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용구‧설치물‧파크골프장 공인 및 검정규정
제정 2008. 12. 5.
개정 2019. 01. 30.
전면개정 2019. 04. 16.
개정 2021. 04. 22.
개정 2023. 04. 06.
개정 2024. 01. 22.
개정 2024. 03. 11.
제1조 설치근거 및 명칭 본 규정은 대한파크골프협회(이하‘ 본 협회’라 한다.) 공인규정 제15조, 제16조에 따라 제정하며, 그 명칭은 경기용구‧설치물‧파크골프장 공인 및 검정 규정이라 칭한다.
제2조 목적
① 이 규정은 본 협회와 대한체육회(이하 “체육회”라 한다)가 주최, 주관, 공인 및 승인하는 각종 경기대회(이하 “대회”라 한다) 또는 전국규모연맹체, 시도협회, 본 협회의 승인을 얻어 개최하는 단체가 주최 및 주관하는 대회에 사용되는 경기용구, 설치물 및 파크골프장에 대하여 공인과 검정을 체계화,제도화하여 경기용품의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규격품 사용으로 공정한 대회운영과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 이 규정을 통하여 규격화한 우수한 품질의 경기용구를 장기적으로 선수층의 저변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조 적용범위
① 본 협회와 체육회가 주최, 주관, 공인 및 승인하는 대회 또는 전국규모대회, 시도협회, 본 협회의 승인을 얻은 단체가 주최 및 주관하는 대회에 사용하는 용구, 설치물, 파크골프장 등에 적용한다.
② 이 규정은 경기용구, 설치물, 파크골프장에 대하여 국내 실정을 최대한 반영하여 정한다.
제4조 공인 대상
① 공인은 본 협회가 인정하는 시험기관의 용구, 설치물의 시험성적 결과 본 협회의 용구, 설치물 검정 규격에 합당하다고 판정 받은 용구 및 설치물
제5조 공인 분류
① 공인 대상은 다음 각 호와 같이 분류한다.
1. 경기용구
2. 설치물
3. 파크골프장
제6조 용어해석
① 파크골프에 필요한 경기용구, 시설, 설치물, 파크골프장에 대한 용어해석은 다음과 같다.
1. 경기 용구 : 경기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클럽, 공, 티, 공 마커, 스코어카드를 말하며, 경기 보조 용구(공 포켓, 필기구 등)도 해당된다.
2. 시설 : 일정한 면적 내에서 파크골프 경기 또는 연습을 행하는 공간을 말하며, 구성 및 설치 요소에는 클럽하우스, 페어웨이, 그린, 러프, 벙커, 해저드, 스프링쿨러, 나무 등이 있다.
3. 설치물 : 파크골프장 내에 설치되는 기본 구성요소로 티잉그라운드, 홀 표지판, 안전망, OB 말뚝, OB ZONE, 배수구, 깃대(핀), 홀컵, 순서 뽑기, 공 거치대, 종합안내판(안전수칙 포함)과 원활한 경기진행과 경기자의 편의를 위한 물품도 포함된다.
4. 파크골프장 : 파크골프장에서 경기자가 불편함이 없이 경기가 진행되도록 일정한 면적크기로써 1개 코스(9개 홀)이상을 보유한 경기장을 말한다.
제7조 경기용구 기준
① 경기용구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파크골프 클럽
가. 중량 : 상세기준에 의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중량이 600g 이하
나. 길이 : 상세기준에 의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길이가 86cm이하
- 헤드 (Head) : 목재로써 타구 면은 합성수지로 강화한 것으로 한다.
- 소울 (Sole) :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강화한 것으로 한다.
- 샤프트 (Shaft) : 유리섬유(Glass Fiber)와 탄소섬유(Carbon Fiber)를 소재로 하여야 한다.
- 그립 (Grip) :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등으로 한다.
다. 상세기준
- 로프트 각은 붙이지 않는다.
• 타구 면과 소울 면이 만드는 각도(α)는 90도(±1)로로 한다. <개정 2021.04.22.>
• 타구 면과 샤프트의 중심축선이 만드는 각도(β)는 0도 이다.
- 헤드의 형태
• 헤드의 높이는 바닥면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헤드 상단 까지 페이스면의 높이가 53m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24.01.22.>
• 타구면의 보강재는 수지재질이어야 하며, 금속재질은 불가하다.
