝이 없었다. 항상 작은 나뭇가지를 벽에 꽂아두고 형제가 나뭇가지 위를 올라다니는데, 이방실이 올라 가면 가지가 움직였으나,
누이동생이 지나가면 움직이지 않았다.
또 하루는 누이동생이 파리한 사동(使童)과 파리한 말을 타고 강남(江南)으로 건너가는데,
배를 타려는 사람들이 서로 먼저 건너려고 다투다가 누이동생을 들어 내리니, 누이동생이 크게 노하여 배의 노를 들고 배 타려던 사람들을 난타하였는데, 굳세기가 나는 새매와 같았다.
[용재총화]에 등장하는
이방실(李芳實, 1298~1362년)은 고려후기의 무인입니다. 고려후기 홍건적과 왜구등을 섬멸한 장군이기도 한 이방실의 무예솜씨가 도적과의 전투씬에서 드러나지요.
그 여동생 (이름이 전하지 않는)은 한 수 더 뜹니다. 이방실과 둘이 무예를 연마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나뭇가지를 벽에 꽂아두고 올라타는데 여동생이 올라타면 전혀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러한 분위기의 시대가 바로
'육룡이 나르샤'의 시대.
이방지와 무휼은 실존인물은 아니지만,
이런 숨은 검객과 무예인들이 얼마든 있었을 가능성이 충분했던 시대입니다.
용재총화
네이브캐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