焉耆回族自治县 (1 ) 바이두백과 번역
언기회족자치현
新疆维吾尔自治区巴音郭楞蒙古自治州焉耆回族自治县
신강위구르자치구파음곽릉몽고자치주언기회족자치현
<출처 : http://baike.baidu.com/view/49134.htm>

【城市概况】도시 개요(설명)
焉耆回族自治县位于新疆天山南麓焉耆盆地腹心。全县总面积2570.88平方公里,辖四乡四镇三个国营农牧场,46个行政村,16个居委会,246个村民小组。另有兵团企业、农牧团场、南疆铁路和塔里木河南石油勘探公司等驻焉单位17个。县域总人口13万人,居住着回、汉、维、蒙等29个民族,其中汉族占43.8%,回族22.8%,其他少数民族33.4%,是新疆6个少数民族自治县之一。
언기회족차치현은 신강천산남록 언기분지의 가운데에 위치에 있다. 현의 총면적은 2570.88평방미터, 향이 4개 진이4개 3개의 국영농장과 목장, 46개의 행정촌, 16개의 당위원회, 246개의 촌민 소 조직이 있다. 또한 군수공장과 농장, 목장, 남신강철도와 남탑리목하 석유탐사공사등 17개 기업이 언기 소재에 있다. 현지역의 총인구는 13만, 회족(回族), 한족(漢族), 위구르족(維烏爾族) 몽골(蒙古)족 등 29개의 민족으로, 그중 한족이 43.8%, 회족이 22.8%, 기타 소수민족이 33.4% 로 신강 6개 소수민족자치현중의 하나이다.
四乡四镇包括:焉耆镇、七个星镇、永宁镇、四十里城子镇、北大渠乡、五号渠乡、查汗采开乡、包尔海乡。境内还有有:王家庄牧场、苏海良种场、二十七团场。
古为西域焉耆国。清光绪二十四年(1898)设焉耆府。民国二年(1913)始设焉耆县。1954年设立焉耆回族自治区,1955年改称自治县。隶属巴音郭楞蒙古自治州。
4향4진은 언기현, 7개성진, 영령진, 사십리성자진, 북대거향, 오호거향, 사한채개향, 보이해향이 속한다. 경내에는 왕가장목장, 소해랑종장, 및 27단목장이 있다.
옛날에는 서역(西域) 언기국(焉耆國)이었다. 청 광서淸光緖 24년 (1898년)언기부를 설치하였다. 중화민국(中華民國) 2년(1913년) 언기현을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1954년에 언기회족자치구(焉耆回族自治區), 1955년 자치현(縣)으로 개칭하였다. 파음곽릉몽고자치구(巴音郭楞夢古自治區)에 속해 있다.
地势西北高、东南低,周围大部环山,开都河流贯东部,孔雀河流经南部,中部有小片沼泽。为温带大陆性干旱气候。农作物有小麦、玉米、水稻、蚕豆、油菜、啤酒花等。畜牧以马、羊、牛为主,“焉耆马”闻名全国。工业有水泥、电力、制糖等。南疆铁路横贯县境,为南北疆交通要冲。还有公路干线和支线通往各地。古迹有唐王城遗址、四十里堡旧城、锡克沁遗址、七格星明屋等。
지세는 서북이 높고, 동남은 낮으며, 주위 대부분은 산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개도하(開都河)가 (縣)동부를 관통한다. 공작하(孔雀河)는 그 남부를 지난다. 중부에는 작은 소택(沼澤)들이 있다. 기후는 온대대륙성건조기후(溫代大陸性干旱气候)이다. 농작물로는 소맥(小麥), 옥수수(玉米), 벼(水稻), 잠두(蠶豆), 유채(油菜), 맥주꽃(麥酒花)등이 있다. 목축으로는, 말, 양, 소등 위주이며, (그중) 焉耆馬는 전국에 명성이 자자하다. 공업은 시멘트, 전력, 제당등이 있다. 남신강철도가 현의 경내를 가로로 관통해 있고, 남북신강교통의 요충지이다. 그리고 국도간선과 그 지선은 각지로 연결되어있다. 고유적은 당왕성유적(唐王城遺迹), 사십리보구성(四十里堡舊城), 석극심유적(锡克沁遗址), 칠각성명옥(七格星明屋)등이 있다.