• 타구면의 표면은 평면이어야 한다. <개정 2024.01.22.>
• 타구면 보강재의 두께는 8mm이하로 하여야 한다.
• 바닥(Sole)에는 타구면에서 깊이 40mm이상, 샤프트 축선 상에서 힐(heel)쪽으로 40mm이상의 타구면에 대한 각도면을 만들어 로프트 각 측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 바닥(Sole) 보강할 경우에는 헤드 상면에서 보강 부분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 샤프트의 형태
• 강도 휨 : 샤프트는 축의 주위에 임의로 회전시키고서 여러 각도에서 보아도 휘어진 양이 같아야 한다. <개정 2024.01.22., 2024.03.11.>
• 헤드 설치부 위치 : 샤프트의 축선과 바닥(Sole)을 직각으로 연결한 헤드길이 토우에서 힐까지)에 걸친 비율로 힐에서 샤프트 축선까지가 40%의 위치보다 힐측으로 모여서는 안 된다. <개정 2024.01.22.>
• 샤프트의 두께 : 헤드 설치부 위치에서 20mm 위치에서 직경 16mm이상이 되어야 한다. <신설2024.01.22.>
• <신설 2024.01.22., 삭제 2024.03.11>
• 라이각은 65~72도로 한다. <신설2024.01.22.>
2. 파크골프 공
가. 중량 : 80~95g
나. 크기 : 직경 60mm ± 0.5mm
다. 재질 : 합성수지
라. 세부기준
- 직경 측정은 3개소를 하이트 게이지(최소표시 0.00/gf)로 하고 평균치가 60 ± 0.5mm 이내로 한다.
- 중량 측정은 전자저울 (최소표시 0.00/gf)로 하고 기준 수치에 적합하여야 된다.
- 반사기계는 아래의 시험 장치에 의해 높이 100cm(공 밑면)의 위치에서 철판(두께 5cm, 직경 16cm 이상) 위에 자중 낙하시켜 반사거리 (공 밑면의 최대 도달 높이)를 측정하는데 반사거리는 65cm 이하로 한다. <개정 2021.04.22.>
- 표면정도는 아래 방법으로 측정하고 경도는 45도에서 60도로 한다.
• 독해시간 : 1초 이내의 최대치
• 측정개소 : 공표면 임의의 2개소로 한다. 단, 측정기는 쇼어경도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개정 2021.04.22., 2024.03.11.>
• 표장을 새길 때에는 내부에 삽입하도록 한다. <신설 2024.03.11.>
- 표면 디자인은 아래와 같다.
• 공에는 소정의 (사)대한파크골프협회 표장(별표 제2호)을 표시하여야 하며, 위치는 제작사 마크와 대칭되는 곳으로 한다.
• 로고 지름은 15mm로 한다. <신설2024.01.22.>
• 마크는 마모에 견디는 재질이어야 한다.
• 위 2항을 제외한 공의 표면은 요철이 없이 매끄러워야 하며, 딤플 효과가 나타나는 디자인은 안된다.
3. 티
가. 재질 : 고무 또는 가벼운 재질인 것으로 한다.
나. 높이 : 티의 밑변에서 높이가 23mm이하 이며, 공이 올려진 상태에서 티의 밑변에서 공 높이는 80mm이하로 한다.
다. (사)대한파크골프협회 표장(별표 제2호) 표시 : 공의 디자인 표시에 준하여 한다.
4. 공 마커
가. 재질 :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한다.
나. 지면에 위치한 경우 쉽게 이동하지 않으며, 소지가 간편하여야 한다.
5. 스코어카드
가. 규격 : 17cm x 12.5cm의 크기이내로 한다.(18홀 기준으로 좌,우로 펼친 길이임)
나. 카드에는 파크골프장명, 코스명, 홀명, 홀의 길이, 파(Par)의수, 경기일자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경기자 4인의 이름란, 개인별 합계타수란 그리고 동반자의 서명란이 있어야 한다.
제8조 시설 기준
① 시설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코스 구성
가. 파크골프장의 코스는 9홀을 1개의 단위로 하여 기준타수(파 Par)인 파 3홀 4개, 파 4홀 4개, 파 5홀 1개. 홀로 구성한다.
