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1,000명 (%) |
충청권 300명 (%) |
격차 (전국-충청권) (%P) | ||
세종시 문제에 대한 견해 |
원안 추진 |
41.4 |
54.3 |
▼ 12.9 |
수정안 추진 |
42.1 |
34.0 |
▲ 8.1 | |
세종시 견해 변경 가능성 |
바뀔수 있음 |
27.7 |
26.2 |
▲ 1.5 |
바뀌지 않을것임 |
57.0 |
59.3 |
▼ 2.3 | |
세종시 수정안 국회처리 전망 |
통과될 것 |
47.7 |
42.4 |
▲ 5.3 |
통과되지 못할것 |
34.6 |
34.9 |
▼ 0.3 | |
역차별 주장에 대한 공감도 |
공감 |
66.6 |
57.2 |
▲ 9.4 |
비공감 |
24.1 |
29.4 |
▼ 5.3 | |
절충안으로서 적당한 부처 이전 개수 |
1-2개 |
23.7 |
15.3 |
▲ 8.4 |
3-4개 |
22.9 |
21.0 |
▲ 1.9 | |
5-6개 |
12.0 |
13.7 |
▼ 1.7 | |
7-8개 |
12.3 |
20.7 |
▼ 8.4 | |
세종시 논란 지속 및 국회통과 지연시 해결방안 |
국민투표 |
58.5 |
54.2 |
▲ 4.3 |
여론조사 |
19.8 |
15.8 |
▲ 4.0 | |
국회결정 기다림 |
14.5 |
18.2 |
▼ 3.7 |
◉ 세종시 문제에 대한 견해 :
전 국: 수정안 추진 42.1% ≒ 원안 추진 41.4%
충청권: 원안 추진 54.3% > 수정안 추진 34.0%
-올해 상반기 정치권의 최대 이슈가 된 세종시 문제에 대해 전국적으로는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 건설이라는 수정안대로 추진해야한다’ 라는 수정안 추진에 대한 공감도(42.1%)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라는 원안대로 추진해야한다’ 라는 원안 추진 공감도(41.4%)가 오차범위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남.
-‘원안추진’ 이라는 응답은 남자, 30대, 대전/충청 거주자, 학력이 높을수록, 화이트칼라 종사자, 진보적 이념성향자, 대통령 직무수행 부정 평가자, 민주당, 친박연대 및 민주노동당 지지자, 4대강사업 당장중단 응답자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수정안추진’ 이라는 응답은 60대이상, 서울 및 인천/경기의 수도권 거주자, 서울 및 인천/경기의 수도권 출신자, 보수적 이념성향자, 개신교 신자,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 평가자, 한나라당 지지자, 4대강사업 계획대로추진 응답자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음. 특히 4대강사업에 대한 의견과 세종시에 대한 의견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나면서 다가오는 6․2 지방선거에서 두 이슈가 핵심이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반면, 충청권에서는 원안 추진 공감도가 54.3%로 수정안 추진 공감도 34.0%보다 20.3% 포인트 앞서면서 충청권 거주자는 압도적으로 원안 추진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지난 1월 11일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 직후 각 언론사들은 긴급하게 여론조사를 실시했음. 11일 당일에 실시된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 결과, 수정안 찬성쪽이 확실히 우세했음. 하지만 반대쪽과의 차이가 언론사마다 큰 편차를 보이면서 신뢰성에 의문을 품는 경우가 발생. 이는 질문을 어떤식으로 하느냐에 따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됨. ‘원안대로 추진해야한다’ VS ‘수정안대로 추진해야한다’ 의 형식의 질문에서는 그 차이가 컸던 반면, ‘정부의 수정안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의 형식의 질문에서는 그 차이가 크지 않았음. 1/24에 실시된 세계일보-리서치앤리서치의 조사에서는 전자와 같이 ‘원안 VS 수정안’ 의 형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음.