【县名考释】현 명칭 고증
1、焉耆 yān qí (维吾尔文Qarasahr)地名写法刘正琰诸先生编著的《汉语外来词词典》中,把散见于卷帙浩繁典籍之中的"焉支"一语 的汉语音译10种写法收录如下:焉支、 燕支、烟支、胭脂、胭支、燕脂、烟肢、燃支、焉耆、焉提。
언기, 옌치 (위구르어- 카라샤르)지명은 유왕담저(刘正琰诸) 선생이 저술한 《한어왜래사 사전》 중에 있고, 권질호번적적중(卷帙浩繁典籍)에는 “언기”가 한어음역 10가지로 각기 여러 곳에서 출현한 것이 수록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다. : 焉支、 燕支、烟支、胭脂、胭支、燕脂、烟肢、燃支、焉耆、焉提
焉耆的名称在中国古籍上,汉唐时基本上有三种写法:《汉书》、《后汉书》、《晋书》、《魏书》、《周书》、《隋书》、《新唐书》、《旧唐书》、《高 僧传》、《续高僧传》、《悟空行记》都写作焉耆, 《佛国记》和《水经注》及 《释氏西域记》写作乌彝, 《大唐西域记》叫阿焉尼。后来的各派学者议论 纷杂,相持不下。据日本松田寿南先生说,阿耆尼是古代焉耆僧侣所使用的雅称,把焉耆一词梵语化了。梵语阿耆尼即火神之意。中国一些学者提出乌彝、阿耆尼,都是"焉耆"的同音异译。
.언기의 명칭은 중국의 고서적에 나타나 있는데, 한당漢唐시절에 기본적으로 3종으로 있었는데, 《한서》, 《후한서》, 《진서》, 《위서》, 《주서》, 《수서》, 《신당서》, 《구당서》, 《고승전》, 《속소승전》, 《오공행기》 등에서 모두 언기의 기록이 있다. 《불국기》와 《수경주》 및 《석씨서역기》에는, 오이(烏彛), 《대당서역기》에는 阿焉尼로 되어있다. 후대의 각파의 학자들에게는 (그 명칭에 대한)이견이 많았고, 서로 대치하며 양보하지 않았다. 일본의 송전수남(松田壽男) 선생의 말에 의하면, 아기니(阿耆尼)는 고대 언기의 증려가 사용한 미칭으로 언기를 범어화(梵語化) 시킨 것 이다. 범어 阿耆尼는 곧 불의 신을 뜻한다. 중국의 몇몇 학자들은 오이, 아기니는 모두 언기의 동음을 다르게 음역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2、"焉耆"一词的语义上列10种写法所包含的意义,历代解释家众说不一,归纳起来可分为四种: ( 1 )指 山名一一焉支山(此山坐落甘肃省河西走廊山丹县与永昌县之间,今名大黄山) 。
"焉支"一词最早见于《史记.匈奴列传》,书称"汉使骠骑将军霍去病将万骑出陇西,过焉支山千 余里,击匈奴。"(2)指一种叫作红蓝的植物,北方人揉取其花上最鲜艳 部分,作胭脂。( 3 )指红蓝做成的一 种染料。
“언기”가 어의상 10가지의 다른 방식으로 표현된 것은 또한, 그 뜻을 포함하고 있는데, 역대의 해석가들의 주장이 불일치를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4가지로 (그 주장을) 분류할 수 있다.
1) 산명의 하나이다. 언지산焉支山(감숙성 하서주랑 산단현과 영창현의 중간에 있는 지금의 대황산)
“언기”는 사기 흉노열전《史記.匈奴列傳》에 가장 처음으로 모습을 보이며, 책에는 한사표기장군 곽거병이 隴西에서 말을 타고 출병하니, 언지산 천여리를 넘어 흉로를 격파하였다.“
2) 홍람색의 식물을 가리킨다. 북방사람은 그 꽃위의 가장 신선한 부분을 채취하여 연지로 썼다.