나. 1개 코스의 기준타수는 총33타로써 코스별로 명칭을 다음과 같이 부여한다.
- 9홀 구성 시는 기준타수 33타로 A코스
- 18홀 구성 시는 기준타수 66타로 A코스, B코스
- 27홀 구성 시는 기준타수 99타로 A코스, B코스, C코스
- 36홀 구성 시는 기준타수 132타로 A코스, B코스, C코스, D코스 이다.
2. 위치
가. 기존에 조성되어 있는 공원
나. 하천부지
다. 도시계획에 의하여 신설되는 공원 부지
라. 스포츠공원으로 조성이 가능한 지역
마. 리조트의 유휴지
바. 접근성이 있는 야산주변 등
3. 면적
가. 경기자의 안전과 홀 배치를 고려하여 최소 면적은 기준단위인 1개 코스 9홀을 기준으로 8,250㎡(약 2500평) 이상이며, 부대시설은 별도로 한다.
나. 파 3홀은 40~60m, 파 4홀은 60~100m, 파 5홀은 100~150m 로써 규정된 거리 이내에서 부지크기에 알맞도록 시설한다.
다. 9홀 파크골프장 총 거리는 500m 이상이면서 790m 이내가 되도록 시설한다.
- 최소거리 : (4x40)+(4x60)+(1x100) = 500m
- 최대거리 : (4x60)+(4x100)+(1x150) = 790m
라. 18홀 파크골프장 총 거리는 1,000m 이상이면서 1,580m 이내가 되도록 시설한다.
마. 18홀 기준으로 36홀의 길이 합산은 최소거리 : 2,000m, 최대거리 : 3,160m가 된다.
바. 홀별 거리 측정은 티잉그라운드 중앙에서 그린의 홀까지 하되, 구장 심사시 홀의 장소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신설2024.01.22..>
사. 기타 참고 사항은 별첨 20호를 참고한다.[별첨 20호]<신설2024.01.22..>
4. 난이도
가. 파크골프장의 난이도 부여는 파크골프 종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난이도를 너무 높게 하거나 신체적으로 무리가 따르지 않도록 홀 형상을 조성하여야 한다.
나. 일반적으로 난이도를 제공하기 위한 해저드, 벙커, 경사도 등을 시설할 수 있다.
다. 페어웨이 및 그린의 경사도는 15도 이내의 경사를 권장하도록 한다.(벙커, 해저드는 예외) <개정 2021.04.22., 2024.03.11.>
라. <삭제2024.01.22.>
마. 파 5홀에 인접한 다른 홀은 사고 예방을 위한 나무, 꽃군락, 안전망 등을 시설할 수 있다.
바. 페어웨이와 러프는 잔디의 길이로 확실하게 구분되도록 시설한다.
사. 도그레그(dog leg) 홀인 경우에는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깃대)과 휘어짐이 150도 내외로 유지하도록 하고, 적색 OB말뚝을 설치한다. <개정 2021.04.22., 2024.03.11.>
아. 경기자의 안전을 위하여 교차하는 홀은 시설하지 않는다.
5. 홀의 구성 요소
가. 홀 표지판 : 해당 홀의 홀 번호, 기준타수, 거리를 표시하며, 티잉 그라운드 주변에 설치한다.
나. 공 거치대 : 경기자의 팀별로 홀 진입 순서를 정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써 1번 홀에 설치한다.
다. 순서뽑기 : 티샷 순서를 정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써 첫 번째 코스 1번 홀에 설치한다.
라.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 : 경기자가 홀마다 경기를 시작하는 출발 장소로써 규격은 사방 보조물을 제외하고 1.5m x 1.5m ~ 2.0m x 2.0m 로 한다. <개정 2024.01.22..>
마. 페어웨이(fairway) :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 사이의 구역에 잔디를 설비하며, 잔디의 길이는 30mm로 유지하고 그 폭은 3m 이상이 되도록 시설한다.
바. 러프(rough) :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 사이에 좌, 우측 페어웨이 바깥쪽으로 잔디의 길이를 50mm 이상 유지하여 페어웨이와 구분할 수 있도록 시설한다.