-그 결과,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 직후보다 격차가 크게 줄어들어 1/24일 현재 ‘원안 VS 수정안’ 이 오차범위내 접전인 것으로 나타남. 이는 정부발표 이후 박근혜 전 한나라당대표와 야당을 중심으로 ‘역차별론’, ‘정치적 신뢰’ 등 성공적인 문제제기와 그에 따른 원안에 대한 공감도 상승, 수정안에 대한 비공감 확대로 인한 것으로 사료됨.
-조선일보-갤럽이 공동으로 1/12에 충청권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여론조사 결과, ‘원안 VS 수정안’ 격차가 19.0% 포인트였음. 이번 1/24에 세계일보-리서치앤리서치에서 공동으로 충청권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여론조사 결과도 원안 공감도(54.3%)와 수정안 공감도(34.0%)는 20.3% 포인트 차이로 양자간 격차는 줄어들지 않았음을 보여줌. 즉, 정부발표 이후 충청권에서의 대대적인 여론전으로 수정안을 밀어붙이려 했던 정부․여당으로서는 6․2 지방선거를 포함해 정치적 타격을 염려할 정도로 충청권 여론이 심각함.
< 원안 VS 수정안 찬반>
일 시 |
조 사 기 관 |
지역 |
원안 (%) |
수정안 (%) |
모름/무응답 (%) |
격차(원안-수정안) (%) |
1/11 |
한국일보-미디어리서치 (N=700) |
전국 |
34.0 |
51.3 |
14.7 |
▼ 17.3 |
충청 |
51.8 |
44.4 |
7.4 |
▲ 7.4 | ||
1/11 |
동아일보-코리아리서치 (N=1,200) |
전국 |
37.5 |
54.2 |
8.3 |
▼ 16.7 |
충청 |
53.0 |
40.7 |
6.3 |
▲ 12.3 | ||
1/24 |
세계일보-리서치앤리서치 (N=1,000) |
전국 |
41.4 |
42.1 |
16.5 |
▼ 0.7 |
충청 |
54.3 |
34.0 |
11.8 |
▲ 20.3 |
<수정안 찬반>
일 시 |
조 사 기 관 |
지역 |
찬성 (%) |
반대 (%) |
모름/무응답 (%) |
격차(반대-찬성) (%) |
1/11 |
MBC-코리아리서치 (N=1,000) |
전국 |
47.5 |
40.5 |
12.0 |
▼ 7.0 |
충청 |
36.4 |
51.4 |
12.2 |
▲ 15.0 | ||
1/16 |
KBS-미디어리서치 (N=1,000) |
전국 |
48.6 |
42.7 |
8.7 |
▼ 5.9 |
충청 |
40.9 |
52.5 |
6.6 |
▲ 11.6 |
<충청권 원안 VS 수정안 찬반>
일 시 |
조 사 기 관 |
지역 |
원안 (%) |
수정안 (%) |
모름/무응답 (%) |
격차(원안-수정안) (%) |
1/12 |
조선일보-갤럽 (N=600) |
대전 |
56.7 |
40.2 |
3.1 |
▲ 16.5 |
충남 |
55.4 |
38.6 |
6.0 |
▲ 16.8 | ||
충북 |
55.4 |
31.7 |
12.9 |
▲ 23.7 | ||
가중평균 |
55.8 |
36.8 |
7.3 |
▲ 19.0 | ||
1/24 |
세계일보-리서치앤리서치 (N=300) |
대전 |
58.1 |
36.2 |
5.7 |
▲ 21.9 |
충남 |
57.1 |
28.6 |
14.3 |
▲ 28.5 | ||
충북 |
46.8 |
39.1 |
14.1 |
▲ 7.7 | ||
가중평균 |
54.3 |
34.0 |
11.8 |
▲ 20.3 |
◉ 세종시 견해 변경 가능성 :
전 국 : 바뀌지 않을 것임 57.0% > 바뀔 수 있음 27.7%
충청권 : 바뀌지 않을 것임 59.3% > 바뀔 수 있음 26.2%
-세종시에 대한 의견이 나중에 바뀔 수 있는지 전국을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 ‘바뀌지 않을 것이다’ 는 응답이 57.0%로 ‘바뀔 수 있다’ 27.7%보다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남.
