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동주교좌성당
천주교 원주교구 주교좌 본당.
본래 명칭은 원주(原州) 본당이었으나 1957년 6월 1일
원주시 학성동에 본당을 분할하면서 원동으로 개칭하였다.
1896년 8월 17일 풍수원(豊水院) 본당에서 분리 · 신설되었으며,
주보는 천주 은총의 모친.
본당의 설립과 발전
부엉골 본당의 부이용(Bouillon, 任加彌) 신부는
1895년에 본당을 장호원으로 옮길 계획을 세우면서,
그렇게 되면 풍수원과의 거리가 멀어져 서로 방문하기가 어려워지므로
그때 풍수원 본당의 르 메르(Le Merre, 李類斯) 루도비코 신부와 의논하여
원주에 본당을 세우기로 합의하였다.
르 메르 신부는 1896년에 원주 군청에서 가까운 원주읍 상동리
(현 가톨릭 센터 자리)에 소재한 대지 350평과 기와집 16칸을 매입한 뒤
그 해 8월 17일 풍수원 본당을 정규하(鄭圭夏, 아우구스티노) 신부에게 맡기고
원주(현 원동 주교좌) 본당의 초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본당 설립 당시 관할 공소는 20개였으며, 교우 총수는 1,137명이었다.
원주 읍내에는 몇몇 신자들만이 있었고, 대부분의 교우들은 공소에 있었기 때문에
르 메르 신부는 주로 공소를 순방하면서 사목하였다.
이와 같이 공소를 순방하는 데는 보통 한 달이 걸렸다.
1965년 3월에 춘천교구로부터 원주교구가 분리 · 설정됨에 따라
원동 본당은 원주교구에 속하게 되었고, 그 해 6월 주교좌 성당이 되었다.
양대석 신부는 최초의 본당 주보를 1966년 2월에 발행하였는데,
이 원동 본당의 주보는 오늘날 교구 주보인 “들빛”의 밑거름이 되었다.
그리고 1967년 2월에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분원을 재마련한 뒤
소화유치원 인가를 정식으로 받아 소성당에서 운영하게 되었다.
이영섭 신부가 재임하고 있을 때인 1971년 10월 5일부터 7일까지
원주 문화 방송국의 부정으로 야기된 원주교구의 부정부패 규탄대회가 원동 본당에서 열리고,
또한 1974년 7월 6일 지학순 주교 구속 이후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이 결성되어
첫 기도회를 갖는 등 시국과 관련한 많은 기도회가 이곳에서 개최됨으로써
원동 본당은 1970년대에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한편 원동 성당은 건축사적으로 돔형 종탑의 독특성과 양호한 보존상태
그리고 1970년대 민주화 운동과의 관련성 등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04년 12월 31일 대안리 공소(등록 문화재 제140호)와 함께
근대문화유산 등록 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강원감영
강원 감영(監營, 觀察使營)은 강원도 관찰사가 정무를 보던 청사로,
강원도에서 원주가 가졌던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 줄 뿐만 아니라
옛 감영의 모습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조선 시대 감영의 모습을 보여 주는
귀중한 장소이자 건물이라 할 수 있다.
원주시 한복판에 위치한 강원 감영은 1395년(조선 태조 4년)에 건립된 후,
1896년 춘천으로 옮기기까지 약 500년 동안 유지되었다.
한국 전쟁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무너지고
옛 건물로는 선화당, 포정루, 청운당만 남아 있었으나
세심한 발굴 과정을 거쳐 내삼문 및 행각 등의 건물이 복원되어 옛 모습을 찾았다.
전국 각 지방의 감영(監營)은 천주교도들을 잡아들여
이들에게 배교를 강요하고 온갖 고문을 일삼았다.
그래서 어느 감영이든 대부분 그때 흘린 순교자들의 피와 고통의 역사가 전해져 온다.
원주 강원 감영의 박해 역사도 대부분 문헌으로 남지 못하고 다만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다.
1814년에 전국적인 기근이 들었을 때 신자들의 재산을 노린 일부 백성과 지방관이
자의로 1815년에 강원도와 경상도에서 천주교 박해를 일으켰다.
강원도 울진에 살던 김강이(金鋼伊, 일명 여생, ?~1815, 시몬)와 그 동생 김창귀(타대오) 형제가
1815년 4월에 체 포되어 원주 강원 감영으로 이송되어 왔다.
여기서 이미 갇혀 있던 6, 7명의 신자들을 만났는데,
원주에서 신자들이 옥에 갇히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그는 꿋꿋하고 결연한 태도로 모든 형벌을 이겨 내다가,
옥에 갇힌 지 8개월 되는 그해 11월 5일 약 50세(또는 그 이상) 나이로
쇠약해진 몸에 이질까지 겹쳐서 옥사하였다.
김강이는 원주에서 순교한 첫 순교자가 되었다.
