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自然城陵이 갈라놓은 겨울과 봄 사이
(중앙산악회 2017년 제7회 계룡산 산행)
◆ 산행 개요
♣ 산행 일시 : 2017년 2월 23일 (목) 맑음
♣ 산 행 지 : 계룡산(鷄龍山 觀音峰 766m)
♣ 산행 위치 : 충청남도 공주시·계룡시·논산시와 대전광역시
♣ 산행 코스 : 상신탐방지원센터→남매탑→삼불봉고개→삼불봉→관음봉→연천봉→갑사 주차장 ⇒ 약 15 km
♣ 산행 시간 : 약 5시간 10분 (09 : 20 ~ 14 : 30)
♣ 참여 인원 : 32명
♣ 산행 회비 : 35,000원 / 인
♣ 특기 사항 : 지난밤에 내린 눈으로 철 지난 눈꽃이 탐스럽게 피어오른 자연성능 길을 추위와 빙판을 가르며 모든 산우들이 즐기는 산행이 되었다.
◆ 산행 개요
▣ 계룡산(鷄龍山 觀音峰 766m)
계룡산은 주봉인 천황봉에서 쌀개봉, 삼불봉으로 이어진 능선이 흡사 닭 볏을 한 용의 형상이라는 데서 생긴 이름이다. 지리산, 경주에 이어 3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계룡산은 풍수지리에서도 우리나라 4대 명산으로 꼽힐 뿐 아니라, 관광지로도 제5위를 차지하며 수려한 산세와 울창한 숲을 지닌 데다 교통의 요지인 대전 가까이 있어 전국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다.
계룡산은 조용한 산줄기 곳곳에 암봉, 기암절벽, 울창한 수림과 층암절벽 등 경관이 수려하고 아름다운 자태와 더불어 고찰과 충절을 기리는 사당을 지닌 것으로도 이름 높다. 동쪽의 동학사, 서북쪽의 갑사, 서남쪽의 신원사, 동남쪽의 용화사 등 4대 고찰과 아울러 고려 말 삼은을 모신 삼은각, 매월당 김시습이 사육신의 초혼제를 지낸 숙모전, 신라 충신 박제상의 제사를 지내는 동학사 등이 그것이다. 흔히 봄 동학사, 가을 갑사로 불릴 만큼 이 두 절을 잇는 계곡과 능선 등 산세의 아름다움은 널리 알려져 있다.
갑사계곡은 계룡산 국립공원의 7개 계곡 중 "춘마곡((春麻谷) 추갑사(秋甲寺)"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단풍이 빼어난 곳이다. 5리 숲 이라고도 부르는 갑사 진입로는 특히 장관이다. 갑사를 중심으로 철당간지주, 사리탑 등 불교 유적이 많다. 특히 갑사계곡 아홉 명소 중 하나인 용문폭포는 아무리 심한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고 흐르는 영험함 때문에 기우제나 산제등 무속행사의 장소로 각광을 받는 곳이다.
계룡산은 사계절 산행지로 봄에는 동학사 진입로변의 벚꽃터널, 여름에는 동학사 계곡의 신록 가을에는 갑사와 용문폭포 주위의 단풍, 겨울에는 삼불봉과 자연성능의 설경이 장관을 이룬다. 계룡8경 중 제2경인 삼불봉의 설화는 겨울 계룡산 최고의 풍광으로 꼽힌다. 계룡산 겨울산행의 백미는 관음봉에서 삼불봉에 이르는 1.8㎞의 자연성릉 구간이다. 자연스러운 성곽의 능선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수 있는 협소한 길목이 자주 나타나 변화무쌍한 코스다.
특히 함박눈이 내린 다음날 햇살에 살짝 녹아 얼음이 반짝이는 설경은 일품이다. 날씨가 맑은 날 삼불봉 정상에 서면 남서 방향으로 구불구불 용의 형상을 한 능선을 타고 관음봉과 문필봉, 연천봉, 그리고 쌀개봉과 천황봉의 위용이 한눈에 들어온다. 주봉인 천황봉의 일출은 계룡산 최고의 비경으로 꼽히지만 등산객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 계룡팔경(鷄龍八景)
★ 천황봉에서 바라본 일출 광경
★ 삼불봉을 하얗게 덮어버린 겨울의 흰 눈
★ 연천봉의 낙조
★ 음봉을 싸안고 한가롭게 떠도는 구름
★ 한여름 동학사 계곡의 숲
★ 가을 갑사 계곡을 온통 붉은색으로 수놓은 듯 한 단풍
★ 은선폭포가 낙수되면서 하얗게 포말을 일구어 내는 물안개
★ 남매탑에 반쯤 걸린 달의 모습
▣ 동학사(東鶴寺)
마곡사의 말사로 724년(성덕왕 23) 상원조사(上願祖師)가 암자를 지은 곳에 회의화상(懷義和尙)이 절을 창건해 상원사(上願寺)라 했다. 936년 신라가 망하자 대승관(大丞官) 유거달(柳車達)이 이곳에 와 신라의 시조와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초혼제를 지내기 위해 절을 지으니 승려들이 모여들어 사찰이 커지면서 이름을 동학사로 바꾸었다.