3) 홍람색이 염료의 한 종류로 구성되는 것을 가리킨다.
史册上讲,焉支山下出产一种叫 红蓝的植物,匈奴人的妇女,有摘新鲜 的红蓝花制作抹脸的焉脂,以至于到后来被汉将霍去病攻占之后,匈奴 有歌曰"亡我祁连山,使我六畜不番息;失我焉支山,使我妇女无颜色。"唐朝大诗人李白,也在诗中反映"焉支落汉家,妇女无花色。"从以上记载中可以肯定,被汉语释成"焉支"的这个词,是当地少数民族语言中表示"颜色"一词是无疑的。
사서상에 언급하기를 언지한아래에는 홍람색의 식물이라고 불리우는 것이 나는데, 흉로의 부녀자들은, 신선한 홍람화를 따서 얼굴에 바르는 연지로 만들었고, 후대에 한漢 장수 곽거병霍去病에게 그곳을 공격받아 점령당할 때에 , 흉로에는 노래가 있었는데 “ 내가 기련산을 잃어버렸으니, 가축을 먹일수도 없고 ; 우리가 언지산焉支山을 잃었으니 여인들은 아름다움을 읽었네.”가 있으며, 당조唐朝의 대시인 이백李白역시 그의 시에 “ 언지가 한에게 함락되었으니, 여인들은 아름다움을 읽었네.” 의 기록으로 보아 한어漢語로 해석되어지는 “언지焉支”는, 당시 그곳의 소수민족언어로 “색깔”을 의미하는 것임이 분명하다.
3、"焉耆"一词的语源、"焉耆" 一词究竟是哪个民族语言中的词语呢?在《汉语外来词词典》"烟支"词条下注明"源匈奴"。但学者们认为, 在霍去病攻打河西地区之前,河西地区是由匈奴占据着,在匈奴以前则是则月氏(张掖以东)和乌孙(张掖以西)占据着,“焉支山”是在匈奴进入该地前,居住在该地的月氏命名的。
大月氏在汉文史册上被称为塞人,在古代波斯文献中被称作萨加人。研究匈 奴史的学者曾这样记述:匈奴与大月氏(塞种人)争雄之久, 至公元前2个世纪,大月氏始为匈奴所逼,转徙西去。而塞人的语言, 现在确认是属东伊朗语(又称称东伊兰语)。结论是汉语史籍中“焉支”一语是由东伊兰语一月氏语一波斯语音译过来的,它是匈奴语言中的借词。
“언기”"焉耆"의 어원은 “언기” "焉耆"는 도대체 어느 민족 언어의 말인가 ? 《한어외래사사전》"烟支 수록어에 “원래 흉로의 언어이다.”로 설명되어있다. 그러나 학자들은 곽거병이 하서주랑을 공격하기 전에 하서지역은 흉노가 점유하고 있었고, 흉노이전에는 월씨(장액이동)과 오손(장액이서)이 차지하고 있었으므로, “焉支山”은 흉노가 들어오기 전에 그곳에 거주한 월씨가 (처음으로) 이름진 것이다.
대월씨는 한문사책(한문으로 된 사서)에 塞人(사카)로 불리워지고 있으며, 고대 페르시아문헌에는 薩加人으로 불리우고 있다. 흉노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일찍이 흉노와 대월씨는 오랬동안 전쟁을 했으며, 기원전 2세기 대월씨는 흉노에게 패하여, 서쪽으로 이동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塞색인의 언어는 현재에는 동이란어东伊朗语(东伊兰语)에 속하는 것으로 확정짓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어로 된 사서중의 언지“焉支”는 동이란어- 월씨어-페르시아어의 음역에서 온 것으로 , 그것은 흉노어의 가차이다.
<출처 : http://baike.baidu.com/view/49134.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