《병인치명사적》(9권 17∼18쪽)에 의하면,
김강이의 손자인 김선행(1828∼1867, 필립보)이 먼저 1867년 가을에 잡혀 치명하고,
김강이의 둘째 아들인 김양범(1804∼1867, 빈첸시오)은 며느리(김선행의 아내)를 보러 갔다가 잡혀
역시 수원에서 9월에 치명한 것으로 나온다.
기해박해 당시인 1839년 1월 말경 원주시 부론면 손곡2리 서지 마을에 살던 신자들 중
최해성(崔海成, 일명 양박, 1811∼1839, 요한)이 체포되어 원주 감옥으로 압송되었다.
최해성은 1839년에 순교한 성 최경환(崔京煥, 보명 永訥, 1805∼1839, 프란치스코)의 먼 친척이다.
그의 집안은 본래 충청도 홍주 다락골에서 살았는데, 1801년의 신유박해 때
그의 조부가 체포되어 유배를 가게 되자 좀 더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위해
가족들과 함께 강원도 원주의 서지로 이주하였고, 이곳에 작은 교우촌을 이루었다.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21회의 심문과 18회의 고문을 당한 그는
옥에 갇힌 지 8개월 후인 그해 9월 6일(음 7월 29일) 29세의 나이로 참수되었다.
최해성의 고모인 최 비르지타(1783∼1839)도 조카를 면회하러 감옥에 갔다가 잡혀
갖은 형벌과 고문을 받은 뒤, 그해 11월 3일 순교하였다.
- 한국의 성지 홈페이지에서 -
원주시 일산동에 위치한 강원감영지(江原監營址)는 원주시 제2청사로 사용되면서
그 모습을 잃기도 했지만 정청(政廳)인 선화당(宣化堂)과 정문인 포정루(布政樓) 등
당시의 건물이 원래의 위치에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잘 남아 있다.
현재는 원주시 제2청사가 철거되고 강원 감영지에 대한 발굴과 복원이 계속되고 있다.
강원감영은 조선시대 강원도 지방행정의 중심지로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설치되어
고종 32년(1895년) 감영이 폐지될 때까지 500년 동안 강원도의 정청(政廳) 업무를 수행했다.
이에 따라 원주 일대의 죄인들은 감원감영으로 끌려와
정청인 선화당에서 형벌을 받고 처형되었다.
당시 이곳에서는 국사범 등의 중죄인은 물론 잡범들에 대한 형도 집행됐는데
박해가 일자 많은 천주교인들이 이곳에 잡혀와 갖은 고초를 겪은 후 처형되었다.
전국적으로 박해가 회오리처럼 몰아치던 당시에 전국 각 지방의 감영은
천주교인들을 잡아들여 이들에게 배교를 강요하고 온갖 고문을 일삼았다.
그래서 어느 감영이든 대부분 그 때 흘린 순교자들의 피와 고통의 역사가
구전을 통해 후손들에게 전해지곤 한다.
강원감영이 품고 있는 슬픈 역사 역시 동네 어른들의 입을 통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당시의 처참했던 상황은 시간이 지나면서 희미해지고 때로는 아예 잊히기도 하지만
그 순수하고 굳건했던 신앙의 정신만은 퇴색하지 않고 남아 있다.
강원감영으로 들어서는 정문인 포정루를 지나면 선화당이 눈에 들어온다.
우아하게 뻗어 내린 기와의 곡선이 아름답기만 하지만,
수많은 교인들이 단지 천주를 믿는다는 이유만으로 처참하게 피를 흘린
슬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네 군데 처마 끝에 기와로 구운 보호 장구를 갖추고 있는 것이 이색적인 선화당은
관찰사의 집무처로 쓰였으며, 포정루와 함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다시 세워졌다.
포정루는 1660년(현종 1년)에 목사(牧使) 이후(李候)가 다시 건립하였고,
6.25 전쟁 때도 손상을 입었으나 다시 복구하였다.
선화당은 1667년에 다시 세워졌다.
포정루 및 선화당은 조선시대 감영의 형식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래서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는데,
지정 당시의 명칭은 강원감영(문루 및 선화당)이었으나
2004년 1월 17일 포정루 및 선화당으로 그 이름이 변경되었다.
포정루와 선화당이 순교의 피를 흘렸던 박해의 현장임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원주교구 순교자로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동료 순교자들과 함께 복자품에 오른 김강이 시몬, 최해성 요한,
최 비르지타 등 많은 순교자들이 강원감영의 옥에서 혹독한 옥살이를 했다.
안타까운 것은 감옥 터에 이미 건물들이 들어서 있어 복원할 수 없는 상황이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4년 8월 22일)]
첫댓글 [수원교구 성지]에 이어 [원주교구 성지] 순례를 시작하는군요.
[원주교구] 원동주교좌성당 / 강원 감영의 영상과 설명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