사. 벙커(bunker) 및 해저드(hazard) : 난이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크기, 깊이 등은 해당 파크골프장 특성에 적합하도록 시설한다. 단, 벙커는 1코스에 1개 이상 설치하도록 한다. <개정 2024.03.11.>
아. OB(out of bounds) : 경기할 수 없는 경계 표시지역이며 말뚝 또는 선을 설치하여 구분한다. 이는 홀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경기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지만 최소화하는 것이 좋으며, 홀의 경관도 고려해야 한다. 단, 첫 말뚝의 위치는 좌우 대칭이 유지되게 설치한다. <개정 2024.01.22..>
- OB 말뚝 : 백색 원형 막대로 길이는 40cm, 직경은 4cm로써 시야에 보이도록 설치한다. 단, 첫 말뚝의 위치는 좌우 동일한 위치에 설치한다. <개정 2024.01.22.>
- OB선 <삭제2024.01.22.>
- OB 구역(Zone) : 코스내에 필요에 따라 OB 구역(경기를 할 수 없는 구역)을 표시 할 수 있는데 OB 말뚝 상단에 청색으로 표시하며, 2~3m 간격으로 설치한다.
자. 그린(green) : 홀컵이 있는 지역을 말하며, 형상은 원형으로써 지름이 5m 이상의 크기가 필요하며, 15도 이내의 완만한 경사를 유지하여 퍼팅에 미묘한 변화를 제공하록 한다. 그린위 잔디의 길이는 20mm 이내로 유지하고 훼손 등을 고려하여 인조 잔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그린의 적절한 위치는 티잉 그라운드에서 앞조가 그린위에서 경기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차. 홀컵(hole cup) : 그린의 적절한 장소에 설치하는데 1개 홀의 최종 목표지점으로써 그 컵은 원통형 스테인레스로 규격이 내경 200mm, 외경 210mm 이며, 공이 컵인 시에 울림 소리가 나는 재질과 구조로써 지표면에서 10mm 이하로 홀컵 상단이 매설되어야 한다. <개정 2021.04.22.>
카. 깃대 : 홀컵에 꽂아 두어 해당 홀의 최종 목표지점 위치를 알려주는데 페어웨이의 경사면을 고려하여 해당 홀의 티잉 그라운드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며, 깃발에 홀 번호를 표시하여 그 높이는 2m 이상으로 한다.
타. 특설 티 : 워터해저드, 그린주변 등 경기할 수 없는 장소에 공이 위치한 경우 필요에 따라 근거리의 별도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파. 급수 및 배수 설비 : 잔디 생육, 보호를 위하여 급수 및 배수설비를 시설할 수 있다.
하. 안내 표지판 : 파크골프장내의 안전수칙, 코스의 제원, 홀 배치, 해당 파크골프장의 로컬룰, 승인된 용구 사용준수 등 경기자를 위한 제반 안내사항을 알려주는 게시물이다.
6. 편의 시설
가. 주차장(파크골프장의 크기에 따라 별도로 정한다)
나. 클럽하우스(탈의실, 대기장소, 경기자의 물품 보관대, 대여용구 비치 등)
다. 남녀 화장실
라. 음수대
마. 휴식용 그늘막 및 대기 의자
바. 먼지털이기 4개 이상 구비 <개정 2024.03.11.>
사. 보관 창고(깃대, 이동용 스프링클러. 호스, 잔디 깎는 기계 등)
제9조 설치물 기준
① 설치물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공 거치대 및 순서 뽑기 <<도면 1 참조>>
가. 공 거치대 : 지표상 1000mm 이상으로 ∅50mm 스텐레이스 파이프에 공이 순서대로 위치할 수 있게 약 100도의 경사를 주고 길이 약 700mm, 폭 70mm의 철심 등의 부속물이 부착되어 거치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권장한다. 또한, 원형구조도 가능하다.[도면 1 참조] <개정 2021.04.22., 2024.03.11.>
나. 순서 뽑기 : 직경 50mm 깊이 100mm 의 원통 구조 (하부에 물이 빠지도록 구멍)이며, 철제 막대는 150mm 크기에 1, 2, 3, 4개의 홈으로 표시한다. 또한, 제작시에 공 거치대의 상단에 부착할 수도 있다.