1394년(태조 3) 고려의 유신 길재가 고려 태조와 정몽주의 제사를 지냈고, 1457년(세조 3)에는 김시습(金時習)이 사육신의 초혼제를 지내고 단종의 제단을 증설했는데, 다음 해 이곳에 들른 세조가 단종을 비롯해 세조찬위 때 억울하게 죽은 280여 명의 성명을 비단에 써주며 초혼제를 지내게 한 뒤 초혼각(招魂閣)을 짓게 하고 인신과 토지 등을 하사했으며 동학사라고 사액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728년(영조 4년) 신천영(申天永)의 난으로 모두 소실된 것을 1814년(순조 14) 월인선사(月印禪師)가 예조에 상소하여 중건했고, 1864년(고종 1) 보선국사(普善國師)가 옛 건물을 모두 헐고 건물 40칸과 초혼각 2칸을 지었다. 1904년 초혼각을 숙모전이라고 개칭했다.
6·25 전쟁 때 거의 파괴된 것을 1975년 개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무량수각·삼은각·숙모전·범종각·동학사·동학강원 등이 있는데 동학강원은 운문사의 강원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비구니수련도량으로 유명하다.
▣ 산행 지도
◆ 산행 후기
▶ 하루가 다르게 사통팔달로 뻗어나가는 고속도로는 좁은 땅을 비집고 살아가는 인간의 이동시간을 급격히 줄여주는 혜택을 몸으로 느껴가며 작지 않은 산우들 32명을 태운 산행버스는 이른 아침 9시 20분 계룡산의 동학사 입구가 아닌 또 다른 산행시발점인 사람을 맞는 정성이 깃들어 있는 상신마을 입구에 내린다. 봄은 아직 먼 곳에 있지만 햇살이 따사로운 완만한 큰배재걔곡을 따라 한 시간 30분 만에 오늘의 제1 경인 남매탑에 닿는다.
▣ 남매탑(男妹塔)
남매탑은 계룡산 동학사에서 갑사로 넘어가는 상원암 근처 해발 615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두 개의 탑으로 계룡팔경 중“오뉘탑의 명월”로 꼽히는 제 팔경으로 풍광이 뛰어난 곳이다. 남매탑은 충남지방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곳에 청량사가 있었다하여 청량 사지 쌍탑이라고 도 불린다.
5층 석탑은 보물 제1284호로, 7층 석탑은 보물 제1285호로 지정되어 있다. 청량사는 임진왜란 때 병화로 전각이 모두 소실되었고, 이 탑만 남게 되었다. 남매탑은 일명 오뉘탑이라 부르기도 하고 이 2기의 석탑들은 1950년대에 무너져 있던 것을 계룡산 일대의 존재하는 화강암류인 담홍색 흑운모화강암으로 1961년에 복원하였다.
▶ 남매탑을 뒤로하고 삼불봉 삼거리에 오르니 생각지도 않았던 눈꽃이 소나무 잡목가지를 무겁게 짓누르며 화려하게 피어나서 오늘 산행의 제2 경인 삼불봉의 설화를 실증하는 행운을 가져다주어 찬바람 부는 능선을 힘겹게 오른 구름이 환한 미소 속에 빠진다.
▶ 삼불봉을 지나면서 칼날 같은 자연성능은 북쪽 면은 설화가 만발한 겨울이요 남쪽 면은 온화한 햇살이 감싸주는 봄의 여울목으로 변화하는 계절의 양면을 실감하면서 오늘 산행의 제3 경인 뭉게구름 떠다니는 관음봉에 오른다.
▶ 관음봉 비좁은 표지석에 앉아 가지 못하는 천황봉을 애타게 굽어보면서 널찍하게 설치해 놓은 목조바닥위에 늦은 간식으로 허기를 채우고 여유 있는 걸음으로 오늘의 제4 경인 낙조를 보기에는 훨씬 이른 시간에 남녀 두 사람이 천황봉을 바라보며 끝없는 주문을 읊어대는 연천봉에 올라 계룡산의 정기가 이름 없는 산 꾼에게도 한줄기 스며들기를 염원해 본다.
▶ 겨울 산행의 필수품인 아이젠의 고마움을 심층으로 느끼며 신다 벗다 번갈아 가면서 물소리가 시원하게 들려오는 갑사계곡을 지나 오늘 제5 경인 봄도 아직은 멀리 있는 추 갑사(秋 甲寺)의 단풍을 대신하여 동종을 심 관하면서 계룡팔경 중 5경을 더듬어 본 행운을 안고 오늘 산행을 마친다.
▣ 갑사(甲寺)
계룡산 서북쪽 기슭 해묵은 노송과 느티나무 숲이 우거진 곳에 자리한 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산인 마곡사의 말사로 화엄종 10대 사찰의 하나이며 5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고구려의 구이신왕 원년(420년) 고승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를 전하고 귀국길에 계룡산을 지나다가 이곳 배석대에 주춧돌을 놓았다는 설화가 있다.
679년(문무왕 19) 의상대사(義湘大師)가 건물 1,000여 칸을 더 짓고 절 이름을 계룡갑사에서 갑사로 바꾸어 화엄대학지소로 삼았으며, 이때부터 화엄십찰의 하나가 되었다. 1579년(선조 30) 정유재란으로 건물이 모두 불타버리고, 1654년(효종 5) 사정·신휘 등이 관청의 도움을 받아 중수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강당·대적전·천불전·응향각·진해당·적묵당·팔상전·표충원·삼성각·종각·요사채 등이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공주 갑사 철당간(보물 제256호), 공주 갑사 승탑(보물 제257호), 갑사동종(보물 제478호), 월인석보목판(보물 제582호) 등이 있다.
◆ 산행 사진
※ 사진은 모두 http://cafe.daum.net/jungang4050에서 가져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