-‘바뀔 수 있다’ 라는 응답은 여자, 19-29세의 젊은층, 강원/제주 거주자, 학생, 세종시 수정안 추진 응답자, 4대강사업 규모축소 응답자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바뀌지 않을 것이다’ 라는 응답은 남자, 40대 및 50대, 학력이 높을수록, 자영업 및 화이트칼라 종사자,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한나라당 지지자, 4대강사업 계획대로 추진 응답자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음.
-충청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 는 응답이 59.3%로 ‘바뀔 수 있음’ 26.2%보다 압도적임. 충청권 거주자의 세종시 견해가 더욱 굳건한 것으로 보임.
◉ 세종시 수정안 국회처리 전망 :
전 국 : 통과될 것 47.7% > 통과되지 못할 것 34.6%
충청권 : 통과될 것 42.4% > 통과되지 못할 것 34.9%
-야권과 한나라당 친박계가 세종시 수정안 국회통과를 강하게 반발하고 반대로 정부는 세종시 수정법을 27일 입법예고하기로 하면서 본격적인 세종시 입법전쟁이 예상되는 현 정치상황에서 세종시 수정안 관련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지 전망에 대해 전국을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 ‘통과될 것이다’라는 응답이 ‘통과되지 못할 것이다’라는 전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충청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도 동일한 결과를 보임.
◉ 역차별 주장에 대한 공감도 :
전 국 : 공감 66.6% > 비공감 24.1%
충청권 : 공감 57.2% > 비공감 29.4%
-세종시에 대한 과도한 혜택으로 타 지역의 혁신도시, 기업도시 건설계획이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역차별 주장에 대한 공감도를 전국을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 ‘공감’ 이 66.6%, ‘비공감’ 이 24.1%로 역차별 주장에 공감하는 응답자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남. 충청권에서도 그 격차는 덜하지만 타지역 역차별론에 공감하는 응답자가 공감하지 않는 응답자보다 약 두 배 정도 높게 나타남.
◉ 절충안으로서 적당한 부처 이전 개수 :
전 국 : 1-2개 23.7% ≒ 3-4개 22.9% > 7-8개 12.3%
충청권 : 3-4개 21.0% ≒ 7-8개 20.7% ≒ 1-2개 15.3%
-세종시 문제로 인해 한나라당 내 친이-친박계 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 원희룡 의원 등 중도․온건파 세력이 중재안으로써 세종시에 일부 부처 이전을 주장하고 있음. 일부 부처만 이전해야 한다면 몇 개 정도의 부처가 이전하는 것이 적당한지 전국을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 ‘1-2개’ 라는 응답이 23.7%, ‘3-4개’라는 응답이 22.9%로 오차범위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남. 즉, 일부 부처만 이전해야 한다면 4개 부처 이내의 소수의 부처만 옮겨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인 것으로 사료됨.
-반면 충청권을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 ‘3-4개’ 21.0%, ‘7-8개’ 20.7% 등으로 나타나 전국의 응답자들보다 많은 수의 부처가 세종시로 옮기는 것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세종시 논란 지속 및 국회통과 지연시 해결방안 :
전 국 : 국민투표 58.5% > 여론조사 19.8% ≒ 국회 결정 기다림 14.5%
충청권 : 국민투표 54.2% > 국회 결정 기다림 18.2% ≒ 여론조사 15.8%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논란이 계속 지속되고 국회통과가 지연될 경우, 세종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전국을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 ‘국민투표로 결정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58.5%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국민투표로 결정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충청권을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에서도 국민투표로 결정하는 것을 과반수가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충청권의 국민투표 및 여론조사 선호도가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것 보다 떨어지는 것은 국민투표나 여론조사로 결정할 경우 충청권 거주자의 의견이 뒤로 밀려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사료됨.
|
첫댓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