2. 티잉 그라운드 <<도면 2 참조>>
가. 규격 : 정사각형 1500mm x 1500mm ~ 2000mm x 2000mm 크기에 인조 잔디를 깔고 사방은 두께 5mm 이상의 고무 등으로 접착하여 지면에 고정 시키는 구조이다.<개정 2024.01.22.>
나. 시설방법 : 평지를 만들어 그 위에 설치하며, 잔디지면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평지를 만들 수 있다. 시설시 고정 장치를 사용 할 수 있으며, 이 고정 장치까지 티잉 그라운드로 간주한다. 단, 홈 없이 평면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개정 2021.04.22., 2024.01.22., 2024.03.11.>
3. 홀 표지판 <<도면 3 참조>>
가. 규격 : 400mm x 300mm 내외로 지면에 고정 시키는 구조로 한다.[도면3 참조]) <개정2021.04.22. ,2024.01.22.>
나. 표기 내용 : 코스 명(A, B, C, D), 홀 명(1, 2, 3 . . . ), 파의 수(3, 4, 5), 거리(***m), 협회 로고를 다음과 같이 바탕색에 글자색으로 표기되어야 한다. 단, 공인인증위원이 파크골프장 심사시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예외를 둘 수 있다. <개정 2024.01.22., 2024.03.11.>
- A코스의 경우는 적색 바탕에 흑색 글자
- B코스의 경우는 청색 바탕에 흑색 글자
- C코스의 경우는 황색 바탕에 흑색 글자
- D코스의 경우는 백색 바탕에 흑색 글자 로 표기해야 한다.
4. OB 말뚝 <<도면 4 참조>>
가. 규격 : 흰색 폴리에틸렌 재질의 원형 말뚝으로써 직경 40mm, 길이 400mm 이며, 스테인레스 철심을 끼워 넣어 지면에 꽂을 수 있는 구조이다.
- 수리지 : 표시는 말뚝상단에 50mm 청색으로 표시 <개정 2024.01.22.>
- 해저드 : 표시는 말뚝상단에 50mm를 적색으로 표시 <개정 2021.04.22.>
- 도그레그 홀의 방향 OB말뚝은 적색 말뚝으로 표시 <신설 2024.01.22.>
나. OB선은 흰색으로 굵기가 5mm이하인 줄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5. 홀컵 및 뚜껑 << 도면 5 참조 >>
가. 규격 : 내경 200mm 의 원통형 구조이며 깊이는 200mm 이상으로 울림판이 설치되어야 하며, 울림판 위치는 상부에서 100mm에 위치하고 깃대를 삽입하여 깃대가 기울어지지 않는 구조이고 물이 빠질 수 있어야 한다. <개정 2021.04.22.>
나. 상부 면은 공을 꺼낼 때 손이 다치지 않는 구조이며, 예비 홀컵의 뚜껑은 직경 220mm로 표면에는 인조잔디를 부착하고 쉽게 떨어지지 않게 하는 구조이다.
6. 깃대 및 깃발 <<도면 6 참조>>
가. 깃대 : 길이 2000~2500mm, 직경 13mm, 재질은 화이바글라스 또는 스틸파이프 등으로 하단에는 홀컵 중앙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적색과 백색을 교차 도색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단에는 티잉 그라운드에서 식별이 가능한 크기의 홀 번호가 표시되어야 한다.
나. 깃발 : 400mmx300mm 크기의 고정된 구조로 천, 프라스틱 또는 철판 등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바탕색에 숫자(1, 2, 3, . . . )를 표기한다. <개정 2024.01.22.>
- A코스의 경우는 적색 바탕, 백색 글자
- B코스의 경우는 청색 바탕, 백색 글자
- C코스의 경우는 황색 바탕, 흑색 글자
- D코스의 경우는 백색 바탕, 흑색 글자
- 깃대를 기준으로 좌측 상단부에 60mm의 협회 로고를 넣어 제작하여야 한다. <신설2024.01.22.>
7. 안전망
가. 철망 또는 그물망으로 공이 빠져 나가지 않는 구조로 인접한 홀에 있는 경기자에게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8. 티
가. 23mm 이하의 높이로 공을 올려놓게 되는데 재질은 연질고무 등으로 끈을 연결하는 구조이며, 티잉 그라운드내 원하는 위치에 둘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왼손잡이 고려)로 고정시키고 회전에도 꼬이지 않도록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